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주변지역 활성화를 위한 캠퍼스 경계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홍익대학교 경계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5176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도시계획과 , 2018.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11.4095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campus border for activation of the vicinity university : focused on border of Hongik University

      • 형태사항

        xvi, 124 p. : 삽화(주로천연색) ; 26 cm

      • 일반주기명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강준모
        참고문헌: p. 115-117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domestic universities had mostly b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perty exclusively for small number of specific classes with the functions being restricted to education and research use of its campuses were limited to certain people only. However, as the society gets modernized, things become complexed and various lifestyles have emerged. Thus, the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ies has continuously changing to include, in addition to teaching and research, diverse functions such as sharing culture and welfare for local community and lifetime learning for interaction with the public in accordance with requirements of the age. However, as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becomes fierce due to opening of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rising from low birth rate, each university has to accept creative management and the concept of economy innovative improvement plans are needed not just for software aspect for specialization but for hardware aspect considering interrelation with space associated with the programs and buildings.
      In the early days of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in Seoul, most of them were located outside of the city and neighboring areas around the campuses were consisted with minimum amount of residential area and local living facilities that would solve housing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due to rapid expansion and development, the city became overcrowded and the same happened in the areas surrounding universities. Each university is required to make a big change in campus boundaries, not to mention expansion of additional facilities within the campus due to an increase in students and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Campuses of former urban universities still focused on internally oriented development with the limitation of being isolated from their neighborhood. This causes decrease of comfort in the limited area of the campuses. To overcome this, there are many development projects being carried out recently, such as street activation around universities and urban regeneration. However, this does not create flexible boundary that is complementary to its neighborhood but business environment only accelerating gentrification where existing residents leave their hometown. Thus, universities should not seek development separated from local community any more but create flexible boundary expanding to its neighborhood getting out of the limited campus to pursue various development and multi-purpose spaces so that the usefulness of the boundary can offer help to its local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boundaries of urban type campuses in Seoul and more than 80 % of the residential areas were found to b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although various boundary activation plans are being made now, neighborhood of residential areas were identified to have closed characteristics. Study was carried out on how to improve campus neighborhood focusing on that of Hongik University, among the urban campuses analyzed, where residential and commerce areas are mixed and characterized with unique school and residential property.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neighborhood and border of Hongik University has shown that the location of cultural consumption spaces featuring local characteristics had at least 2 local integration (integration r=3) of space syntax and it was analyzed to be similar with that of average local integration of the neighborhood which was 1.96. However, according to online postings such as those on Instagram, it was noted that cultural consumption area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even with low space phase, were visited by many who want to experience specialized products and atmosphere showing that space and products distinctive from other regions can increase psychological access. Commercialization of residential areas is carried out starting in areas with high phase due to urban space structure and expansion of commercial areas is causing gentrification. Thus, not just solution for this but improvement plan for border areas is required for the sake of residents.
      The locations of the Hongik University boundary which can be easily activated were found to be from Hongmunguan to the second dormitory and Wausanro22-gil.Suggestions were made under division into facilities required for the university as introduction program, facilities for the local community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for the university as well as the local community. Facilities for the university includes educational space such as art library and media center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university research lab supporting start-ups and industrial collaboration open lecture halls for interaction with the public workspace such as art workshop and studios supporting creating of artworks. Facilities for the region are cultural and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multi-purpose museum where exhibitions and sales are available to support art and culture activities multi-purpose theater where different culture can be experienced space for various culture and art clubs sports center and public parking lot for practical support. Also a specialized retail store is needed to featur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university and to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and open facilities which are for both the university and the region are required.
      Considering such facilities needed, the plan to improve the border of the Hongik University is: First, advancing its identity as an art university. For this, local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hub space should be provided for artists and facilitate the cooperation and the space should be used as a place for communication with average persons to build identity of the region and promote the space through special experience for visitors.
