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축제 환경단서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연구: 최근 3년간 개최된 시흥갯골축제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al Cues of Local Festiv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4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ocal festivals held recently are the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that are used a lot as an intangible product promoting the relevant region for the purpose of creating diverse values and effects.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festivals, it would be considerably important to put efforts to continuously listen to visitors’ needs, and also to reflect them in the site of festival.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before experiencing the festival and the satisfaction after experiencing the festival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cues of local festival, and also analyzed the changes in the main factors through the IPA for last three years, instead of a single yea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fter experiencing compared to the importance before experiencing for last three years, was mostly a bit low. In the results of analysis on 2017~2018, it could be viewed as a festival composed of effective concentration and selection. However, due to the reduced days of operation caused by the typhoon ‘Lingling’ in 2019, visitors’ rush, and reduced operation of outdoor experiential programs, the index of satisfaction level was decreased. This study implies that it would be absolutely needed to put efforts to improve diverse environmental cues of local festival in accordance with consumers’ needs, and also to establish the measures for coping with the weather environment which is a weakness of local festivals. If there are follow-up researches that complemen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useful data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local festivals.
      번역하기

      The local festivals held recently are the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that are used a lot as an intangible product promoting the relevant region for the purpose of creating diverse values and effects.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festivals, it wo...

      The local festivals held recently are the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that are used a lot as an intangible product promoting the relevant region for the purpose of creating diverse values and effects.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festivals, it would be considerably important to put efforts to continuously listen to visitors’ needs, and also to reflect them in the site of festival.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before experiencing the festival and the satisfaction after experiencing the festival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cues of local festival, and also analyzed the changes in the main factors through the IPA for last three years, instead of a single yea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fter experiencing compared to the importance before experiencing for last three years, was mostly a bit low. In the results of analysis on 2017~2018, it could be viewed as a festival composed of effective concentration and selection. However, due to the reduced days of operation caused by the typhoon ‘Lingling’ in 2019, visitors’ rush, and reduced operation of outdoor experiential programs, the index of satisfaction level was decreased. This study implies that it would be absolutely needed to put efforts to improve diverse environmental cues of local festival in accordance with consumers’ needs, and also to establish the measures for coping with the weather environment which is a weakness of local festivals. If there are follow-up researches that complemen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useful data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local festiv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의 지역문화" 대왕사 2008

      2 이혁진, "테마파크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1 (21): 5-18, 2007

      3 김창수, "테마파크 환경 지각이 방문객 감정반응 및 사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13 (13): 43-65, 2009

      4 김규영, "컨벤션센터 이용자의 지각된 환경단서, 내적반응, 행동의도와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창수, "축제 핵심프로그램의 감성편익과 상징편익이 축제애착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경영학회 22 (22): 23-44, 2018

      6 정강환, "축제 방문객 만족도가 지역 문화관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6 (16): 287-303, 2004

      7 박재관, "지역축제의 환경단서와 관광체험이 축제개최효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3 (13): 22-35, 2011

      8 김창수,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축제이미지 및 제품브랜드가치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국제맥주축제를 대상으로 -" 관광경영학회 16 (16): 47-69, 2012

      9 김창수,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관광경영학회 21 (21): 81-97, 2017

      10 박종진, "지방박람회 환경단서와 장소성이 지속가능성 및 지역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의 지역문화" 대왕사 2008

      2 이혁진, "테마파크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1 (21): 5-18, 2007

      3 김창수, "테마파크 환경 지각이 방문객 감정반응 및 사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13 (13): 43-65, 2009

      4 김규영, "컨벤션센터 이용자의 지각된 환경단서, 내적반응, 행동의도와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창수, "축제 핵심프로그램의 감성편익과 상징편익이 축제애착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경영학회 22 (22): 23-44, 2018

      6 정강환, "축제 방문객 만족도가 지역 문화관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6 (16): 287-303, 2004

      7 박재관, "지역축제의 환경단서와 관광체험이 축제개최효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3 (13): 22-35, 2011

      8 김창수,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축제이미지 및 제품브랜드가치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국제맥주축제를 대상으로 -" 관광경영학회 16 (16): 47-69, 2012

      9 김창수,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관광경영학회 21 (21): 81-97, 2017

      10 박종진, "지방박람회 환경단서와 장소성이 지속가능성 및 지역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1 서철현,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의 이용 후 평가에 관한 연구 : 중요도-성취도(IPA) 기법을 중심으로" 5 (5): 125-144, 2003

      12 조태영, "이벤트의 지각된 환경단서가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7 경주세계문화엑스포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1-22, 2008

      13 정승훈,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의 서비스스케이프, 만족, 방문후 태도의 영향 관계" 한국관광학회 34 (34): 143-166, 2010

      14 박종진,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전시박람회 참관자의 중요도-성과분석(IPA)" 한국관광연구학회 22 (22): 101-119, 2008

      15 황욱선, "도시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중요도·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원주 다이내믹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217-237, 2016

      16 윤설민, "Z-검증을 이용한 축제의 환경단서, 만족도, 행동의도 간 영향관계 - 춘천마임축제와 보령머드축제 간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6 (26): 399-416, 2011

      17 Matzler, K.,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level performance and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33 (33): 271-277, 2004

      18 Kotler, p., "Marketing for Hospitality and Tourism" Prentice-Hall Inc 1996

      19 한학진, "IPA분석기법을 적용한 강원지역 MICE산업 인식과 활성화 방안" 한국호텔관광학회 12 (12): 13-28, 2010

      20 김민형, "IPA를 활용한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9 (19): 25-37, 2019

      21 박수진, "IPA를 활용한 문화관광축제 서비스품질 평가: 광주 추억의 충장축제를 대상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31-152, 2016

      22 김정훈, "IPA를 통한 축제방문객의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남도음식문화큰잔치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19 (19): 139-162, 2011

      23 Hartline, M., "Employee performance cues in an hotel service environment influence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Value and word-of-mouth intention" 35 : 307-315, 1996

      24 Raymond, C.,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hotel selection factors in the Hong Kong hotel industry : A comparison of business and leisure travellers" 21 : 363-377,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관광경영학연구 -> 관광경영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rch ->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 2.3 2.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398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