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시 유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 및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and Preference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6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preference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among children in Seoul, and to find out their related factors. We also sought to provide baseline data to help set the direction and develo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Out of all preschools in Seoul, 400 preschools were selected with a stratified cluster sampling (that yields probability proportionate to size), by residential district, type(public vs private) and the number of children. Taking into account for the number of children in an preschool, we differentiated the selection probability of being included in our study, by applying 2 times weight for the top 1% in number, and 1.5 times for the top 5%. We then selected individual preschools for the study by a simple random sampling. We gave questionnaires to parents of the 3 – 6years old children selected in our sample. A total 3,096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wher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18.0.
      It turns out 59% of children to have an unbalanced diet, 39% to have liked foods, and 48% to have disliked foods in their diets. The main disliked foods are found to be vegetables, and the percentage of having liked foods or disliked foods is significantly higher for boys than girls (p<.001 for liked foods, p<.01 for disliked foods).
      According to the ‘stage of behavior change model’ for an enhanced consumption of vegetable, the fraction of parents in 'Action' or 'Maintenance' stage that are making efforts to increase their child's vegetable intake, is summed to be 79.4%, while 20.6% are in 'Contemplation or Preparation' or 'Precontemplation' where they do not make efforts yet. In addition,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hildren in 'Maintenance' appears to be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in other stages (p<.001).
      The preference of fruit is rated 4.25 out of 5,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3.17 for vegetable, where the preference of vegetable for girl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ys (p<.05). The preference for vegetable and fruit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 (p<.01) and with the practice score of dietary guidelines (p<.001). Regarding to distribution of BMI percentile value, the preference of vegetable and fruit are the lowest in the obesity group(BMI over 95 percentile), and the highest in the overweight group(BMI 85-95 percentile).
      The average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results are 1.4 and 1.2 times a day, and the frequency appears to be higher for boys than girls. The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 (p<.001 for fruit, p<.05 for vegetable) and with the practice score of dietary guidelines (p<.001). The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of BMI percentile value shows the lowest in the obesity group(BMI over 95th), and the highest in the overweight group(BMI 85-95th).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shows a similar trend in age, household income, practice score of dietary guidelines, and distribution of BMI value, with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ies at higher preferences (p<.001).
      Considering all the results out of this study,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e therefore expect more efficient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when the preferences for vegetable and fruit are taken into account. Furthermore we point out a need to develo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of low-income households or obese children, which are groups with low consumption of vegetable and fruit shown by this study.
      번역하기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preference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among children in Seoul, and to find out their related factors. We also sought to provide baseline data to help set the direction and develo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preference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among children in Seoul, and to find out their related factors. We also sought to provide baseline data to help set the direction and develo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Out of all preschools in Seoul, 400 preschools were selected with a stratified cluster sampling (that yields probability proportionate to size), by residential district, type(public vs private) and the number of children. Taking into account for the number of children in an preschool, we differentiated the selection probability of being included in our study, by applying 2 times weight for the top 1% in number, and 1.5 times for the top 5%. We then selected individual preschools for the study by a simple random sampling. We gave questionnaires to parents of the 3 – 6years old children selected in our sample. A total 3,096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wher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18.0.
      It turns out 59% of children to have an unbalanced diet, 39% to have liked foods, and 48% to have disliked foods in their diets. The main disliked foods are found to be vegetables, and the percentage of having liked foods or disliked foods is significantly higher for boys than girls (p<.001 for liked foods, p<.01 for disliked foods).
      According to the ‘stage of behavior change model’ for an enhanced consumption of vegetable, the fraction of parents in 'Action' or 'Maintenance' stage that are making efforts to increase their child's vegetable intake, is summed to be 79.4%, while 20.6% are in 'Contemplation or Preparation' or 'Precontemplation' where they do not make efforts yet. In addition,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hildren in 'Maintenance' appears to be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in other stages (p<.001).