      Second, creation of art-specialized street to offer convenience both to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he nature of alleys should be preserved but should be more accessible for easier walking; open spaces and rest areas should be created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n addition, they should be turned into spaces for introducing artworks made in startup workshops and studios to create a street specialized in culture and art which will be needed by local residents, the university and visitor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itute a boundary where art related startup shops and enterprises are combined to create identity of the region for the sake of mutual development of local facilities and the region. Also complementary cooperation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outside by inside of the university is required via open campus.
      Such improvement measures on the Hongik University campus border will make the university's identity clearer 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 strengthened. Providing interactive space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flexible border will turn the university into a sustainable one that will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diversifying era.
      번역하기

      In the past, domestic universities had mostly b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perty exclusively for small number of specific classes with the functions being restricted to education and research use of its campuses were limited to certain people ...

      In the past, domestic universities had mostly b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perty exclusively for small number of specific classes with the functions being restricted to education and research use of its campuses were limited to certain people only. However, as the society gets modernized, things become complexed and various lifestyles have emerged. Thus, the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ies has continuously changing to include, in addition to teaching and research, diverse functions such as sharing culture and welfare for local community and lifetime learning for interaction with the public in accordance with requirements of the age. However, as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becomes fierce due to opening of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rising from low birth rate, each university has to accept creative management and the concept of economy innovative improvement plans are needed not just for software aspect for specialization but for hardware aspect considering interrelation with space associated with the programs and buildings.
      In the early days of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in Seoul, most of them were located outside of the city and neighboring areas around the campuses were consisted with minimum amount of residential area and local living facilities that would solve housing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due to rapid expansion and development, the city became overcrowded and the same happened in the areas surrounding universities. Each university is required to make a big change in campus boundaries, not to mention expansion of additional facilities within the campus due to an increase in students and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Campuses of former urban universities still focused on internally oriented development with the limitation of being isolated from their neighborhood. This causes decrease of comfort in the limited area of the campuses. To overcome this, there are many development projects being carried out recently, such as street activation around universities and urban regeneration. However, this does not create flexible boundary that is complementary to its neighborhood but business environment only accelerating gentrification where existing residents leave their hometown. Thus, universities should not seek development separated from local community any more but create flexible boundary expanding to its neighborhood getting out of the limited campus to pursue various development and multi-purpose spaces so that the usefulness of the boundary can offer help to its local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boundaries of urban type campuses in Seoul and more than 80 % of the residential areas were found to b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although various boundary activation plans are being made now, neighborhood of residential areas were identified to have closed characteristics. Study was carried out on how to improve campus neighborhood focusing on that of Hongik University, among the urban campuses analyzed, where residential and commerce areas are mixed and characterized with unique school and residential property.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neighborhood and border of Hongik University has shown that the location of cultural consumption spaces featuring local characteristics had at least 2 local integration (integration r=3) of space syntax and it was analyzed to be similar with that of average local integration of the neighborhood which was 1.96. However, according to online postings such as those on Instagram, it was noted that cultural consumption area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even with low space phase, were visited by many who want to experience specialized products and atmosphere showing that space and products distinctive from other regions can increase psychological access. Commercialization of residential areas is carried out starting in areas with high phase due to urban space structure and expansion of commercial areas is causing gentrification. Thus, not just solution for this but improvement plan for border areas is required for the sake of residents.
      The locations of the Hongik University boundary which can be easily activated were found to be from Hongmunguan to the second dormitory and Wausanro22-gil.Suggestions were made under division into facilities required for the university as introduction program, facilities for the local community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for the university as well as the local community. Facilities for the university includes educational space such as art library and media center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university research lab supporting start-ups and industrial collaboration open lecture halls for interaction with the public workspace such as art workshop and studios supporting creating of artworks. Facilities for the region are cultural and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multi-purpose museum where exhibitions and sales are available to support art and culture activities multi-purpose theater where different culture can be experienced space for various culture and art clubs sports center and public parking lot for practical support. Also a specialized retail store is needed to featur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university and to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and open facilities which are for both the university and the region are required.
