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탈면 보강용 앵커의 긴장력 손실 사례 연구 = 비탈면 보강용 앵커의 긴장력 손실 사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47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ound anchor method of Retaining wall hypothesis for excavating the basement underground structures and buildings downtown are normally used for the support of the Wall has taken place from the late 1990s,Gradual permanent modifications of road and railroad construction, including slope, etc. in terms of both securing a stable and broadening the scope of the use coming.


      In particular, Construction and haircut is larger, slop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in terms of natural terrain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o its slope steeper the slope, you must design itRock better and often steep slope in the most effective slope stabilization work recognized as an annual event, rapidly spreading.


      This slope reinforcement and stability used in order to obtain a permanent structure anchors are the target's durability, and shall comprise, on the Durability of more than the proper maintenanceShould be established to continue the stability through.

      Anchor Soil Conditions and as time passed was Tendon Force have served as a possibility that may be reduce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uh, pay careful attention and control power shall beSo far, in making sure the wide range of investigation and an anchor for management should be done by the lack of research, awareness is in short supp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lope used for reinforcement and permanent anchor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slope stability and deriveProcess is to promote the effective maintenance.

      To this end, the currently installed in the nation, a slope anchor about the residual measure Tendon, now the Commission conducted an inspection into the state, and through the drawing test results and the slope anchorLoad gage measured decrease Tendon Force to analyze the data and find the source, recently constructed fragmental zone of construction on the ground anchor of the Studio Site investigation and residual Tendon meter readingsAnalyzed and, Numerical Analysis by the lack of research that will form the basis of the current anchor load management criteria and conducted a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of slope safety factor by anchor for relations with.

      Tensible force measuring country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on cause and effect analysis and anchor of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aintenance problems and improvements would suggest to you.
      번역하기

      Ground anchor method of Retaining wall hypothesis for excavating the basement underground structures and buildings downtown are normally used for the support of the Wall has taken place from the late 1990s,Gradual permanent modifications of road and r...

      Ground anchor method of Retaining wall hypothesis for excavating the basement underground structures and buildings downtown are normally used for the support of the Wall has taken place from the late 1990s,Gradual permanent modifications of road and railroad construction, including slope, etc. in terms of both securing a stable and broadening the scope of the use coming.


      In particular, Construction and haircut is larger, slop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in terms of natural terrain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o its slope steeper the slope, you must design itRock better and often steep slope in the most effective slope stabilization work recognized as an annual event, rapidly spreading.


      This slope reinforcement and stability used in order to obtain a permanent structure anchors are the target's durability, and shall comprise, on the Durability of more than the proper maintenanceShould be established to continue the stability through.

      Anchor Soil Conditions and as time passed was Tendon Force have served as a possibility that may be reduce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uh, pay careful attention and control power shall beSo far, in making sure the wide range of investigation and an anchor for management should be done by the lack of research, awareness is in short supp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lope used for reinforcement and permanent anchor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slope stability and deriveProcess is to promote the effective maintenance.

      To this end, the currently installed in the nation, a slope anchor about the residual measure Tendon, now the Commission conducted an inspection into the state, and through the drawing test results and the slope anchorLoad gage measured decrease Tendon Force to analyze the data and find the source, recently constructed fragmental zone of construction on the ground anchor of the Studio Site investigation and residual Tendon meter readingsAnalyzed and, Numerical Analysis by the lack of research that will form the basis of the current anchor load management criteria and conducted a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of slope safety factor by anchor for relations with.

