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애니메이션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따른 의미해석과 지속사용의도 연구 - 중국 Wechat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Semantic Interpreta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Animated Emoticons Based on Expression Type - focused on China wechat animation emotic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7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interpretation and user assessment of emoticon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animated emoticons - illustration and photo. In addition, just as in research results that st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media services based on individual taste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considers user preferences in the use of animated emoticons. Thus, by surveying 234 Chinese users of WeChat in their 20s-30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sistency of an emoticon's semantic interpretation based on both the emoticon type and user type. In addition, five factors were designated as characteristic factors of animated emoticons-aesthetic appeal, playfulness, usefulness, clarity, and efficiency-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se five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urvey, three analyses were carried out. First, the degree of semantic interpreta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differences in emoticon type and user preferences. Secondly, we examined whether such factors influenced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animated emoticons.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five designated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cons influenced continuous usage intention, with the exception of clarity, each of the other four factors (aesthetic appeal, playfulness, usefulness, and efficiency), were see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examining the size of the effect of each of these factors, efficiency was seen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rough this, one can see that the efficiency possessed by emoticons is able to raise us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interpretation and user assessment of emoticon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animated emoticons - illustration and photo. In addition, just as in research results that state that there are differenc...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interpretation and user assessment of emoticon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animated emoticons - illustration and photo. In addition, just as in research results that st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media services based on individual taste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considers user preferences in the use of animated emoticons. Thus, by surveying 234 Chinese users of WeChat in their 20s-30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sistency of an emoticon's semantic interpretation based on both the emoticon type and user type. In addition, five factors were designated as characteristic factors of animated emoticons-aesthetic appeal, playfulness, usefulness, clarity, and efficiency-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se five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urvey, three analyses were carried out. First, the degree of semantic interpreta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differences in emoticon type and user preferences. Secondly, we examined whether such factors influenced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animated emoticons.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five designated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cons influenced continuous usage intention, with the exception of clarity, each of the other four factors (aesthetic appeal, playfulness, usefulness, and efficiency), were see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examining the size of the effect of each of these factors, efficiency was seen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rough this, one can see that the efficiency possessed by emoticons is able to raise us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의 표현유형(일러스트와 사진)에 따라 이모티콘에 대한 의미해석과 사용자 평가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따라 이모티콘 사용자 평가 요인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20대~30대 중국인 234명에게 12가지의 일러스트와 사진 이모티콘을 제시하고 의미해석에 대한 12개 문항과 ①심미성, ②유희성, ③유용성, ④명확성, ⑤효율성, ⑥지속사용의도 6개 변인 총 22개 문항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러스트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에 대한 의미해석에서 행위적 의미에서 사진 이모티콘의 의미해석 일치 정도는 일러스트 이모티콘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감정적 의미 측면에서는 일러스트 이모티콘이 사진 이모티콘보다 일치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2)이모티콘의 특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검증에서는 명확성 외에 나머지 4개 이모티콘 특성 요인인 심미성, 유희성, 유용성과 효율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들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이모티콘 특성 중 효율성이 지속사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성이 지속사용의도를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러스트 표현과 사진 표현을 나누어 검증해보면, 일러스트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여 유희성이 지속사용의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사진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심미성만이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의 표현유형(일러스트와 사진)에 따라 이모티콘에 대한 의미해석과 사용자 평가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따라 이모티콘 사용자 평가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의 표현유형(일러스트와 사진)에 따라 이모티콘에 대한 의미해석과 사용자 평가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따라 이모티콘 사용자 평가 요인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20대~30대 중국인 234명에게 12가지의 일러스트와 사진 이모티콘을 제시하고 의미해석에 대한 12개 문항과 ①심미성, ②유희성, ③유용성, ④명확성, ⑤효율성, ⑥지속사용의도 6개 변인 총 22개 문항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러스트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에 대한 의미해석에서 행위적 의미에서 사진 이모티콘의 의미해석 일치 정도는 일러스트 이모티콘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감정적 의미 측면에서는 일러스트 이모티콘이 사진 이모티콘보다 일치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2)이모티콘의 특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검증에서는 명확성 외에 나머지 4개 이모티콘 특성 요인인 심미성, 유희성, 유용성과 효율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들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이모티콘 특성 중 효율성이 지속사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성이 지속사용의도를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러스트 표현과 사진 표현을 나누어 검증해보면, 일러스트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여 유희성이 지속사용의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사진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심미성만이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표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선진, "스마트폰 앱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이폰 한국, 미국 앱 아이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215-224, 2013

      3 최설매, "쇼핑 관광객의 감성적 소비성향과 명품 브랜드 추구혜택 애착 및 애호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우룡,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나남출판 2004

      5 김정민, "비언어적 의사전달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6 최윤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7 마크 냅,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407-408, 2012

      8 Jinqiaoxi,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의 지각된 가치가 사용자의 만족도,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9 안민희, "모바일 이모티콘의 비언어적 시각유희에 대한 사용자 의미해석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4

      10 김선진,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국내, 해외 대표 앱(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87-96, 2014

      1 김경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표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선진, "스마트폰 앱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이폰 한국, 미국 앱 아이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215-224, 2013

      3 최설매, "쇼핑 관광객의 감성적 소비성향과 명품 브랜드 추구혜택 애착 및 애호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우룡,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나남출판 2004

      5 김정민, "비언어적 의사전달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6 최윤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7 마크 냅,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407-408, 2012

      8 Jinqiaoxi,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의 지각된 가치가 사용자의 만족도,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9 안민희, "모바일 이모티콘의 비언어적 시각유희에 대한 사용자 의미해석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4

      10 김선진,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국내, 해외 대표 앱(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87-96, 2014

      11 이소라,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에서 이모티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12 이지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시각적 감성표현에 관한 연구 : 이모티콘의 기호학적 접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13 김재휘, "광고심리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4 정면주,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사이버에이전트 디자인 연구 : 인간 동작에서 나타난 감정을 기반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5 "www.kr.wikipedia.org"

      16 "www.199it.com/archives/291531.html"

      17 Ekman, P., "Emotion in the Human F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8-211,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