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북한 초기 역사학계에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이른바 ‘유일 혁명전통’으로 확립해 가는 과정을 다룬다. 그 중에서도 김일성의 항일운동에 대한 신화화보다는 그 과정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58466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5-162(3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북한 초기 역사학계에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이른바 ‘유일 혁명전통’으로 확립해 가는 과정을 다룬다. 그 중에서도 김일성의 항일운동에 대한 신화화보다는 그 과정에서 ...
이 연구는 북한 초기 역사학계에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이른바 ‘유일 혁명전통’으로 확립해 가는 과정을 다룬다. 그 중에서도 김일성의 항일운동에 대한 신화화보다는 그 과정에서 배제되거나 탈락한 민족해방운동사 이해에 주목한다. 최창익․리청원 등이 주도한 초기 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서술에서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외에도 조선공산당과 조선독립동맹 등 복수의 ‘혁명전통’이 인정되었다. 다만 김일성의 투쟁에 정통적 지위를 부여한 점에서 이들의 역사인식이 현실 정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는 리상조․김승화와 같이 소련으로 망명한 인물들이 남긴 기술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해진다. 최창익과 함께 1956년 반김일성운동에 가담한 리상조와 김승화는 망명 후 남긴 글에서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오류와 한계를 스스럼없이 비판하는가 하면, 여러 민족해방운동 중 하나로 주변화시켰다. ‘유일혁명전통’이 확립되지 않은 시기 민족해방운동사에 대한 인식 차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근본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s so-called Monolithic Revolutionary Tradition (Yuil hyŏngmyŏngjŏnt’ong) inside the early North Korean history academia. In particular, this study 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s so-called Monolithic Revolutionary Tradition (Yuil hyŏngmyŏngjŏnt’ong) inside the early North Korean history academia. In particular, this study pays close attention to multiple modes of understanding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istory, which were excluded or abandoned in the aforementioned process, rather than to the mythification of Kim Il-Sung’s anti-Japanese movement. In early historical narratives that were shared inside the history academia, led by Choi Chang-ik and Lee Cheong-won, multiple versions of “revolutionary tradition” were recognized such as the Korean Communist Party and the Korean Independence League (Chosŏn dongniptongmaeng), in addition to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e that as it may, historical perception of these multiple traditions were by no means liberal from contemporary realpolitik as they granted legitimacy to Kim Il-Sung’s struggle. This point becomes more evident in comparison to the description of exiles such as Lee Sang-jo and Kim Seung-hwa, who fled to the Soviet Union. Once sided with Choi Chang-ik in the anti-Kim Il-Sung movement in 1956, both Lee Sang-jo and Kim Seung-hwa not only criticized harshly the errors and limitations of Kim Il-Sung’s armed struggle but also degraded it as one of multipl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in their articles published after defecting to the Soviet Union. In su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sparity in perceiving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istory among the North Korean history academia before the establishment of MRT was much more fundamental than previously estima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후보 원사 리청원 저 『조선에 있어서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에 대한 합평회" (1) : 1957
2 장세윤, "해방 직후 북한학계의민족해방운동사 인식과 편찬*-조선력사편찬위원회 간행 「조선민족해방투쟁사」의 검토-" 고려사학회 (18) : 201-245, 2004