      Considering such facilities needed, the plan to improve the border of the Hongik University is: First, advancing its identity as an art university. For this, local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hub space should be provided for artists and facilitate the cooperation and the space should be used as a place for communication with average persons to build identity of the region and promote the space through special experience for visitors.
      Second, creation of art-specialized street to offer convenience both to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he nature of alleys should be preserved but should be more accessible for easier walking; open spaces and rest areas should be created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n addition, they should be turned into spaces for introducing artworks made in startup workshops and studios to create a street specialized in culture and art which will be needed by local residents, the university and visitor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itute a boundary where art related startup shops and enterprises are combined to create identity of the region for the sake of mutual development of local facilities and the region. Also complementary cooperation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outside by inside of the university is required via open campus.
      Such improvement measures on the Hongik University campus border will make the university's identity clearer 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 strengthened. Providing interactive space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flexible border will turn the university into a sustainable one that will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diversifying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국내 대학들은 대부분 소수의 특정 계층을 위한 교육기관이자 전유물로써 그 기능이 교육과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고, 대학 캠퍼스 또한 특정 이용자들만을 위한 제한적 시설이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급속도로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한 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학의 역할과 기능도 시대의 요구에 발맞춰 학문 전달의 기능과 연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를 위한 문화·복지 등의 나눔 기능, 일반 대중과의 교류를 위한 평생 교육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확충해나가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최근 교육의 개방화·세계화 및 저출산 문제로 인한 취학인구 감소 등으로 인한 대학들 간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각 대학들은 창의적 경영과 경제적 개념을 갖출 수밖에 없는 현안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특성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은 물론이고 그 프로그램과 연계된 공간, 건물들과의 상호 관계를 고려한 하드웨어적 측면의 혁신적인 개선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들의 설립 초기에는 대부분이 도심 외곽지역에 위치하였으며, 이 시기의 캠퍼스 주변은 대학생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최소의 주거지와 이들을 위한 근린생활시설들로 형성되어졌다. 하지만 도시의 급격한 확장과 개발로 인하여 도시는 과밀화 되었으며, 대학 주변지역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다. 