      The preference of fruit is rated 4.25 out of 5,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3.17 for vegetable, where the preference of vegetable for girl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ys (p<.05). The preference for vegetable and fruit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 (p<.01) and with the practice score of dietary guidelines (p<.001). Regarding to distribution of BMI percentile value, the preference of vegetable and fruit are the lowest in the obesity group(BMI over 95 percentile), and the highest in the overweight group(BMI 85-95 percentile).
      The average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results are 1.4 and 1.2 times a day, and the frequency appears to be higher for boys than girls. The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 (p<.001 for fruit, p<.05 for vegetable) and with the practice score of dietary guidelines (p<.001). The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of BMI percentile value shows the lowest in the obesity group(BMI over 95th), and the highest in the overweight group(BMI 85-95th).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shows a similar trend in age, household income, practice score of dietary guidelines, and distribution of BMI value, with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ies at higher preferences (p<.001).
      Considering all the results out of this study,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e therefore expect more efficient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when the preferences for vegetable and fruit are taken into account. Furthermore we point out a need to develo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of low-income households or obese children, which are groups with low consumption of vegetable and fruit shown by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유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와 기호도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영양중재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서울시에 소재한 전체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층화추출법으로 구별, 유형별로 보육시설 400개소를 선정하였으며, 표본추출 시 재원 유아수를 고려하여 상위 1%에는 2의 가중치, 상위 5%에는 1.5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표본에 뽑힐 확률을 달리하였으며, 이차적으로 단순무작위 추출법으로 연구대상 보육시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보육시설의 4-7세 유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96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결과분석에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유아의 58.9%가 편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착식품이 존재하는 경우가 39%, 기피하는 식품이 존재하는 경우가 48%였다. 주요 기피식품은 채소류로 조사되었고, 남아의 집착식품 및 기피식품 존재 비율이 여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집착식품 p<.001, 기피식품 p<.01).
      채소 섭취증진을 위한 ‘행동변화단계모델’에서 현재 자녀의 채소 섭취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행동 및 유지단계’의 비율이 79.4%, 현재 자녀의 채소 섭취 증진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 않은 ‘고려 및 준비단계’와 ‘고려 전 단계’의 비율이 20.6%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지단계’에 속하는 유아의 채소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다른 단계에 속하는 유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과일 기호도는 5점 만점에 4.25점으로 채소 기호도인 3.17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여아의 채소 기호도가 남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5). 채소와 과일의 기호도는 월 가계소득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1), 식생활지침 실천 정도가 양호할수록 유아의 채소와 과일에 대한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체위분포에 따른 채소․과일 기호도는 BMI 95percentile 이상인 비만군에서 가장 낮았고, BMI 85-95percentile인 과체중군에서 가장 높았다.
      하루 평균 채소 섭취빈도는 1.2회, 과일 섭취빈도는 1.4회로 조사되었으며, 남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채소와 과일의 섭취빈도는 월 가계소득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채소 p<.05, 과일 p<.001), 식생활지침 실천 정도가 양호할수록 유아의 채소와 과일에 대한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체위분포에 따른 채소․과일 섭취빈도는 BMI 95percentile 이상인 비만군에서 가장 낮았고, BMI 85-95percentile인 과체중군에서 가장 높았다.
      연령, 월 가계소득, 식생활지침 실천 정도, 체위 분포에 따른 채소․과일의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채소와 과일의 기호도가 증가할수록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채소․과일의 기호도는 섭취빈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향후 채소․과일 섭취를 늘리기 위한 영양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기호도 향상을 고려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채소와 과일에 대한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난 저소득층과 비만군을 위한 영양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시 유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와 기호도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영양중재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본 연구는 서울시 유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와 기호도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영양중재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서울시에 소재한 전체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층화추출법으로 구별, 유형별로 보육시설 400개소를 선정하였으며, 표본추출 시 재원 유아수를 고려하여 상위 1%에는 2의 가중치, 상위 5%에는 1.5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표본에 뽑힐 확률을 달리하였으며, 이차적으로 단순무작위 추출법으로 연구대상 보육시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보육시설의 4-7세 유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96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결과분석에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유아의 58.9%가 편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착식품이 존재하는 경우가 39%, 기피하는 식품이 존재하는 경우가 48%였다. 주요 기피식품은 채소류로 조사되었고, 남아의 집착식품 및 기피식품 존재 비율이 여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집착식품 p<.001, 기피식품 p<.01).
