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식은 양지론을 중심으로 대체로 1909년부터 양명학으로 전환하였다. 한편 그의 전환에는 기독교의 영향도 있었다. 이 시기는 박은식이 상경이전에 활동했던 북삼도를 중심으로 개신교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9868
2015
Korean
박은식 ; 영성 ; 양지 ; 양명학 ; 전통철학 ; 기독교 ; 성령 ; Pak Eun Sik ; spirituality ; Yangji ; Yangming-thought ; Korea traditional philosophy ; Christianity ; the Holy Spirit
KCI등재
학술저널
75-105(3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박은식은 양지론을 중심으로 대체로 1909년부터 양명학으로 전환하였다. 한편 그의 전환에는 기독교의 영향도 있었다. 이 시기는 박은식이 상경이전에 활동했던 북삼도를 중심으로 개신교계...
박은식은 양지론을 중심으로 대체로 1909년부터 양명학으로 전환하였다. 한편 그의 전환에는 기독교의 영향도 있었다. 이 시기는 박은식이 상경이전에 활동했던 북삼도를 중심으로 개신교계 기독교가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또 이후 그의 전적에서 기독교와 관련된 언급이 여러 차례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그 언급들에는 양지와 관련된 것이 많았다.
그는 1909년 고아학생제군 에서 최초로 양지를 영혼 즉 성령과 비교하였다. 1910년에 발행한 『왕양명실기』에서는 양지를 기독교의 영혼 즉 성령과 연결시키면서 인간의 생명, 삶 그리고 변화의 근본적 원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양지를 통해 인간은 선을 실천하는 현실적 주체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그가 양지를 종교적 영성의 차원에서 해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양지론은 기독교와는 달리 신을 배제한 인간의 독립적인 주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이론은 1911년 서간도 망명기에 작성한 『몽배금태조』에서 민족심으로 확장되고 있다.
박은식의 양지론은 유교 즉 양명학의 기반 하에서 기독교의 성령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다만 그에게서 기독교의 신 즉 인격신의 개념은 차용되지 않았다. 즉 박은식의 양지론은 ‘인간을 자기 결정권을 가진 영적이고도 주체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철학적 근거’로써, 한국 전통 유교와 근대전환기 전래된 기독교를 통섭하는 철학 담론으로써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k Eun Sik changed his Confucian to Yangming-thought in 1909 and its main issue was Yangji.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was included by Christianity, too. Because that was about the time when the Protestant spreaded rapidly in 3 north districts in ...
Pak Eun Sik changed his Confucian to Yangming-thought in 1909 and its main issue was Yangji.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was included by Christianity, too. Because that was about the time when the Protestant spreaded rapidly in 3 north districts in Korea and he often had written sentences which related at Christianity since that time. Especially there were many sentences on Yangji.
He first compared Yangji to spirit, the Holy Sprit in letter to our students in 1909. He described it as reason of life, living and change related the Holy Spirit in the Biography of Wangyangmyeong published in 1910. And more he told that human is the practical main agents with Yangji who practice righteousness. This shows that he interpreted Yangji as the religious spirituality. However, at once his Yangji theories stressed just human independent identity not something about God of Christianity. This theories expanded national-mind In Dream to meet the First Empire of Geum written in 1911 when he fled to western Gando.
His theories on Yangji was formed based on Yangming-thought, influenced by the Holy Spirit in Christianity. But they didn’t have the conception of God of Christianity, of a theistic view. Therefore, his theories, as the philosophical basis that human is the spiritual and identical being has the right of self determination, are a important consilience between Korea traditional philosophy and imported Christian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우, "梁啓超와 朴殷植의 '新民說'과 '大同思想'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2013
2 신용하, "한말애국계몽운동의 사회사" 나남출판 2004
3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가온"
4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종합DB"
5 김칠성, "원산부흥, 일반부흥인가, 대부흥인가" 한국교회사학회 (34) : 253-283, 2013
6 이종란, "왕양명실기" 한길사 2010
7 윤경로, "양명학 사상가로서의 백암 박은식과 『王陽明先生實記』" 27 : 2012
8 "성경전서-개역한글판" 대한성서공회 2001
9 박은식, "백암박은식전집" 동방미디어 2002
10 노관범, "박은식의『몽배금태조(夢拜金太祖)』" 한림과학원 (13) : 178-187, 2014
1 김현우, "梁啓超와 朴殷植의 '新民說'과 '大同思想'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2013
2 신용하, "한말애국계몽운동의 사회사" 나남출판 2004
3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가온"
4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종합DB"
5 김칠성, "원산부흥, 일반부흥인가, 대부흥인가" 한국교회사학회 (34) : 253-283, 2013
6 이종란, "왕양명실기" 한길사 2010
7 윤경로, "양명학 사상가로서의 백암 박은식과 『王陽明先生實記』" 27 : 2012
8 "성경전서-개역한글판" 대한성서공회 2001
9 박은식, "백암박은식전집" 동방미디어 2002
10 노관범, "박은식의『몽배금태조(夢拜金太祖)』" 한림과학원 (13) : 178-187, 2014
11 최재목, "박은식의 양명학과 근대 일본 양명학과의 관련성" 동아시아일본학회 (16) : 265-293, 2005
12 이혜경, "박은식의 양명학 해석: 다카세 다케지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55) : 3-31, 2015
13 "맹자"
14 리차드 도킨스, "만들어진 신" 김영사 2007
15 "논어"
1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7 김현우, "구한말 개혁적 유교지식인들의변통론적 근대 인식" 인문학연구원 (24) : 89-116, 2013
18 梁啓楚, "飮冰室合集" 中華書局 1989
19 高瀨武次郎, "知行合一:王陽明詳傳" 大地出版社 2014
20 박정심, "朴殷植의 사상적 전환에 대한 고찰" 12 : 1999
21 주희, "四書集注"
22 왕양명, "傳習錄"
23 강명국, "1907년 대부흥운동이 한국교회의 신앙양태 형성에 끼친 영향 : 성령체험의 역사를 중심으로" 성결대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23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