      Tensible force measuring country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on cause and effect analysis and anchor of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aintenance problems and improvements would suggest to you.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그라운드 앵커 공법은 도심지 지하구조물 및 건축물 지하층 굴착을 위한 가설 흙막이 벽체의 지지를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점차 도로 및 철도 등 건설공사 비탈면 등의 영구적인 보강 및 안정적 확보라는 측면으로 그 사용범위를 넓혀오고 있다.
      특히, 건설시 깎기 비탈면이 대형화되고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 자연 지형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탈면 경사를 가파르게 설계해야 되는 경우가 많아 지면서 급경사 암반 비탈면에 가장 효과적인 비탈면 안정공법으로 인식되어 매년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비탈면 보강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영구 앵커는 그 대상 구조물의 내구연한 이상의 내구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적절한 유지관리를 통해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앵커는 지반여건 및 시간경과에 따라 긴장력이 감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공 및 유지 관리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관리 하여야 함에도 현재까지 이에 대한 실태 조사 및 연구가 부족하여 앵커를 관리 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탈면 보강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영구 앵커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비탈면 안정성 확보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에 설치된 비탈면 앵커에 대하여 잔존 긴장력 측정을 통하여 현재 상태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였고, 인발시험 결과와 비탈면 앵커 하중계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긴장력 감소 원인을 찾고, 최근에 시공된 파쇄대 지반에 시공된 앵커의 설계시 지반조사 및 잔존 긴장력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현재 앵커 하중 관리기준에 대한 기초 연구가 부족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앵커의 잔존하중과 비탈면 안전율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번역하기

      그라운드 앵커 공법은 도심지 지하구조물 및 건축물 지하층 굴착을 위한 가설 흙막이 벽체의 지지를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점차 도로 및 철도 등 건설공사 비탈면 등...

      그라운드 앵커 공법은 도심지 지하구조물 및 건축물 지하층 굴착을 위한 가설 흙막이 벽체의 지지를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점차 도로 및 철도 등 건설공사 비탈면 등의 영구적인 보강 및 안정적 확보라는 측면으로 그 사용범위를 넓혀오고 있다.
      특히, 건설시 깎기 비탈면이 대형화되고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 자연 지형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탈면 경사를 가파르게 설계해야 되는 경우가 많아 지면서 급경사 암반 비탈면에 가장 효과적인 비탈면 안정공법으로 인식되어 매년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비탈면 보강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영구 앵커는 그 대상 구조물의 내구연한 이상의 내구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적절한 유지관리를 통해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앵커는 지반여건 및 시간경과에 따라 긴장력이 감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공 및 유지 관리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관리 하여야 함에도 현재까지 이에 대한 실태 조사 및 연구가 부족하여 앵커를 관리 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탈면 보강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영구 앵커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비탈면 안정성 확보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에 설치된 비탈면 앵커에 대하여 잔존 긴장력 측정을 통하여 현재 상태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였고, 인발시험 결과와 비탈면 앵커 하중계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긴장력 감소 원인을 찾고, 최근에 시공된 파쇄대 지반에 시공된 앵커의 설계시 지반조사 및 잔존 긴장력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현재 앵커 하중 관리기준에 대한 기초 연구가 부족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앵커의 잔존하중과 비탈면 안전율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그라운드 앵커 3
      • 1. 서 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그라운드 앵커 3
      • 2.1 그라운드 앵커 구조 3
      • 2.1.1 앵커의 분류 4
      • (1)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4
      • (2) 정착형식에 의한 분류 5
      • (3) 인장재 종류에 의한 분류 6
      • (4) 긴장 정착방식에 의한 분류 7
      • 2.2 앵커관리 문제점 7
      • 3. 국내 비탈면 앵커 긴장력 측정 9
      • 3.1 측정방법 12
      • 3.2 측정결과 예시 16
      • 3.3 측정결과 요약 21
      • 3.4 결과분석 27
      • 3.5 긴장력 감소 원인 32
      • 3.5.1 비탈면의 표면 요철 32
      • 3.5.2 비탈면의 표면 강도 33
      • 3.5.3 주면 마찰 저항 35
      • 3.5.4 단기 변형 38
      • 3.5.5 파쇄대 지반 비탈면의 긴장력 감소 사례 40
      • 4.앵커 긴장력 감소를 고려한 수치 해석 47
      • 4.1 해석 개요 47
      • 4.2 앵커 인장력 변화에 따른 비탈면 안전율 변화 51
      • 4.3 앵커 인장력의 감소와 비탈면 안정성 관계 54
      • 5.결 론 55
      • 참고 문헌 58
      • abstract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