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중기 이후 가사(袈裟)의 유형과 변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252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n Kasaya, the Buddhist monk`s robe,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s that has kept it original form, as well as it being the most symbolic ritual costume in Buddhism. The purpose of the study i...

      This i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n Kasaya, the Buddhist monk`s robe,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s that has kept it original form, as well as it being the most symbolic ritual costume in Buddhis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the different types of Kasaya, and the transitions it has gone through since Mid Joseon Dynasty. The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categorizing Kasaya in the following manner: layers, the way to wear, symbolism in construction, sewing, etc. Having a variety of Ilwolguangcheop(日月光貼) is a feature of Korean Red Kasaya. In the beginning, Its shape was very similar to shape of Hyungbae(胸背), and this was a royal gift and had the same meaning as an official uniform for a Buddhist monk. So designs of the Cheop(貼) could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ose of Hyungbae with a Buddhist twis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Double layered Kasaya shows its transition from double layer to single layer. The fastening ornaments have been simplified in all materials from Yeongja(纓子). The latch type and three-paired Yeongja type transformed into hook type and one-paired Yeongja type. Color is the most common feature above all, and it is mainly in red. The form of Korean Kasaya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development of Buddhism. The integration of the Zen sect would have influenced the integration of Kasaya, which shows diversity throughout the peri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석주선, "흉배" 단국대학교출판부 64-, 1979

      2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화엄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 24-, 2008

      3 태고종 종단사간행위원회, "홍가사" 중도 16-17, 2009

      4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15-, 2008

      5 통도사성보박물관, "한국의 불화 초본" 통도사성보박물관 39-, 1992

      6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불화 39" 성보문화재연구원 24-, 2007

      7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불화 34" 성보문화재연구원 172-182, 2005

      8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불화 31" 성보문화재연구원 154-, 2004

      9 안명숙, "한국의 가사 袈裟" 대원사 58-59, 2005

      10 문소운, "한국 전통가사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2

      1 석주선, "흉배" 단국대학교출판부 64-, 1979

      2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화엄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 24-, 2008

      3 태고종 종단사간행위원회, "홍가사" 중도 16-17, 2009

      4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15-, 2008

      5 통도사성보박물관, "한국의 불화 초본" 통도사성보박물관 39-, 1992

      6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불화 39" 성보문화재연구원 24-, 2007

      7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불화 34" 성보문화재연구원 172-182, 2005

      8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불화 31" 성보문화재연구원 154-, 2004

      9 안명숙, "한국의 가사 袈裟" 대원사 58-59, 2005

      10 문소운, "한국 전통가사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2

      11 "청룡사 11대 중창주인 진우(眞愚)스님 구술, “상근스님은 불전의 법요의식(法要儀式)과 각단의 예경승사(禮敬承事)와 범패(梵唄)에 남달리 뛰어난 실력으로 스님을 초청하는 사찰이 많았다고 한다. 스님도 20세까지 이 가사를 착용하고 나비춤을 추었다고 회고함.”"

      12 문명대, "청룡사" 한국미술사연구소 출판부 64-65, 2010

      13 수덕사근역성보관, "지심귀명례" 수덕사근역성보관 190-195, 2006

      14 박성실, "중요민속자료 조사보고서-선암사 소장 가사·탁의" 문화재청 31-, 2003

      15 강선정, "조선 중기 서산대사와 벽암대사의 가사 유물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1 (61): 122-138, 2011

      16 "정조 42권, 19년(1795) 4월 28일"

      17 허동화, "이렇게 좋은 자수" 한국자수박물관 출판부 252-253, 2001

      18 월정사성보박물관, "월정사성보박물관 도록" 월정사성보박물관 111-, 2002

      19 조선불교통사역주편찬위원회, "역주 조선불교통사 6" 동국대학교출판부 289-, 2010

      20 조선불교통사역주편찬위원회, "역주 조선불교통사 5" 동국대학교출판부 372-, 2010

      21 "송광사박물관장 고경스님 구술. “송광사에 전해졌던 보조국사 가사는 푸른색 계통이었지만 한국전쟁 때 불타버렸다.”고 증언"

      22 "불설가사공덕경"

      23 홍법원, "불교학대사전" 홍법원 1220-, 1994

      24 고려대학교박물관, "복식류 명품도록" 고려대학교 출판부 102-, 1990

      25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180155)"

      26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180154)"

      27 시공사, "고려불화" 시공사 128-, 2000

      28 조선화보사, "고구려고분벽화" 조선화보사 118-, 1986

      29 이지관, "가산불교대사림 11권"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3-, 2009

      30 이인영, "金剛寺 소장 錦袈裟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9 (9): 87-93, 2006

      31 韓基先, "朝鮮朝 世宗의 抑佛과 信佛에 대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5 0.79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