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 A Study on design of metadata element for Administration - Knowledge Management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711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용돌이의 장이라고 불리는 현대 행정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정부서비스의 온라인화와 지식관리를 통한 전자정부의 구현을 추구해오고 있다. 전자정부법에서는 행정의 지식관...

      소용돌이의 장이라고 불리는 현대 행정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정부서비스의 온라인화와 지식관리를 통한 전자정부의 구현을 추구해오고 있다. 전자정부법에서는 행정의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근거를 제시하고 정부기관의 지식관리를 장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0년도 이후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의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스템간의 연계 및 지식의 공유는 미흡한 편이다. 정부에서는 정부소재안내서비스 및 지식정보자원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 코어 요소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메타데이터는 다양한 환경과 요구에 적절한 메타데이터 포맷이 요구되므로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특성과 행정지식의 속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의 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기반이 되는 행정지식에 관한 함의을 통해 지식관리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또한 영국 및 호주의 전자정부 메타데이터 표준인 AGLS와 e-GMS의 메타데이터를 살펴보고 더블린코어와의 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정부 메타데이터로서의 필요한 요소를 알아보았다. 국내의 경우 정부 표준 메타데이터는 없으나 유사한 기능을 하고 있는 정부소재안내서비스(GILS)와 지식정보자원통합 메타테이터(KIX 1.0)의 메타데이터 엘리먼트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표준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11개의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메타데이터 현황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더블린 코어 요소를 중심으로 요소를 선정한 결과, 사용되지 않는 Language(언어), Relation(관계), Coverage(범위)를 제거하고, 현행 행정지식관리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앞으로도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지식자원의 가치에 관한 Value(평가), 지식자원의 진행상태 또는 완성정도의 정보를 제공하는 Status(상태), Audience(이용계층)의 요소를 추가함은 물론 각 요소의 속성을 지식관리시스템의 메타데이터는 다양한 환경과 요구에 적절한 메타데이터 포맷으로 일부 변형하여 15개의 코어 엘리먼트를 설계하였다.
      이 메타데이터 세트는 각 기관들간의 지식관리 호환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정의되었으므로 행정지식의 효율적 관리와 검색 및 상호공유를 위한 지식관리시스템의 발전에 기초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e-government through on-line service and knowledge Management to adapt themselves to administrationcircumstance as it called turbulent field. The law of e-government indicates the operation base of knowledge mana...

      The Korea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e-government through on-line service and knowledge Management to adapt themselves to administrationcircumstance as it called turbulent field. The law of e-government indicates the operation bas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encourages government offices in knowledge management.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nd local self-governing bodies operate Knowledge Management since year 2000, but the interface and share of knowledge among the system are insufficient. Even though the government is studying metadata for Government Information Location Services core element set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the discussion for the core element of meta data for Administrati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not enough. Because the meta data requires proper meta data format for the various environment and requirement, the meta data design including the characteristic of Administrati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the attribute of knowlege mangement is necessary.
      This research explains the necessity and characteristic of Knowleg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review of Administrative Knowledge. And, Taking into cosideration the similarities in creiteria, Australia and England have standardized the metadata criteria for application. In case of Korea does not yet have e-government metadata that has been stadardized, but Government Information Location ServicesS core element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eXchange 1.0 metadata is parallel that.
      So, Administrative Knowlege Management System core element of government organization is analyzed focusing on the Doblin cor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eXchange 1.0. This research suggests 15 core element sets for Administrative Knowlege Management System. For design of metadata element, this research analysis Knowlege Management System metadata element of 11 administrative organ.
      This metadata set, which is proper to the interface and union of individual Knowlege Management System, would contribute to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and information retriev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 나. 선행연구 = 3
      • 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 2.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이론적 고찰
      • 1. 서 론
      •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 나. 선행연구 = 3
      • 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 2.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이론적 고찰
      • 가. 지식의 개념과 행정상 함의 = 6
      • 1) 일반적 의미에서 지식의 개념 = 6
      • 2) 지식과 행정간 관계 = 7
      • 나. 행정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행정지식관리시스템 = 9
      • 1) 지식관리시스템의 배경 = 9
      • 2)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개요 = 10
      • 3) 전사적지식관리시스템 = 12
      • 3. 각국의 정부 메타데이터 표준
      • 가. 자원발견 메타데이터와 전자정부 메타데이터 = 14
      • 1) 자원발견 메타데이터 = 14
      • 2) 전자정부 메타데이터 = 16
      • 나. 우리나라 정부기관의 메타데이터 = 24
      • 1) 정부소재안내서비스 코어 엘리먼트 = 24
      • 2) 지식정보자원관리 메타데이터 = 26
      • 4. 행정지식관리시스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 가. 행정지식관리시스템 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 29
      • 1) 주요 정부기관 지식관리시스템의 메타데이터 분석 = 29
      • 2) 기관별 행정지식관리시스템 메타데이터 요소 비교 = 38
      • 나.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 41
      • 1) 설계 기준 = 41
      • 2) 행정지식관리시스템 메타데이터 요소 설명 = 43
      • 5. 결 론
      • 가. 연구결과 및 의의 = 51
      • 나. 연구의 한계와 향후과제 = 52
      • [참고문헌] = 53
      • [Abstract] =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