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동하는 소수, 침묵하는 다수: 브랜드 단지 내 어린이 사망사건으로 본 아파트 공동체성의 의미 = The Acting Minority and the Silent Majority: The Incident of a Child`s Death in a Residential Complex and the Concept of the Apartment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01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의 대표적 특징은 ‘지상 의 공원화’이다. 기존 아파트 단지와 달리 주차장 대신 고급 수목과 산책로로 꾸며진 지상공간은 해...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의 대표적 특징은 ‘지상 의 공원화’이다. 기존 아파트 단지와 달리 주차장 대신 고급 수목과 산책로로 꾸며진 지상공간은 해당 단지의 자랑으로 여겨지고, 특히 이는 어린 아이를 키우는 가족의 입장에서 장점으로 간주된다. 또한 대부분의 브랜드 아파트 단지 내에는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함께 위치 해 있기에, 주거지와 등하굣길을 포함하는 아이들의 생활공간 전체가 차량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안전한 아파트’로 인식된 수도권의 한 브랜드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어린이 사망사고의 사례를 다룬다. 연구대상 단지에서 발생한 이 불의의 사고는 적어 도 차량에 의한 위험에서만큼은 안전할 것으로 믿었던 단지의 지상공간에 차량이 들어오는 예외의 경우였던 쓰레기 수거차량에 의해 발생했다. 하지만 이처럼 예외적인 상황에서 발생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발생원인과 수습과정은 해당 단지, 나아가 현대 한국사회의 보편적인 아파트 단지에 내재된 일반적인 속성을 드러냈다. 본 논문에서는 단지 내 공적인 의 사소통과 사회적 합의의 부재가 빚어낸 전형적인 인재(人災)였던 이 사고의 원인과 함께, 이 후 사고 수습과정에서 펼쳐진 입주민들의 집단적 실천을 분석하여 주거공동체로서의 아파 트 단지가 지닌 성격을 고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car accident which happened in an upscale apartment complex located in a suburban area near Seoul. The spatial environment of upscale apartment complexes, which represents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model in South Korea, be...

      This article analyzes the car accident which happened in an upscale apartment complex located in a suburban area near Seoul. The spatial environment of upscale apartment complexes, which represents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model in South Korea, began to change since the mid-2000s. With the adoption of brand, the ground space of the apartment complex is decorated with beautiful trails and a numerous of trees, instead of outside-parking lots which had been conspicuous in the older model of apartment complex. In particular, the attractive landscape of the brand apartment complex is regarded as advantageous for raising children, because the residents think that the control of car access in the ground space can help reduce the risk of car accidents. However, the case of the unexpected death of a child by car accident, addressed in this article, crushed the belief about “the safe apartment” and revealed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n the apartment community. In spite of the exceptional situation which led to this accident,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event revealed the nature of brand apartment complexes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cident,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tion of “apartment communities” in an upscale apartment complex.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라르, 르네, "희생양" 민음사 2007

      2 더글라스, 메리, "환경위험과 문화:기술과 환경위험의 선택에 대한 소고" 명보문화사 1993

      3 박해천, "콘크리트 유토피아" 자음과모음 2011

      4 이진경, "코뮨주의: 공동성과 평등성의 존재론" 그린비 2010

      5 이진경, "코뮨주의 선언: 우정과 기쁨의 정치학" 교양인 143-184, 2007

      6 짐멜,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79-88, 2005

      7 짐멜,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35-53, 2005

      8 벡, 울리히,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를 향하여" 새물결 2006

      9 최재원, "어린이 교통사고 실태와 대책" 132 : 23-30, 2014

      10 서울특별시, "아파트, 이웃이 행복이다: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사례집"

      1 지라르, 르네, "희생양" 민음사 2007

      2 더글라스, 메리, "환경위험과 문화:기술과 환경위험의 선택에 대한 소고" 명보문화사 1993

      3 박해천, "콘크리트 유토피아" 자음과모음 2011

      4 이진경, "코뮨주의: 공동성과 평등성의 존재론" 그린비 2010

      5 이진경, "코뮨주의 선언: 우정과 기쁨의 정치학" 교양인 143-184, 2007

      6 짐멜,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79-88, 2005

      7 짐멜,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35-53, 2005

      8 벡, 울리히,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를 향하여" 새물결 2006

      9 최재원, "어린이 교통사고 실태와 대책" 132 : 23-30, 2014

      10 서울특별시, "아파트, 이웃이 행복이다: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사례집"

