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4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aching efficac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teacher's role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3 to 5 years, and the evaluation index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10 structural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literature and content validity conducted by professionals; a total 50 question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derived: physical environment and daily routine, guidance for daily life,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validity in study, responses from 539 teachers of children aged 3 to 5 years were conducted for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urrent validity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As a resul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item and reliability of 10 elements and 3 subscales() were appropriate. Second, according t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factor hierarchical model was fitted to data in which 10 elements constituted three subscales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efficac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nfirm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cale of Bandura(2006) and Kim & Seo(2010). Lastly,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ult between types of center, this scale was proved to be useful to measur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either in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aching efficac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teacher's role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3 to 5 years, and the evaluation 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aching efficac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teacher's role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3 to 5 years, and the evaluation index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10 structural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literature and content validity conducted by professionals; a total 50 question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derived: physical environment and daily routine, guidance for daily life,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validity in study, responses from 539 teachers of children aged 3 to 5 years were conducted for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urrent validity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As a resul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item and reliability of 10 elements and 3 subscales() were appropriate. Second, according t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factor hierarchical model was fitted to data in which 10 elements constituted three subscales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efficac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nfirm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cale of Bandura(2006) and Kim & Seo(2010). Lastly,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ult between types of center, this scale was proved to be useful to measur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either in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Bandura의 효능기대 이론,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유아교육기관 통합평가지표에 기초하여, 교수자로서의 유아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과 전문가 내용타당도에 기초하여 10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총 50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환경구성 및 일과운영, 생활지도, 교수·학습방법 3요인을 도출하였다. 타당도 연구에서는 만 3-5세 담임교사 539명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공인타당도 분석, 변별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각 문항의 평균은 3.61∼4.34, 표준편차는 .73∼1.47, 신뢰도는 .95∼.98로 적절하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0개의 요소가 3개의 하위척도를 구성하고 보편적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전체를 구성하는 위계적 3요인 모형을 확인하였다. 셋째, Bandura(2006)의 유아교사 효능감 척도, 김선영, 서소정(2010)의 유아교사 효능감 도구와 상관분석 결과를 통해 본 유아교사 교수효능감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고 본 척도의 하위척도 구성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간의 차이가 없어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Bandura의 효능기대 이론,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유아교육기관 통합평가지표에 기초하여, 교수자로서의 유아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

      본 연구는 Bandura의 효능기대 이론,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유아교육기관 통합평가지표에 기초하여, 교수자로서의 유아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과 전문가 내용타당도에 기초하여 10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총 50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환경구성 및 일과운영, 생활지도, 교수·학습방법 3요인을 도출하였다. 타당도 연구에서는 만 3-5세 담임교사 539명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공인타당도 분석, 변별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각 문항의 평균은 3.61∼4.34, 표준편차는 .73∼1.47, 신뢰도는 .95∼.98로 적절하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0개의 요소가 3개의 하위척도를 구성하고 보편적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전체를 구성하는 위계적 3요인 모형을 확인하였다. 셋째, Bandura(2006)의 유아교사 효능감 척도, 김선영, 서소정(2010)의 유아교사 효능감 도구와 상관분석 결과를 통해 본 유아교사 교수효능감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고 본 척도의 하위척도 구성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간의 차이가 없어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학업동기 : 이론, 연구와 적용" 학지사 2010

      2 곽세영, "초등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3 Bandura, A.,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교육과학사 1997

      4 김은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및 수행여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121-145, 2013

      5 이분려,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6 김민정, "유치원 교사의 집단효능감, 교사효능감, 교육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57-375, 2015

      7 박은혜,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관점 성향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27-49, 2017

      8 장미정,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의 질과 교사 관련 변인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49-276, 2011

      9 정선아,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99-321, 2013

      10 김환남, "유아교사의 직무모형 개발 및직무수행 실태분석" 한국보육학회 16 (16): 87-114, 2016

      1 김아영, "학업동기 : 이론, 연구와 적용" 학지사 2010

      2 곽세영, "초등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3 Bandura, A.,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교육과학사 1997

      4 김은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및 수행여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121-145, 2013

      5 이분려,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6 김민정, "유치원 교사의 집단효능감, 교사효능감, 교육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57-375, 2015

      7 박은혜,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관점 성향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27-49, 2017