각 대학들은 학생들의 증가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다양한 개발 사업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캠퍼스 내부의 추가시설확충 뿐만 아니라, 캠퍼스 경계부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전의 도심형 대학들의 캠퍼스는 내부 중심적 개발에 머물러 있었으며, 국내 대학 주변지역은 캠퍼스와 단절된 경계를 이루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제한된 캠퍼스 부지내의 쾌적한 환경이 점차적으로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해 최근에 대학 주변의 가로활성화, 도시재생 등 많은 사업들을 통해 경계부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은 주변지역과의 상호보완적인 유연한 경계부 개발보다는, 상업시설에만 편중된 개발로 인하여 기존주민들과의 상생보다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만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더 이상 지역사회와 분리 개발되기 보다는 한정된 캠퍼스를 벗어나 주변지역과 유연한 경계부를 가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발과 다기능적인 공간들을 만들어 캠퍼스 경계부의 다양한 활용성을 토대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도심형 캠퍼스의 경계부를 분석한 결과 80%이상 주거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경계부 활성화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주거 인접부분의 경계부는 대부분이 폐쇄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사된 도심형 캠퍼스 중 주거와 상업이 혼재되어 있고 타 대학과 차별화된 학교 특성과 지역적 특성이 있는 홍대를 중심으로 캠퍼스 경계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홍대 캠퍼스 주변지역 및 경계부를 세부적으로 조사한 결과, 지역특성이 있는 상업시설인 문화적 소비공간의 입지는 공간구문론의 부분통합도에서 2이상인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주변지역의 평균 부분통합도인 1.96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과 같은 온라인 게시물을 참조할 때 공간 위상이 낮은 곳이라도 지역적 특성이 있는 문화적 소비공간에서는 특화된 상품 및 분위기를 경험하기 위한 많은 방문자 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지역과 차별화된 공간 및 제품으로도 심리적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거지의 상업화는 도시공간구조상 위상이 높은 지역부터 상업화가 이루어지며, 상업 공간의 확장에 따라 기존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버리고 이탈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뿐만 아니라, 기존 주민들을 위한 경계부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홍대 경계부 중 활성화되기 쉬운 입지는 홍문관으로부터 제2기숙사 사이의 와우산로 22길로 분석되었으며, 도입 프로그램으로 학교의 필요시설과 지역의 필요시설, 학교와 지역의 교류시설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학교의 필요시설은 교육공간으로 지역성 및 대학의 특성을 고려 시 예술전문 도서관, 미디어 센터, 창업 및 산업협력을 지원하는 연구실, 대중과 연계 가능한 오픈 강연장 및 강의실,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공방 및 스튜디오와 같은 작업실이 있다. 지역의 필요시설은 문화시설 및 지원시설로 문화예술을 지원할 수 있는 전시판매가 가능한 복합 미술관,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복합 공연장, 다양한 문화예술분야 관련 동호회실 등이며, 직접적으로 삶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시설로 스포츠 센터 및 공용주차장이 있다. 또한 학교 특성 및 지역성을 나타내고 지역주민과 교류할 수 있는 특성화된 리테일 상점이 필요하며, 학교 필요시설 및 지역필요시설이 복합화 된 개방형 시설들이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런 필요시설을 고려하여 홍대 캠퍼스 경계부 개선을 위한 방안은
      첫째, 예술대학으로서의 아이덴티티 향상이다. 이를 위해 지역산학 협력단을 만들고, 예술인의 거점공간을 제공하며, 지역산학 협력단과 예술인 거점공간을 일반인과 교류할 수 있는 소통 공간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방문자에게 특별한 체험을 통한 스페이스 마케팅을 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 주민 및 방문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예술특화가로 조성이다. 골목길의 특성을 보존하되 접근성을 향상하여 보행의 편의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 및 방문자를 고려한 오픈스페이스와 휴게공간을 조성하여야 한다. 또한 이 공간들은 창업공방 및 작업실에서 만든 문화예술품을 소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문화예술 특화가로를 형성하여 지역주민과 학교, 방문자 모두에게 필요한 공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셋째, 주변시설 및 지역과의 연계 발전을 위해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예술관련 창업 공간과 기업이 조합된 경계부 구성이 필요하며, 오픈 캠퍼스를 통해 대학 내 외부의 적극적 연계를 통한 상호 보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홍대 캠퍼스 경계부의 개선방안은 홍대의 정체성을 더 명확히 하고 지역성을 강화시켜줄 것이며, 유연한 경계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교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다변화되고 있는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대학으로 변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과거 국내 대학들은 대부분 소수의 특정 계층을 위한 교육기관이자 전유물로써 그 기능이 교육과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고, 대학 캠퍼스 또한 특정 이용자들만을 위한 제한적 시설이었다. 하...

