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기반 정신보건서비스 조직의 네트워킹 결정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Networking of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48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장애인은 복합적 욕구를 가진 인구 집단으로 어느 한 기관에서 모든 서비스 욕구를 대응하기는 어렵다. 수요자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조직들의 네트워크 구축이 전개되고 있다. 기관간의 협력적 관계가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네트워킹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총 91개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조직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내 네트워킹(연계조직 수, 연계횟수, 서비스 연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지역환경, 조직유형, 사회복지사 수와 서비스 제공수준이 네트워킹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주었으며, 사례관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및 지역특성, 그리고 사례관리의 구체적 수행요소 등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정신장애인은 복합적 욕구를 가진 인구 집단으로 어느 한 기관에서 모든 서비스 욕구를 대응하기는 어렵다. 수요자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

      정신장애인은 복합적 욕구를 가진 인구 집단으로 어느 한 기관에서 모든 서비스 욕구를 대응하기는 어렵다. 수요자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조직들의 네트워크 구축이 전개되고 있다. 기관간의 협력적 관계가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네트워킹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총 91개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조직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내 네트워킹(연계조직 수, 연계횟수, 서비스 연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지역환경, 조직유형, 사회복지사 수와 서비스 제공수준이 네트워킹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주었으며, 사례관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및 지역특성, 그리고 사례관리의 구체적 수행요소 등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etworking has been assertively attempted in order to provide the client-oriented tailored services for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etworking among the 91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The study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networking was predicted by the community type (the location of the organizations), the type of the organizations, the number of social workers, and the amount of the service provisions. Implications were addressed.
      번역하기

      The networking has been assertively attempted in order to provide the client-oriented tailored services for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etworking among the 91 community-based men...

      The networking has been assertively attempted in order to provide the client-oriented tailored services for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etworking among the 91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The study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networking was predicted by the community type (the location of the organizations), the type of the organizations, the number of social workers, and the amount of the service provisions. Implications were addre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교정, "휴먼서비스 조직간 네크워크 특성과 영향 요인: 소년소녀가정 서비스를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2005

      2 장인협, "케어․케이스매니지먼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우수명, "지역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2008

      4 이선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서 서비스 조정전략" 9 : 127-152, 2000

      5 이현주, "지역단위 사회복지 관련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6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재활서비스네트워크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2006

      7 최일섭, "정신요양시설의 장기발전 전략 방안 연구" 한국정신요양협회 2008

      8 박미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63-92, 2002

      9 김기태, "정신보건복지론" 양서원 2003

      10 강순영,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카톨릭대학교 2000

      1 김교정, "휴먼서비스 조직간 네크워크 특성과 영향 요인: 소년소녀가정 서비스를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2005

      2 장인협, "케어․케이스매니지먼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우수명, "지역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2008

      4 이선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서 서비스 조정전략" 9 : 127-152, 2000

      5 이현주, "지역단위 사회복지 관련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6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재활서비스네트워크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2006

      7 최일섭, "정신요양시설의 장기발전 전략 방안 연구" 한국정신요양협회 2008

      8 박미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63-92, 2002

      9 김기태, "정신보건복지론" 양서원 2003

      10 강순영,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카톨릭대학교 2000

      11 정순둘, "재가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네트워크 분석" 46 : 401-426, 2001

      12 김언아,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의 구조 분석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2) : 135-167, 2008

      13 김인숙, "사회적 관계망 개입의 유형과 장애요인 연구: 지역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를 중심으로" 43 : 7-41, 2000

      14 박현식, "사회복지조직간 네트워크 구축의 장애 요인 연구- 탈북자 정착 지원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 203-223, 2006

      15 우정자, "사회복지 조직간 협력관리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7-64, 2006

      16 이준영, "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이론과 과제" 2007

      17 김인숙, "부천지역 여성복지관련 조직의 네트워크 구조와 특성"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179-207, 2003

      18 최송식, "부산․경남지역의 정신보건서비스 연계 실태분석" 19 (19): 41-76, 2003

      19 민소영, "만성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 모형과 수행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 215-242, 2006

      20 유채영, "대전지역 물질남용 관련기관들의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청소년약물예방과 치료.재활을 위한 지역사회협력체계망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3) : 147-175, 2006

      21 박경숙, "노인보건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의 네트워크 구조-공공복지행정기관, 민간노인복지기관, 공공보건기관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 245-269, 2008

      22 심선경, "고용지원센터 상담직원의 조직연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39-262, 2009

      23 이혜원, "결식아동 지원조직간 서비스 연계망(network)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49 : 190-224, 2002

      24 김재엽, "가정폭력 관련 기관들의 서비스 연계실태와 관련 요인" 47 : 107-147, 2001

      25 김기태, "가정봉사원파견센터의 연계구조 및 연계요인 분석-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6 (26): 211-232, 2006

      26 King, R., "The impact of caseload on the personal efficaly of mental health case managers" 51 (51): 364-368, 2000

      27 Rosenheck, R. A., "Service systems integration and outcomes for mentally ill homeless persons in the ACCESS program" 53 (53): 958-966, 2002

      28 Morrissey, J., "Service system performance and integration: A baseline profile of the ACCESS demonstration sites" 48 (48): 374-380, 1997

      29 Rosenheck, R., "Service system integration, access to services, and housing outcomes in a program for homeless person with severe mental illness" 88 (88): 1610-1615, 1998

      30 Grusky, O., "Models of local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28 (28): 685-703, 1985

      31 Morrissey. J.P, "Local mental health authroties and service system change: Evidence from the Robert Wood Johnson Program on chronic mental illness" 72 (72): 49-80, 1994

      32 Goldman, H. H., "Lessons from the program on chronic mental illness" 11 (11): 51-68, 1992

      33 Morrissey, J.P., "Integration of service systmes for homeless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through the ACCESS program" 53 (53): 949-957, 2002

      34 Provan, K. G., "Institutional-level norms and organization니 involvement in a service-implementation network" 1 (1): 391-417, 1991

      35 Intagliata, J.,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he role of case management" 8 (8): 655-674, 1982

      36 Hjern, B., "Implementation structures: A new unit of administrative analysis" 2 (2): 211-227, 1981

      37 Summers, M., "Facilitating comparisons between evaluations of case management programs" 2 (2): 86-92, 2000

      38 McGuire, J., "Expanding service delivery: Does it improve relationships among agencies serving homeless people with mental illness?" 29 (29): 243-256, 2002

      39 Shern, D. L., "Designing community treatment systems for the most seriously mentally ill: A state administrative perspective" 45 (45): 105-117, 1989

      40 Austin, C. D., "Case management: Who needs it? Does it work?" 3 (3): 178-184, 2002

      41 Biegel, D. E., "Barriers to social network interventions with persons with severe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 A survey of mental health case managers" 31 (31): 335-349, 1995

      42 보건복지가족부, "2009년 정신보건사업안내" 보건복지가족부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2-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ental Health & Social Work KCI등재
      2007-03-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 1.87 2.1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