      8 장미정,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의 질과 교사 관련 변인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49-276, 2011

      9 정선아,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99-321, 2013

      10 김환남, "유아교사의 직무모형 개발 및직무수행 실태분석" 한국보육학회 16 (16): 87-114, 2016

      11 이리자,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2015

      12 윤은정,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관련 연구의 경향 분석" 6 (6): 67-87, 2014

      13 손복영,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 사회 교과교육학지식이 사회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45-267, 2016

      14 심숙영,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유아기질에 따른 차이 검증"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353-369, 2017

      15 손희진,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5 (35): 191-209, 2014

      16 김선영,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개념과 측정구조에 대한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67-287, 2005

      17 이미진,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STEAM 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도 차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86-210, 2017

      18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18 (18): 283-302, 1998

      19 염지숙, "유아교사론" 창지사 2014

      20 정유진, "유아교사 직무수행 효능감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2018

      21 문연경,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을 위한 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조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9 (19): 41-60, 2015

      22 김선영, "유아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한국아동학회 31 (31): 91-110, 2010

      23 현정환, "영유아 발달" 창지사 2016

      24 신혜은, "영유아 교수방법" 양서원 2017

      25 심영희,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21-138, 2013

      26 박은미, "보육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179-200, 2013

      27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6호, 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2-92호에 따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8 최효식,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39-356, 2015

      29 임성택, "교사효능감" 강현출판사 2011

      30 김아영,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3-84, 2012

      31 박 경,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유아의 내·외현적 행동문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2 Tschannen-Moran, M., "The differential antecedents of self-efficacy beliefs of novice and experienced teachers" 23 (23): 944-956, 2007

      33 Gibson, S.,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personal responsibility/self-efficacy scale" 1982

      34 Hoy, W. K.,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93 (93): 355-372, 1993

      35 Skaalvik, E. M., "Teacher self-efficacy and perceived autonomy : Relations with teacher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114 (114): 68-77, 2016

      36 Soodak, L. C., "Teacher efficacy : Toward the understanding of a multi-faceted construct" 12 (12): 401-411, 1996

      37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and measure" 68 (68): 202-248, 1998

      38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17 (17): 783-805, 2001

      39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40 Shore, J., "Teacher educa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s : A case study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eacher efficacy in two teacher preparation courses" 106 (106): 112-139, 2004

      41 Barr, M., "Teacher Self-efficacy, Teacher-student Interactions, and Preschool Student Outcomes: A Domain-specific Approach" Oklahoma State University 2016

      42 Betoret, F. D., "Stressors, Self-Efficacy, Coping Resources, and Burnout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pain" 26 (26): 519-539, 2006

      43 Bandura, A.,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Age Information Publishing 307-337, 2006

      44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45 이경옥, "SPSS 명령문을 활용한 유아교육연구 분석" 학지사 2015

      46 Ashton, P. T.,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Vol. 2. The classroom milieu" Academic Press 141-174, 1985

      47 Tak, J. K.,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Hakjisa Publisher 2007

      48 Kline, R.,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05

      49 Infurna, C. J., "Preschool Teacher Self-Efficacy in an Urban School District" St. John Fisher College 2016

      50 Fantuzzo, J., "Making visible teacher report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s :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xperiences scale" 49 : 194-205, 2012

      51 Ashton, P. T.,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86

      52 Gable, R. K., "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Kluwer Academic Publisher 1993

      53 Enochs, L. G.,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90 (90): 694-706, 1990

      54 Foote, C. J., "Field Experiences in high-need, urban settings : Analysis of current practice and insights for change" 36 (36): 189-210, 2004

      55 Bullock, A., "Exploring link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o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room management self-efficacy beliefs" 47 (47): 175-183, 2015

      56 Guo, Y., "Exploring factors related to preschool teachers’ self-efficacy" 27 : 961-968, 2011

      57 Williams, B.,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ve-step guide for novices" 8 (8): 2012

      58 Klassen, R. M., "Effects 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Teacher gender, years of experience, and job stress" 102 (102): 741-756, 2010

      59 김연하,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69-191, 2008

      60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61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62 교육부, "2017학년도 유치원 평가 중앙 연수자료"

      63 Knoblauch, D., ""Maybe I can teach those kids.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on student teachers’ efficacy beliefs" 24 (24): 166-179,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