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우울, 자아존중감, 동료관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Self Esteem and Collegiality on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ways to cope with childcare teachers' stress positively by investigating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self esteem, collegiality and stress coping style. For this study, 20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using SPSS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self esteem, collegiality and their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showed not only positively but also negatively meaningful correlation.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depression, self esteem, and collegiality on the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depression had meaningful effects on passive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On the other hand, self esteem, and collegiality had meaningful effects on active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Based on the results, administrative,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s and practical plans were discussed for childcare teachers' positive stress manag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ways to cope with childcare teachers' stress positively by investigating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self esteem, collegiality and stress coping style. For this study, 207 childcare teac...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ways to cope with childcare teachers' stress positively by investigating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self esteem, collegiality and stress coping style. For this study, 20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using SPSS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self esteem, collegiality and their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showed not only positively but also negatively meaningful correlation.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depression, self esteem, and collegiality on the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depression had meaningful effects on passive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On the other hand, self esteem, and collegiality had meaningful effects on active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Based on the results, administrative,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s and practical plans were discussed for childcare teachers' positive stress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를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대처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우울, 자아존중감, 동료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에 근무하는 207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SPSS 23.0으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우울, 자아존중감, 동료관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적으로 또는 부적으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우울, 자아존중감, 동료관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우울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자아존중감과 동료관계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를 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행정적, 심리적・정서적 지원 및 실천적인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를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대처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우울, 자아존중감, 동료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를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대처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우울, 자아존중감, 동료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에 근무하는 207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SPSS 23.0으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우울, 자아존중감, 동료관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적으로 또는 부적으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우울, 자아존중감, 동료관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우울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자아존중감과 동료관계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를 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행정적, 심리적・정서적 지원 및 실천적인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윤, "협력중심 심리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의 우울,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65-300, 2013

      2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14 연구보고서" 2014

      3 김정희,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91-208, 2015

      4 안선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8 (18): 1135-1157, 2011

      5 권연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직풍토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37-455, 2010

      6 문태형, "유치원교사의 사회성효능감과 스트레스대처양식 및 내외통제소재간의 관련성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27-42, 2003

      7 김은화,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정금자,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71-293, 2013

      9 이지영,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료관계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603-618, 2019

      10 황해익,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153-177, 2014

      1 박윤, "협력중심 심리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의 우울,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65-300, 2013

      2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14 연구보고서" 2014

      3 김정희,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91-208, 2015

      4 안선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8 (18): 1135-1157, 2011

      5 권연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직풍토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37-455, 2010

      6 문태형, "유치원교사의 사회성효능감과 스트레스대처양식 및 내외통제소재간의 관련성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27-42, 2003

      7 김은화,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정금자,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71-293, 2013

      9 이지영,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료관계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603-618, 2019

      10 황해익,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153-177, 2014

      11 허수윤,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5-19, 2014

      12 윤갑정,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13-131, 2012

      13 윤갑정, "예비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 전문성 발달 목표와 걱정이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61-185, 2012

      14 채진영,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23-241, 2013

      15 Day, C., "열정으로 가르치기(A Passion for teaching)" 파란마음 2007

      16 이혜련, "성격 5요인 모형(Big Five)이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권연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9 (19): 487-498, 2010

      18 김수연,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71-93, 2015

      19 이지영,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박윤조,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5 (15): 129-148, 2015

      21 정정란, "보육교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 및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6 (16): 51-75, 2016

      22 권연희,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에 대한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4) : 131-151, 2013

      23 서미정,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지지, 교직선택동기, 셀프리더십 및 보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24 황해익, "보육교사의 감사성향에 따른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99-320, 2015

      25 이인수, "마음수련명상이 교사의 불안, 자아존중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722-5730, 2011

      26 박양신,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46-356, 2018

      27 이지민, "가족건강성, 자아분화, 대인관계와 대학생 우울 간의 관계구조" 한국상담학회 11 (11): 1271-1287, 2010

      28 Sabina, K., "The impact of collegial cooperation of pre-school teacher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 4 (4): 11-23, 2014

      29 Lazarus, R. S., "Stress and adaptational outcome : The problem of confounded measure" 40 (40): 770-779, 1985

      30 Kessler, R. C.,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32 (32): 959-976, 2002

      31 Lazarus, R. S., "Passion and reason :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2 Zelazo, P. D., "Hot and cool executive func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Development and plasticity" 6 : 354-360, 2012

      33 Olson, D. H., "FACES Ⅳ Manual" Life Innovations 2010

      34 Le Cornu, R., "Building early career teacher resilience : The role of relationships" 38 (38): 1-16, 2013

      35 Santrock, J. W., "A topical approach to human lifespan development" McGraw-Hill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