3 김재웅, "특집 : 현실정치의 규정력 아래 놓인 해방 후 북한의 역사서술 - 북한 역사서술의 시원 검토 -" 한국역사연구회 (96) : 141-185, 2015
4 "조선에서 사회주의적 토대와 상부구조의 발생과 발전의 특수성에 대한 토론회" (1) : 1958
5 황장엽, "조선에서 사회주의적 토대와 상부 구조의 발생 발전의 특수성" (1) : 1958
6 리청원, "조선에 있어서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1955
7 조선역사편찬위원회, "조선민족해방투쟁사" 김일성종합대학 1949
8 리청원, "조선근대사연구" 조선력사편찬회 1947
9 김시중, "조선 인민의 민족 해방 투쟁 역사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10 "조선 력사 과학 전선의 과업에 대하여" (1) : 1955
1 "후보 원사 리청원 저 『조선에 있어서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에 대한 합평회" (1) : 1957
2 장세윤, "해방 직후 북한학계의민족해방운동사 인식과 편찬*-조선력사편찬위원회 간행 「조선민족해방투쟁사」의 검토-" 고려사학회 (18) : 201-245, 2004
3 김재웅, "특집 : 현실정치의 규정력 아래 놓인 해방 후 북한의 역사서술 - 북한 역사서술의 시원 검토 -" 한국역사연구회 (96) : 141-185, 2015
4 "조선에서 사회주의적 토대와 상부구조의 발생과 발전의 특수성에 대한 토론회" (1) : 1958
5 황장엽, "조선에서 사회주의적 토대와 상부 구조의 발생 발전의 특수성" (1) : 1958
6 리청원, "조선에 있어서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1955
7 조선역사편찬위원회, "조선민족해방투쟁사" 김일성종합대학 1949
8 리청원, "조선근대사연구" 조선력사편찬회 1947
9 김시중, "조선 인민의 민족 해방 투쟁 역사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10 "조선 력사 과학 전선의 과업에 대하여" (1) : 1955
11 조수룡,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경희대학교 2018
12 김석형, "위대한 강령적 문헌들을 깊이 연구하자" (1) : 1958
13 김석형, "우리 당 과학 정책의 정당성과 력사학계의 임무: 공화국 창건 10주년에 제하여" (4) : 1958
14 김승화, "소련한족사" 대한교과서 1989
15 김광운, "분단 60년 북한의 학문세계: 혁명역사 연구분야" 4 (4): 2008
16 전영률, "북한학계의 한국근대사논쟁: 사회성격과 시대구분 문제" 창작과비평사 1989
17 도진순, "북한의 종파문제와 1920년대 민족해방투쟁에 대한 인식" 8 : 1989
18 신주백, "북한의 역사 만들기" 푸른역사 2003
19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21" 국사편찬위원회 1995
20 이영화, "북한 역사학의 학문체계와 연구동향" 한국사학사학회 (15) : 173-210, 2007
21 장학봉, "북조선을 만든 고려인 이야기" 경인문화사 2006
22 서동만,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선인 2005
23 리청원, "반일 민족 해방 투쟁에 있어서의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하)" (10) : 1955
24 리청원, "반일 민족 해방 투쟁에 있어서의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상)" (9) : 1955
25 신주백, "김일성의 만주항일유격운동에 대한 연구" 12 : 1994
26 최창익, "김일성동지는 항일유격투쟁의 조직 지도자이다" (4) : 1952
27 송호정, "김석형 사거를 맞아: 북한 역사학계의 거두 김석형과 한국사 연구" 36 : 1997
28 백남운, "과학원 창립 5주년 기념 보고" (1) : 1958
29 李淸源, "金日成將軍 빨지산鬪爭의 歷史的意義" 2 : 1948
30 백남운, "朝鮮民族解放鬪爭史" 金日成綜合大學 1949
31 金成鎬, "‘朝鮮人民革命軍’ 호칭에 대한 일검토"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1 : 7-242, 2003
32 "РГАНИ, ф. 5, оп. 28, д. 410"
33 Ким Сын Хва, "Великая октябрьская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волюция и револ юционное движение в корее, Всемирно-историческое значение Великой Октябрь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волюции" Ак адемия общественных наук при ЦК КПСС 1957
34 "АВПРФ, ф. 0102, оп. 14, п. 75, д. 6"
35 "АВПРФ, ф. 0102, оп. 13, п. 72, д. 6"
36 "АВПРФ, ф. 0102, оп. 13, п. 72, д. 5"
37 "АВПРФ, ф. 0102, оп. 11, п. 60, д. 8"
38 "АВПРФ, ф. 0102, оп. 10, п. 52, д. 9"
39 Andrei Lankov, "Crisis in North Korea: The Failure of De-Stalinization, 1956"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40 "8·15해방후 조선 력사학계가 걸어온 길" (4) : 1960
41 김승화, "3·1운동과 그의 력사적 교훈" (4) : 1950
42 윤경섭, "1950년대 북한의 정치갈등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7
43 김성보,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9
44 기광서, "1940년대 전반 소련군 88독립보병여단 내 김일성 그룹의 동향" 28 : 1998
45 김승화, "(비평과 서적해제)조선근대사연구" (10) : 1949
1950~60년대 『조선통사(상)』 간행과 북·소 역사학계 갈등
『조선사 개요』(1957)의 早期봉건사회설과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