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철, "「매신문단」의 문학사적 의의" 국어국문학회 94 : 1985
2 박종화, "歷史는 흐르는데 靑山은 말이 없네" 삼경출판사 1979
3 황정현, "현진건 장편번역소설 「백발」 연구" 한국학연구소 (42) : 321-345, 2012
4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5 김학동, "한국근대시인연구Ⅰ" 1974
6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上" 학연사 1994
7 "학지광"
8 "폐허이후"
9 "폐허"
10 심선옥, "춘성 노자영 초기 시 연구" 반교어문학회 13 : 2001
1 김영철, "「매신문단」의 문학사적 의의" 국어국문학회 94 : 1985
2 박종화, "歷史는 흐르는데 靑山은 말이 없네" 삼경출판사 1979
3 황정현, "현진건 장편번역소설 「백발」 연구" 한국학연구소 (42) : 321-345, 2012
4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5 김학동, "한국근대시인연구Ⅰ" 1974
6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上" 학연사 1994
7 "학지광"
8 "폐허이후"
9 "폐허"
10 심선옥, "춘성 노자영 초기 시 연구" 반교어문학회 13 : 2001
11 "청춘"
12 박진영, "천리구 김동성과 셜록 홈스 번역의 역사 — 『동아일보』 연재소설 『붉은 실』—" 상허학회 27 : 277-318, 2009
13 김영민, "차라리 달 없는 밤이드면" 정음사 1983
14 조선일보사 사료연구실, "조선일보사람들" 랜덤하우스중앙 2004
15 "조선일보"
16 백철, "조선신문학사조사(근대편)" 수선사 1948
17 "장미촌"
18 이종호, "일제시대 아나키즘 문학 형성 연구 : 『근대사조』 『삼광』 『폐허』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06
19 김윤식, "염상섭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7
20 "아성"
21 "신생활"
22 "신동아"
23 김영석, "수주 변영로의 시세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2·43 : 1984
24 "서울"
25 "삼천리"
26 민충환, "변영로의 새로운 작품에 대해서- 조선일보 발표본을 중심으로" 산과들 8 : 2008
27 오세인, "변영로 시 연구 - ‘관념’과 ‘감각’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3 : 7-38, 2013
28 윤병로, "박종화의 삶과 문학-미공개월탄일기평설" 성균관대 출판부 1992
29 이동희, "박영희 전집 Ⅱ" 영남대 출판부 1997
30 "매일신보"
31 "동아일보"
32 조영복, "근대 초기 시의 미적 개념 인식과 근대시 장르의 체계화 과정 연구" 우리말글학회 29 : 489-526, 2003
33 유석환, "근대 문학시장의 형성과 신문·잡지의 역할" 성균관대 2013
34 박두진, "겨레에 바친 시들(3)-수주 변영로의 시" 대한기독교서회 137 : 1969
35 "개벽"
36 朴月灘, "黑房秘曲" 조선도서주식회사 1924
37 민규호, "韓國言論人物史話: 8․15前篇 上" 社團法人 大韓言論人會 1992
38 변영로, "朝鮮의마음" 평문사 1924
39 조선일보60년사 편찬위원회, "朝鮮日報60年史" 朝鮮日報社 1980
40 정우택, "『문우』에서 『백조』까지 -매체와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7) : 35-65, 2009
41 최호영, "『기독신보』에 나타난 문인들의 활동과 ‘이상향’의 의미 ― 남궁벽과 노자영의 발굴 자료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56) : 331-360, 2014
42 최성윤, "≪조선일보≫ 초창기 연재 번역·번안소설과 현진건" 민족어문학회 (65) : 463-485, 2012
43 차승기, "‘폐허’의 시간-1920년대 초 동인지 문학의 미적 세계관 형성에 대하여" 상허학회 6 : 2000
44 권유성, "1920년대 초기 『每日申報』의 근대시 게재 양상과 의미" 한국시학회 (23) : 93-121, 2008
45 최현희, "1920년대 초 한국문학과 동인지 폐허의 위상 자아 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규장각 한국학연구원 31 : 2007
46 홍현영, "1920년대 전반기 시문학에서 '민중'의 의미" 성균관대 2013
47 박현수, "1920년대 전반기 『조선일보』와 현진건" 대동문화연구원 (88) : 495-536, 2014
48 조은주, "1920년대 문학에 나타난 허무주의와 '폐허(廢墟)'의 수사학" 한국현대문학회 (25) : 7-40, 2008
49 장신, "1920년 대정친목회의 조선일보 창간과 운영" 역사문제연구소 (92) : 291-32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