      과거 국내 대학들은 대부분 소수의 특정 계층을 위한 교육기관이자 전유물로써 그 기능이 교육과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고, 대학 캠퍼스 또한 특정 이용자들만을 위한 제한적 시설이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급속도로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한 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학의 역할과 기능도 시대의 요구에 발맞춰 학문 전달의 기능과 연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를 위한 문화·복지 등의 나눔 기능, 일반 대중과의 교류를 위한 평생 교육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확충해나가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최근 교육의 개방화·세계화 및 저출산 문제로 인한 취학인구 감소 등으로 인한 대학들 간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각 대학들은 창의적 경영과 경제적 개념을 갖출 수밖에 없는 현안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특성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은 물론이고 그 프로그램과 연계된 공간, 건물들과의 상호 관계를 고려한 하드웨어적 측면의 혁신적인 개선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들의 설립 초기에는 대부분이 도심 외곽지역에 위치하였으며, 이 시기의 캠퍼스 주변은 대학생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최소의 주거지와 이들을 위한 근린생활시설들로 형성되어졌다. 하지만 도시의 급격한 확장과 개발로 인하여 도시는 과밀화 되었으며, 대학 주변지역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다. 각 대학들은 학생들의 증가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다양한 개발 사업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캠퍼스 내부의 추가시설확충 뿐만 아니라, 캠퍼스 경계부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전의 도심형 대학들의 캠퍼스는 내부 중심적 개발에 머물러 있었으며, 국내 대학 주변지역은 캠퍼스와 단절된 경계를 이루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제한된 캠퍼스 부지내의 쾌적한 환경이 점차적으로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해 최근에 대학 주변의 가로활성화, 도시재생 등 많은 사업들을 통해 경계부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은 주변지역과의 상호보완적인 유연한 경계부 개발보다는, 상업시설에만 편중된 개발로 인하여 기존주민들과의 상생보다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만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더 이상 지역사회와 분리 개발되기 보다는 한정된 캠퍼스를 벗어나 주변지역과 유연한 경계부를 가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발과 다기능적인 공간들을 만들어 캠퍼스 경계부의 다양한 활용성을 토대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도심형 캠퍼스의 경계부를 분석한 결과 80%이상 주거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경계부 활성화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주거 인접부분의 경계부는 대부분이 폐쇄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사된 도심형 캠퍼스 중 주거와 상업이 혼재되어 있고 타 대학과 차별화된 학교 특성과 지역적 특성이 있는 홍대를 중심으로 캠퍼스 경계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홍대 캠퍼스 주변지역 및 경계부를 세부적으로 조사한 결과, 지역특성이 있는 상업시설인 문화적 소비공간의 입지는 공간구문론의 부분통합도에서 2이상인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주변지역의 평균 부분통합도인 1.96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과 같은 온라인 게시물을 참조할 때 공간 위상이 낮은 곳이라도 지역적 특성이 있는 문화적 소비공간에서는 특화된 상품 및 분위기를 경험하기 위한 많은 방문자 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지역과 차별화된 공간 및 제품으로도 심리적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거지의 상업화는 도시공간구조상 위상이 높은 지역부터 상업화가 이루어지며, 상업 공간의 확장에 따라 기존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버리고 이탈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뿐만 아니라, 기존 주민들을 위한 경계부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홍대 경계부 중 활성화되기 쉬운 입지는 홍문관으로부터 제2기숙사 사이의 와우산로 22길로 분석되었으며, 도입 프로그램으로 학교의 필요시설과 지역의 필요시설, 학교와 지역의 교류시설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학교의 필요시설은 교육공간으로 지역성 및 대학의 특성을 고려 시 예술전문 도서관, 미디어 센터, 창업 및 산업협력을 지원하는 연구실, 대중과 연계 가능한 오픈 강연장 및 강의실,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공방 및 스튜디오와 같은 작업실이 있다. 지역의 필요시설은 문화시설 및 지원시설로 문화예술을 지원할 수 있는 전시판매가 가능한 복합 미술관,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복합 공연장, 다양한 문화예술분야 관련 동호회실 등이며, 직접적으로 삶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시설로 스포츠 센터 및 공용주차장이 있다. 또한 학교 특성 및 지역성을 나타내고 지역주민과 교류할 수 있는 특성화된 리테일 상점이 필요하며, 학교 필요시설 및 지역필요시설이 복합화 된 개방형 시설들이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런 필요시설을 고려하여 홍대 캠퍼스 경계부 개선을 위한 방안은
