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장애대학생에 대한 비장애대학생의 태도 및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Attitude an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 the Peer with Disabilities as Community Memb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54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 공동체 생활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장애대학생에 대한 비장애대학생의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P대학의 비장애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학업활동에 대한 태도 평균 4.16점, 일상생활 태도 평균 3.66점, 전체 태도 평균 3.86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함께 강의를 수강한 횟수가 1회일 경우에는 부적상관이, 11회 이상일 경우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비장애대학생의 태도에 대한 설명력을 가지는 요인은 함께 강의를 수강 한 경험이 11회 이상일 경우로 나타났다. 빈번하게 함께 강의를 수강하는 경험 속에서 학업을 매개로 하는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교류활동 촉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공동체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 공동체 생활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장애대학생에 대한 비장애대학생의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 공동체 생활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장애대학생에 대한 비장애대학생의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P대학의 비장애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학업활동에 대한 태도 평균 4.16점, 일상생활 태도 평균 3.66점, 전체 태도 평균 3.86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함께 강의를 수강한 횟수가 1회일 경우에는 부적상관이, 11회 이상일 경우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비장애대학생의 태도에 대한 설명력을 가지는 요인은 함께 강의를 수강 한 경험이 11회 이상일 경우로 나타났다. 빈번하게 함께 강의를 수강하는 경험 속에서 학업을 매개로 하는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교류활동 촉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공동체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0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5 points scale and total 30 item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attitude of learning activities was 4.16, the average of daily living attitude was 3.66, and the total average attitude was 3.86. Th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lectures taken together(once - negative correlation, 11 times more -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Frequent experience of taking classes together of lecturing together encouraged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xchanges through academic activity. Therefore, this shows that it positively influences community formation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0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aire was c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0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5 points scale and total 30 item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attitude of learning activities was 4.16, the average of daily living attitude was 3.66, and the total average attitude was 3.86. Th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lectures taken together(once - negative correlation, 11 times more -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Frequent experience of taking classes together of lecturing together encouraged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xchanges through academic activity. Therefore, this shows that it positively influences community form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혜진, "학습동아리 활동이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22, 2012

      2 정경순, "평생교육체제를 통한 고등교육의 성격 변화 : 엘리트적 특권에서 시민권 획득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1-23, 2005

      3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부 2017

      4 김경화,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으로 입학한장애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93-210, 2015

      5 최은정,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비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71-87, 2014

      6 권회연, "통합교육 경험이 대학생들의 장애인 인권 의식 및 인성에 미친 영향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1-27, 2015

      7 김종삼, "통합교육 경험, 학년, 성별에 따른 일반아동의 장애아동 및 장애인에 대한 태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남연희, "척수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1-29, 2013

      9 유영준, "지체장애인과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적 지지 및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2 (12): 115-137, 2008

      10 조홍중,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157-172, 2006

      1 강혜진, "학습동아리 활동이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22, 2012

      2 정경순, "평생교육체제를 통한 고등교육의 성격 변화 : 엘리트적 특권에서 시민권 획득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1-23, 2005

      3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부 2017

      4 김경화,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으로 입학한장애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93-210, 2015

      5 최은정,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비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71-87, 2014

      6 권회연, "통합교육 경험이 대학생들의 장애인 인권 의식 및 인성에 미친 영향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1-27, 2015

      7 김종삼, "통합교육 경험, 학년, 성별에 따른 일반아동의 장애아동 및 장애인에 대한 태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남연희, "척수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1-29, 2013

      9 유영준, "지체장애인과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적 지지 및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2 (12): 115-137, 2008

      10 조홍중, "지체부자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157-172, 2006

      11 이지경, "장애학생의 대학생활 및 수업에 관한 실태와 성별에 따른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59-284, 2014

      12 김봉화, "장애통합반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5 (15): 55-64, 2017

      13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고등교육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14 이은하,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통합교육 태도 분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5 김정은, "장애대학생의 학업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159-179, 2013

      16 조성희, "장애대학생의 학습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14 (14): 261-292, 2013

      17 김자경,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65-82, 2017

      18 김자경,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61-476, 2007

      19 이경림,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실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89-308, 2007

      20 이현수, "장애대학생들의 학습권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 (2): 92-109, 2009

      21 김라경, "장애대학생들의 취업 현황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63-281, 2014

      22 김자경, "장애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학업동기요인 간 비교"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2 (12): 71-89, 2008

      23 국립특수교육원, "장애대학생 교수학습 지원 및 생활 지원 가이드북 개발"

      24 윤현숙, "장애 대학생과 친구되기(Buddy)에 대한 비장애대학생 태도에 관한 연구 :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33-148, 2013

      25 송민애,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155-172, 2015

      26 강혜경,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연구소 17 (17): 31-56, 2018

      27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대학교육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지원 요소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51-71, 2013

      28 문주영, "사회적 지지와 장애대학생 학업적응의 관계: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 분석을 기반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7 (27): 53-75, 2014

      29 정일교, "사회적 지지가 뇌성마비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9 (19): 61-81, 2015

      30 서보순, "비장애대학생의 장애대학생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649-679, 2015

      31 지은, "비장애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과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4 (14): 205-225, 2015

      32 김윤현, "부분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일반학생들의 장애 인식 수준"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3 김예순,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85-201, 2015

      34 유승주, "도우미 지원사업에 참여한 장애 대학생과 비장애 대학생의 갈등경험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3, 2015

      35 이귀숙,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53-73, 2016

      36 전미영,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충청도 대학을 중심으로 -"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1-13, 2017

      37 신가인, "대학생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1 (21): 177-193, 2017

      38 박완성,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14 (14): 104-125, 2002

      39 국립특수교육원,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 매뉴얼"

      40 국가인권위원회, "대학 장애학생 교육권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9

      41 박선주,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과 학업계획의 차이"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75-95, 2016

      42 홍성연,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14 (14): 271-295, 2016

      43 황순영, "교육공동체를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77-495, 2017

      44 서보순, "‘장애대학생’ 및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다니는 대학’에 관한 비장애대학생들의 메타포(metaphor)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3 (13): 317-347, 2014

      45 Raley, Y, "Why we quit" 18 (18): 74-79, 2007

      46 Leake, D. W, "Higher education and disability : Past and future of underrepresented populations" 27 (27): 399-408, 2014

      47 Tast, M. A, "Explori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Impacts of Disability Inclusion Training" Graduate Faculty of St. Cloud State University 2017

      48 Park, J. H, "Evolved disease-avoidance processes and contemporary anti-social behavior : Prejudicial attitudes and avoidanc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27 (27): 65-87, 2003

      49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7" OECD 2017

      50 Antonio, A. L, "Diversity and the influence of friendship groups in college" 25 (25): 63-89, 2001

      51 Griffin, M. M, "Attitudes toward includ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college" 9 (9): 234-239, 2012

      52 Meyers, S, "An attempt to change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5 (5): 1-7, 2016

      53 Credé, M, "Adjustment to college as measured by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 A quantitative review of its structure and relationships with correlates and consequences" 24 (24): 133-165, 2012

      54 국립특수교육원, "2017 장애대학생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 설명회 –일반대학"

      55 국립특수교육원, "2017 장애대학생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 결과" 국립특수교육원 2018

      56 한국교육개발원, "2014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 연계 취업통계연보" 한국교육개발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