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당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Disability Right Movements of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5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of the disabled. Method: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five disabled people with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an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Results: The collection of themes about their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included 'glooming existence', 'motivation', 'shouting to the world', 'aggravated conflict', 'alone, together', and 'now towards plus'. In the results of integrating the drawn collection of themes, the essence of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verified as 'resistance and identity'. Conclusions: First, in case when deciding the policies for the disabled, the amendment to mandatory provision is needed instead of voluntary provision. Second, there should be an agreement on the definition of movement from the inside of disability right movement. Third,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 should band together with civil society groups. Fourth, it would be necessary to cultivate the leaders of disability right movements in each type of disability.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of the disabled. Method: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five disabled people with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of the disabled. Method: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five disabled people with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an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Results: The collection of themes about their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included 'glooming existence', 'motivation', 'shouting to the world', 'aggravated conflict', 'alone, together', and 'now towards plus'. In the results of integrating the drawn collection of themes, the essence of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verified as 'resistance and identity'. Conclusions: First, in case when deciding the policies for the disabled, the amendment to mandatory provision is needed instead of voluntary provision. Second, there should be an agreement on the definition of movement from the inside of disability right movement. Third, the disability right movement should band together with civil society groups. Fourth, it would be necessary to cultivate the leaders of disability right movements in each type of dis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당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운동 경험이 있는 장애인 5명에 대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에 관한 주제모음은 ‘어둑한 존재’, ‘이끌림’, ‘세상에 외침’, ‘조장된 갈등’, ‘홀로, 함께’, ‘이제는 플러스를 향해’로 나타났다. 도출된 주제모음을 통합하여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의 본질은 ‘저항과 주체성’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첫째, 장애인정책결정시 임의조항이 아닌 강제조항으로의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운동 내부의 운동의 정의에 대하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운동의 시민사회단체와의 연대가 필요하다. 넷째, 장애유형별 장애인운동의 리더 양성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당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운동 경험이 있는 장애인 5명에 대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당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운동 경험이 있는 장애인 5명에 대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에 관한 주제모음은 ‘어둑한 존재’, ‘이끌림’, ‘세상에 외침’, ‘조장된 갈등’, ‘홀로, 함께’, ‘이제는 플러스를 향해’로 나타났다. 도출된 주제모음을 통합하여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의 본질은 ‘저항과 주체성’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첫째, 장애인정책결정시 임의조항이 아닌 강제조항으로의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운동 내부의 운동의 정의에 대하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운동의 시민사회단체와의 연대가 필요하다. 넷째, 장애유형별 장애인운동의 리더 양성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현미라, "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2013

      2 고춘완, "한국장애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전개된 운동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3 고병진, "한국 장애인 운동의 단계와 향후과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4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5 조흥식,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6 김정열, "장애인의 현실과 장애인 운동" 비판사회학회 (67) : 39-67, 2005

      7 이행진, "장애인운동은 빼앗긴 것을 되찾는 것"

      8 김대성, "장애인당사자주의 운동의 참여와 연대정신" 18 : 170-187, 2003

      9 김봉선, "장애인 자립생활운동에 나타난 임파워먼트 과정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75-397, 2010

      10 유동철,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의 사회복지운동 성과와 과제" 2004

      1 홍현미라, "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2013

      2 고춘완, "한국장애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전개된 운동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3 고병진, "한국 장애인 운동의 단계와 향후과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4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5 조흥식,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6 김정열, "장애인의 현실과 장애인 운동" 비판사회학회 (67) : 39-67, 2005

      7 이행진, "장애인운동은 빼앗긴 것을 되찾는 것"

      8 김대성, "장애인당사자주의 운동의 참여와 연대정신" 18 : 170-187, 2003

      9 김봉선, "장애인 자립생활운동에 나타난 임파워먼트 과정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75-397, 2010

      10 유동철,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의 사회복지운동 성과와 과제" 2004

      11 최성우, "인권의 관점에서 본 한국 장애인운동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0

      12 이효석, "우리는 해냈다…장애인단체 5년 만에 '광화문 농성' 풀어" 연합뉴스

      13 김윤정, "우리나라 장애인 운동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고찰"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7

      14 U, D. C., "연대와 갈등 사이: 한국장애인운동사" 3-16, 2017

      15 이인영, "신사회운동으로서의 장애인운동에 관한 고찰 : 장애인고용촉진등에관한법률과 장애인고용및직업재활법 정책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1

      16 박경석, "나, 박경석, 개가 아니라 사람이다" 뉴스포차

      17 김지윤, "개인소수자에서 당사자로의 임파워먼트 경험 : 자립생활운동 참여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18 鄭喜慶, "韓国における障害者運動の現代史ー当事者主義へいたるまでの歴史" 立命館大学 2012

      19 이동석, "Priestly의 장애 이론 유형에 따른 한국 장애인 제도 및 운동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3

      20 Colaizzi, P. F,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978

      21 Lincoln, Y. S,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Publication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