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분석 = Survey of Awareness about Faculty Learning Community Program on Teaching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2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교원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리나라 대학에서 이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시도하고,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D대 학교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인터뷰,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서 프로그램의 실시 배경 및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조사플 실시하고, 자료플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프로그램이었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분산분석, Scheffe의 사후분석 방법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원의 학습공동체는 전반적으로 효과적이나(평균 4.30점,5점 만점), 운영적인 면에서는 보완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3.79점) .
      둘째,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수들 대부분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평균 4.54점) , 2회 이상 참여한 교수들은 전체의 43%(50명)을 차지한다.
      셋째, 교수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한 교수틀 중 강의경력이 4-7년 된 교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학습공동체는 대학교원을 위한 유용한 교수능력개발 프로그램으로 정착될 가능성을 충분히 갖고 있었다. 학습공동체는 참여자들에게 동료에게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으며, 배운 지식을 자신의 강의에 활용하도록 하는 의지를 고취시켰다. 특히, 전공별로 적합한 교수법 연구 및 개발, 교재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제 운영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때는 대학교원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불필요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적절한 재정지원을 통해 공동체에서 목표로 한 일을 살행하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참여자의 자발성 및 동료들 간의 협력 등 비물질적 요인이 공동체 운영의 실제적인 요소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교원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

      이 연구는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교원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리나라 대학에서 이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시도하고,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D대 학교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인터뷰,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서 프로그램의 실시 배경 및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조사플 실시하고, 자료플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프로그램이었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분산분석, Scheffe의 사후분석 방법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원의 학습공동체는 전반적으로 효과적이나(평균 4.30점,5점 만점), 운영적인 면에서는 보완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3.79점) .
      둘째,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수들 대부분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평균 4.54점) , 2회 이상 참여한 교수들은 전체의 43%(50명)을 차지한다.
      셋째, 교수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한 교수틀 중 강의경력이 4-7년 된 교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학습공동체는 대학교원을 위한 유용한 교수능력개발 프로그램으로 정착될 가능성을 충분히 갖고 있었다. 학습공동체는 참여자들에게 동료에게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으며, 배운 지식을 자신의 강의에 활용하도록 하는 의지를 고취시켰다. 특히, 전공별로 적합한 교수법 연구 및 개발, 교재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제 운영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때는 대학교원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불필요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적절한 재정지원을 통해 공동체에서 목표로 한 일을 살행하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참여자의 자발성 및 동료들 간의 협력 등 비물질적 요인이 공동체 운영의 실제적인 요소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responses and awareness of faculty learning community program participants from 2006 to 2009 at D· university in Korea. One hundred sixteen professors have been involved in this program,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survey and interview of participants.
      Learning Community is the learning method an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hich is actively attempted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creation and sharing of actual knowledge.
      The results of participants' interview and the survey analysis were very positive.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participants survey, th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is program participant professors were very high(4.30 points). But, the management of this program was not satisfaction(3.79 points). 2) The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the program spontaneously(4.54 points, 92% of total participants) and forty three percent of the total participants were take part in twice and over. 3) The faculty group that has 4~7years lecture experiences has thought that learning community's more useful than any other group. They have learned more new teaching method in learning community and regarded their colleagues as necessary companion.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or leaming community program for University faculty. 1)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is useful to university faculty. 2) It's needed to Simple procedure of learning community management and discriminatory of the budget support.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responses and awareness of faculty learning community program participants from 2006 to 2009 at D· university in Korea. One hundred sixteen professors have been involved in this program,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oth quan...

      This study explored the responses and awareness of faculty learning community program participants from 2006 to 2009 at D· university in Korea. One hundred sixteen professors have been involved in this program,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survey and interview of participants.
      Learning Community is the learning method an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hich is actively attempted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creation and sharing of actual knowledge.
      The results of participants' interview and the survey analysis were very positive.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participants survey, th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is program participant professors were very high(4.30 points). But, the management of this program was not satisfaction(3.79 points). 2) The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the program spontaneously(4.54 points, 92% of total participants) and forty three percent of the total participants were take part in twice and over. 3) The faculty group that has 4~7years lecture experiences has thought that learning community's more useful than any other group. They have learned more new teaching method in learning community and regarded their colleagues as necessary companion.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or leaming community program for University faculty. 1)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is useful to university faculty. 2) It's needed to Simple procedure of learning community management and discriminatory of the budget suppor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현희,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2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80, 2008

      3 강명희, "평생학습시대의 학습담론:미래를 준비하는 학교" 학지사 2002

      4 한양수, "초등교사의 교과교육 학습공동체 참여지속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33-154, 2008

      5 김진실, "전문대학 전공수업의 학습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05-226, 2007

      6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상호작용,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7 채창균, "대학생 능력평가제도 도입방안"

      8 정태범, "교원교육체제의 운영과 발전 과제" 17 : 1-25, 2001

      9 최진영,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따른 사회과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17-240, 2006

      10 주영주, "교사 학습공동체 내 지식창출 활동의 성격 및 촉진 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10 (10): 37-54, 2006

      1 문현희,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2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80, 2008

      3 강명희, "평생학습시대의 학습담론:미래를 준비하는 학교" 학지사 2002

      4 한양수, "초등교사의 교과교육 학습공동체 참여지속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33-154, 2008

      5 김진실, "전문대학 전공수업의 학습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05-226, 2007

      6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상호작용,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7 채창균, "대학생 능력평가제도 도입방안"

      8 정태범, "교원교육체제의 운영과 발전 과제" 17 : 1-25, 2001

      9 최진영,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따른 사회과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17-240, 2006

      10 주영주, "교사 학습공동체 내 지식창출 활동의 성격 및 촉진 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10 (10): 37-54, 2006

      11 Lieberman,A, "Teacher Development: Commitment and Challenge. In Teacher Development and the Struggle for Authenticity: Professional Growth and Restructuring in the Context of Change" Teachers College Press 1994

      12 Louis, K. S., "Professionalism and Community: What is it and why is it important in urban schools?. In Professionalism and Community: Perspectives on Reforming Urban Schools" Sage Publications 1995

      13 Dufour, 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ASCD 1998

      14 Bryk, A., "Professional Community in Chicago Elementary Schools: Facilitat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nsequences"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8-12, 1997

      15 Mclaughlin, M. W.,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16 Meyer,T, "Novic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31 (31): 27-42, 2002

      17 Henderson,L, "Instructional design of interactive multimedia" 44 (44): 85-104, 1996

      18 Wenger, E.,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19 Wenger, E.,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2000

      20 Newmann,F.M,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Activities and Accomplishments, 1990-1996, Final Report"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