      채소 섭취증진을 위한 ‘행동변화단계모델’에서 현재 자녀의 채소 섭취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행동 및 유지단계’의 비율이 79.4%, 현재 자녀의 채소 섭취 증진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 않은 ‘고려 및 준비단계’와 ‘고려 전 단계’의 비율이 20.6%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지단계’에 속하는 유아의 채소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다른 단계에 속하는 유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과일 기호도는 5점 만점에 4.25점으로 채소 기호도인 3.17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여아의 채소 기호도가 남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5). 채소와 과일의 기호도는 월 가계소득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1), 식생활지침 실천 정도가 양호할수록 유아의 채소와 과일에 대한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체위분포에 따른 채소․과일 기호도는 BMI 95percentile 이상인 비만군에서 가장 낮았고, BMI 85-95percentile인 과체중군에서 가장 높았다.
      하루 평균 채소 섭취빈도는 1.2회, 과일 섭취빈도는 1.4회로 조사되었으며, 남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채소와 과일의 섭취빈도는 월 가계소득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채소 p<.05, 과일 p<.001), 식생활지침 실천 정도가 양호할수록 유아의 채소와 과일에 대한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체위분포에 따른 채소․과일 섭취빈도는 BMI 95percentile 이상인 비만군에서 가장 낮았고, BMI 85-95percentile인 과체중군에서 가장 높았다.
      연령, 월 가계소득, 식생활지침 실천 정도, 체위 분포에 따른 채소․과일의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채소와 과일의 기호도가 증가할수록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채소․과일의 기호도는 섭취빈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향후 채소․과일 섭취를 늘리기 위한 영양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기호도 향상을 고려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채소와 과일에 대한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난 저소득층과 비만군을 위한 영양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List of Tables ⅰ
      • List of Figures ⅲ
      • 국문초록 ⅳ
      • 제 1 장 서론 1
      • List of Tables ⅰ
      • List of Figures ⅲ
      • 국문초록 ⅳ
      • 제 1 장 서론 1
      • 제 2 장 연구방법 4
      • 제 1 절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
      • 제 2 절 연구내용 및 방법
      • 1. 일반적인 특성 4
      • 2. 유아의 편식 5
      • 3. 식생활지침 실천정도 5
      • 4. 채소․과일 기호도 5
      • 5. 채소․과일 섭취빈도 5
      • 6. 체위 조사 7
      • 7.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7
      • 제 3 장 연구결과 및 고찰 7
      • 1. 일반적인 특성 7
      • 2. 유아의 편식 12
      • 3. 식생활지침 실천정도 15
      • 4. 채소 섭취증진을 위한 행동변화단계 18
      • 5. 유아의 채소․과일 기호도 및 관련요인과의 관련성 20
      • 1) 채소와 과일에 대한 기호도 20
      • 2)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채소․과일 기호도 분석 23
      • 3)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채소․과일 기호도 분석 26
      • 4) 건강관련 요인에 따른 채소․과일 기호도 분석 30
      • 5)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채소 기호도 분석 33
      • 6. 유아의 채소․과일 섭취빈도 및 관련요인과의 관련성 34
      • 1) 채소와 과일의 식사 및 간식 섭취빈도 34
      • 2)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채소․과일 섭취빈도 분석 38
      • 3)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채소․과일 섭취빈도 분석 42
      • 4) 건강관련 요인에 따른 채소․과일 섭취빈도 분석 47
      • 5) 채소․과일 기호도에 따른 섭취빈도 분석 53
      • 6)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채소 섭취빈도 분석 56
      • 제 4 장 결론 및 제언 58
      • 제 1 절 결론
      • 제 2 절 제언
      • 참고문헌 62
      • 부록 69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