      11 박인석, "아파트 한국사회: 단지 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현암사 2013

      12 채완, "아파트 이름의 사회적 의미" 한국사회언어학회 12 (12): 231-252, 2004

      13 시사저널, "아파트 관리비 비리, 세월호만큼 큰 사건 될 것"

      14 서울특별시, "아파트 관리비 내리기 길라잡이: 11개 단지가 힘을 합쳐 이뤄낸 ‘관리비 내리기’ 프로젝트의 기록"

      15 오명석, "선물의 혼과 신화적 상상력: 모스 『증여론』의 재해석" 한국문화인류학회 43 (43): 3-46, 2010

      16 권현아, "사회적 계층화에 기반을 둔 아파트 브랜드의 주거 상품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105-114, 2013

      17 블랑쇼, 모리스, "밝힐 수 없는 공동체│마주한 공동체" 문학과지성사 9-90, 2005

      18 낭시, 장 뤽, "밝힐 수 없는 공동체│마주한 공동체" 문학과지성사 103-137, 2005

      19 낭시, 장 뤽, "무위(無爲)의 공동체" 도서출판 인간사랑 2010

      20 설한, "도시공동체론" 한울아카데미 17-56, 2004

      21 최병두, "도시공동체론" 한울아카데미 57-80, 2004

      22 연합뉴스TV, "그들은 왜 입주자대표가 되려 하나… 대표들의 검은 돈"

      23 노컷뉴스, "계속되는 아파트 비리 이면에는 ‘직업형 동대표’"

      24 정헌목,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한국의 수용양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 서울연구원 13 (13): 37-56, 2012

      25 정헌목,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 수도권 브랜드 단지에서의 공동체 형성의 조건과 실천" 비교문화연구소 22 (22): 485-540, 2016

      26 정헌목,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 수도권 대단지의 사례를 통해 본 아파트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함의" 서울대학교 2015

      27 박준상, "『무위(無爲)의 공동체』의 몇몇 개념들에 대하여" 한국현상학회 (46) : 61-86, 2010

      28 Caldeira, Teresa P. R., "of Walls: Crime, Segregation, and Citizenship in Sao Paul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29 SBS 뉴스, "[취재파일] 여러분의 아파트는 안전합니까?"

      30 Wirth, Louis, "Urbanism as a Way of Life" 44 (44): 1-24, 1938

      31 Milgram, Stanley, "Urban Life: Readings in Urban Anthropology" Waveland Press 83-92, 2002

      32 Gans, Herbert, "The Urban Villagers: Group and Class in the Life of Italian–Americans" Free Press 1962

      33 Cohen, Anthony, "The Symbolic Construction of Community" Tavistock Publications 1985

      34 Redfield, Robert, "The Little Commun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5

      35 Strathern, Marilyn, "The Gender of the Gif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36 Durkheim, Emile,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Free Press 1964

      37 Mauss, Marcel, "The Category of the Person: Anthropology, Philosophy, History" 1-25, 1985

      38 Lyon, David, "Surveillance Society: Monitoring Everyday Life" Open University Press 2001

      39 Walzer, Michael, "Spheres of Justice: A Defense of Pluralism and Equality" Basic Books 1983

      40 Sandel, Michael, "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41 Park, Robert, "Human Communities" The Free Press 1952

      42 Leenhardt, Maurice, "Do Kamo: Person and Myth in the Melanesian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43 Tönnies, Ferdinand, "Community and Society(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Michigan State Press 1957

      44 Oldenburg, Ray, "Celebrating the Third Place: Inspiring Stories about the “Great Good Places” at the Heart of our Communities" Marlowe & Co 2001

      45 Wagner, Roy, "Big Men and Great Men: Personification of Power in Melane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46 Gell, Alfred, "Art and Agency: An Anthropological Theory" Clarendon Press 1988

      47 Ortner, Sherry B., "Anthropology and Social Theory: Culture, Power, and the Acting Subject" Duke University Press 2006

      48 MacIntyre, Alasdair C.,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Duckworth 19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6 1.4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