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C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일깨워 주는 창의력 계발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이론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391490
서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학위논문(碩士)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학과 , 2004. 2
2004
한국어
745.2071 판사항(21)
서울
v, 136 p. : 삽도 ; 26 cm.
부록 : p. 128-136
참고문헌 : p. 121-1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1C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일깨워 주는 창의력 계발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이론과...
21C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일깨워 주는 창의력 계발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이론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수법이 시도되어지고 있으나, 창의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에는 아직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은 통찰력과 인지력 등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에 대해 유연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여 독창적이고도 유용한 해결안을 만들어내는 능력 또는 사고 과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디자인 창조과정에 있어서 아이디어를 형태라는 구체적인 대상으로 전환시키는 디자인 발상과정에서 심상 특성을 적용하고자 한다. 정신적인 심상(Mental Imagery)은 이전에 경험되어 기억 속에 저장된 사건이나 개념을 마음속에서 재구성하는 것이다. 심상의 특성으로 첫째는 단기 기억과정에서 정보처리의 양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사고 과정에서 심상은 단기기억 과정에서의 정보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주기 때문에 기억을 촉진시킨다고 한다. 두 번째 특성은 두 가지 이상의 심상을 동시에 사용함으로 상상력을 높일 수 있고, 세 번째 특성은 심상을 다양하게 변환시키고 조작하여 문제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준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발상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아이디어 발상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심상 특성을 적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하여 디자인 발상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디자인 발상 교육현황과 실태를 통하여 디자인 발상 교육의 중요성을 밝혔다. 둘째, 심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창조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연구의 객관성과 검증을 위해 학생과 교사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심리 전문 분야의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심상 활용의 방법론적 연구 분석을 통하여 창의적인 방법의 개발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넷째, 심상 특성을 적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단계별 학습 진행과정을 통하여 미적 체험과 이미지에 의한 정서적 가치를 이루는 시각 체험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심상특성을 적용한 디자인 발상 교육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준비단계에서는 시지각 원리에 따른 작품을 감상하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여 자유롭게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두 번째, 부화단계에서는 연상법을 이용하여 문자적 서술에 의한 카테고리를 만들어 연상되는 내용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접근한다.
세 번째, 발현단계에서는 심상의 생성과 검색으로 이미지를 산출하고 심상의 변형과 활용으로 산출된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이미지를 창조한다.
네 번째, 표현단계에서는 의도한 아이디어를 스케치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다.
다섯 번째, 평가단계에서는 결과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통하여 주관적인 결과물이 객관적으로 어떠한 평가를 받는지 검증하고 지금까지의 과정을 정리한다.
심상특성을 적용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중·등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를 창조하여 궁극적으로는 창의적 디자인 발상으로 사고와 지각의 확대를 꾀하여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자인 발상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함이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타 분야와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학습방법이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cultivate self-regulated and creative persons who can lead the information society in the 21th century, such education that develops students' creativity to enlighten their potential is needed. Accordingly, in education field, the methods based on ...
To cultivate self-regulated and creative persons who can lead the information society in the 21th century, such education that develops students' creativity to enlighten their potential is needed. Accordingly, in education field, the methods based on various theory and experience have been attempted, but there still are many problems in actively accepting creativity.
Creativity in design education is the ability or the procedure with or in which one thinks about a given problem in flexible and rational ways out of insight and cognizance, and finally makes an originative and useful solution. Then, this needs to studied. To meet this necessity, the author applied mental imagery characteristics to design concept procedure in which idea is converted to a specific object in the process of design creation. Mental imagery is that an event or an concept experienced in the past and then stored in memory is reorganized in min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ry is that, first, it can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processed in short time memory processing. In human's ideation, it is known that imagery increases memory because it makes data processing easier in short time memorization. Second, two or more imagery could be used at the same time so it can improve imagination. Third, imagery is converted an manipulated in various ways so it can make it easy to solve the problem.
The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a new possibility of design concept education by investigating idea conceiving technique which influences much to design concept, and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To accomplish this goal, first the importance of design concept education was emphasized through present state and realities of design concept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Second, applicability of education that can develop creativity in design education was demonstr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imagery. Third, teachers and students were surveyed to verify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and a methodological study of imagery utilization was carried out by interviewing the experts in psychology. This verifi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reative methods. Forth, a program in which imagery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suggested to help, through step by step learning, to make aesthetic experience and visual experience which adds image to emotion.
Next comes the procedure of design concept program in which imagery characteristics of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pplied.
First is the preparation step. Work pieces of visual perception principle are appreciated and the inherent meaning is grasped to imagine freely the image. Second is the assentation step. Using association, category of associated things from literal description is approached into concrete image. Third is the manifestation step. Image is generated by reorganizing the image resulted from creation and search of mental imagery and from transformation and using of the created image. Forth is the expression step. Intended idea is sketched and visualized to be delivered in effect. Fifth is the evaluation step. The outcome is presented to verify how subjective one is evaluated. And, the whole procedure is reviewed.
Through an education program using mental imagery. the author intended to improve the ability of design concept to help solve a problem by various type of design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by, ultimately, expanding thought and perception using creative design concept. It is required that various learning method be continued through a connection with other parts in design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