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용무용 참여ㆍ비참여 대학생의 심리적안녕감 및 신체적유능감 차이 = The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Participated Students or not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5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the aims to prov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participated students or not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dance. To solve the aim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samples who took a practical dance classes as a liberal arts courses, and they were under 4 years in college in the Seoul or Gyeonggi Province. Samp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10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dance class, and 101 students not participated there, total are 209. The statistical methods to hypothesis wa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se processes and procedures. First,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actical dance perceived higher than ones who didn't participate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dance perceived higher than students who didn't participate to the self-attractiveness : the sub physical confidenc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even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actical dance, had increas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nse of physical compete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ng in the practical dance was an useful mechanism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nse of physical competence, and it described that the practical dance classes should be found actively and suggested as the liberal arts in the college.
      번역하기

      ??This study has the aims to prov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participated students or not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dance. To solve the aim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samp...

      ??This study has the aims to prov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participated students or not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dance. To solve the aim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samples who took a practical dance classes as a liberal arts courses, and they were under 4 years in college in the Seoul or Gyeonggi Province. Samp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10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dance class, and 101 students not participated there, total are 209. The statistical methods to hypothesis wa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se processes and procedures. First,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actical dance perceived higher than ones who didn't participate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dance perceived higher than students who didn't participate to the self-attractiveness : the sub physical confidenc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even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actical dance, had increas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nse of physical compete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ng in the practical dance was an useful mechanism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nse of physical competence, and it described that the practical dance classes should be found actively and suggested as the liberal arts in the colle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건미, "한국무용이 노인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영란, "한국 실용무용의 발전과 현황분석에 따른 개념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3 장지선, "필라테스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강은영, "푸코의 계보학적 분석을 통한 생활무용의 변동적 특성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5 양은심, "주부의 생활무용 참가와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간의 인과관계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9

      6 홍미성, "여대생의 교양생활무용 체험에 관한 질적 접근" 대한무용학회 49 (49): 301-318, 2006

      7 배윤정, "생활무용참가자들의 참여경력, 참여동기, 몰입행동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8 이경주, "생활무용 참여행동의 사회심리적 변화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9 임인경, "생활무용 참여자와 비참여자들의 기분상태(POMS) 비교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신혜숙,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자아 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및 사회적 지지"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67-86, 2007

      1 이건미, "한국무용이 노인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영란, "한국 실용무용의 발전과 현황분석에 따른 개념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3 장지선, "필라테스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강은영, "푸코의 계보학적 분석을 통한 생활무용의 변동적 특성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5 양은심, "주부의 생활무용 참가와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간의 인과관계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9

      6 홍미성, "여대생의 교양생활무용 체험에 관한 질적 접근" 대한무용학회 49 (49): 301-318, 2006

      7 배윤정, "생활무용참가자들의 참여경력, 참여동기, 몰입행동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8 이경주, "생활무용 참여행동의 사회심리적 변화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9 임인경, "생활무용 참여자와 비참여자들의 기분상태(POMS) 비교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신혜숙,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자아 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및 사회적 지지"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67-86, 2007

      11 박진희, "생활무용 참여가 사회적지지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56 (56): 63-76, 2008

      12 김은주, "생활무용 참가자의 참가동기와 심리적 웰빙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16) : 13-31, 2008

      13 김은주, "생활무용 참가자의 참가결정동기와 자기관리행동, 심리적 웰빙 및 생활만족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4 이병옥, "사회무용 개념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3 (3): 56-65, 1989

      15 김수희, "발레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8

      16 김인숙, "무용동작치료 활동을 통한 영아와 부모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7 정미송, "댄스스포츠가 남자 대학생의 신체구성 및 유산소성 운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무용학회 (41) : 131-145, 2004

      18 박준희, "댄스스포츠 활동이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19 허진영, "댄스스포츠 참여자들의 몰입경험, 부부관계, 삶의 질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59 (59): 253-268, 2009

      20 황향희, "댄스스포츠 참여와 여가인지, 결혼생활 만족도 및 신체상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21 신현주, "댄스스포츠 참가가 청소년의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4 (44): 725-733, 2005

      22 홍미성, "교양생활무용 체험이 신체구성과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6

      23 민경미, "고등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정서 표현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4 Kopp, R. G., "Women's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72 : 1351-1354, 1993

      25 Fordyce,M,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A review of research on the happiness measures: A sixty second index of happiness and mental health" 355-381, 1988

      26 McDowell, I.,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Oxford 1990

      27 Masayo Naruse, "10대 여성재소자들의 12주간 방송댄스 프로그램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63 (63): 323-33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