      첫째, 예술대학으로서의 아이덴티티 향상이다. 이를 위해 지역산학 협력단을 만들고, 예술인의 거점공간을 제공하며, 지역산학 협력단과 예술인 거점공간을 일반인과 교류할 수 있는 소통 공간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방문자에게 특별한 체험을 통한 스페이스 마케팅을 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 주민 및 방문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예술특화가로 조성이다. 골목길의 특성을 보존하되 접근성을 향상하여 보행의 편의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 및 방문자를 고려한 오픈스페이스와 휴게공간을 조성하여야 한다. 또한 이 공간들은 창업공방 및 작업실에서 만든 문화예술품을 소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문화예술 특화가로를 형성하여 지역주민과 학교, 방문자 모두에게 필요한 공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셋째, 주변시설 및 지역과의 연계 발전을 위해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예술관련 창업 공간과 기업이 조합된 경계부 구성이 필요하며, 오픈 캠퍼스를 통해 대학 내 외부의 적극적 연계를 통한 상호 보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홍대 캠퍼스 경계부의 개선방안은 홍대의 정체성을 더 명확히 하고 지역성을 강화시켜줄 것이며, 유연한 경계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교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다변화되고 있는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대학으로 변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제 2 장 대학캠퍼스 경계부 현황 및 활성화 계획 7
      • 2.1 대학캠퍼스 경계부에 대한 고찰 7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제 2 장 대학캠퍼스 경계부 현황 및 활성화 계획 7
      • 2.1 대학캠퍼스 경계부에 대한 고찰 7
      • 2.1.1 대학캠퍼스 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 2.1.2 대학캠퍼스 경계부에 대한 연구 동향 15
      • 2.1.3 대학캠퍼스 경계부 정의 및 계획기준 17
      • 2.2 대학캠퍼스 경계부 현황 및 유형 24
      • 2.2.1 서울소재 대학캠퍼스 경계부 현황 24
      • 2.2.2 서울소재 대학캠퍼스 경계부 유형 35
      • 2.2.3 경계부 유형과 주변지역 활성화 36
      • 2.3 대학캠퍼스 경계부 활성화 사례 39
      • 2.3.1 경계부 활성화 국내 사례 39
      • 2.3.2 경계부 활성화 해외 사례 48
      • 2.3.3 국내외 캠퍼스 경계부 활성화 비교분석 55
      • 제 3 장 홍대캠퍼스 경계부의 특성 57
      • 3.1 홍대캠퍼스 경계부의 특성 57
      • 3.1.1 경계부의 유형 및 물리적 특성 57
      • 3.1.2 경계부의 용도 및 물리적 변화과정 60
      • 3.1.3 경계부 변화의 주요 특성 65
      • 3.2 홍대캠퍼스 경계부의 공간구조적 특성 69
      • 3.2.1 주변지역의 공간구조적 특성 69
      • 3.2.2 문화소비시설과 공간구조의 관계 73
      • 3.2.3 홍대 경계부의 공간구조적 특성 76
      • 3.3 홍대캠퍼스 경계부 활성화 대상지 검토 78
      • 3.3.1 경계부 활성화 대상지 선정 78
      • 3.3.2 경계부 활성화 대상지 세부검토 81
      • 3.3.3 경계부 활성화 도입 프로그램 분석 84
      • 제 4 장 홍대캠퍼스 경계부 개선방안 87
      • 4.1 홍대캠퍼스 경계부의 활성화 기본방향 87
      • 4.1.1 학교 필요시설을 고려한 경계부 활성화 기본방향 87
      • 4.1.2 지역사회를 고려한 경계부 활성화 기본방향 89
      • 4.1.3 지역의 정체성을 고려한 경계부 활성화 기본방향 90
      • 4.2 홍대캠퍼스 경계부의 활성화 기본방향 92
      • 4.2.1 예술대학으로서의 아이덴티티 향상 계획 92
      • 4.2.2 지속가능성을 고려하 지역성 향상계획 95
      • 4.2.3 주변시설 및 지역과의 연계 발전 계획 97
      • 4.3 홍대캠퍼스 경계부의 개선방안 100
      • 4.3.1 정체성을 고려한 거리 개선방안 102
      • 4.3.2 지역사회 활성화를 고려한 개선방안 103
      • 4.3.3 캠퍼스와 연계를 고려한 개선방안 105
      • 제 5 장 결론 109
      • 5.1 연구의 종합 및 요약 109
      • 5.2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112
      • 참고문헌 115
      • ABSTRACT 1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