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CVC가 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벤처기업이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수출역량을 강화할 때 나타나는 CVC의 역할을 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78673
서울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0
학위논문(박사)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융합산업학과 경영학전공 , 2020. 8
2020
한국어
서울
; 26 cm
지도교수: 윤병섭
I804:11097-20000033589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VC가 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벤처기업이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수출역량을 강화할 때 나타나는 CVC의 역할을 발...
본 연구의 목적은 CVC가 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벤처기업이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수출역량을 강화할 때 나타나는 CVC의 역할을 발견함에 있다.
연구표본은 200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3년 연구기간 동안 CVC 실시기업을 연구대상 기업으로 삼았다. 그리고 본 연구가 활용할 수 있는 CVC 실시기업 102개를 선정하였다. 분석범위는 CVC 형성 전‧후 3년을 기준으로 한다.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벤처기업에서 CVC를 형성하기 전과 CVC 투자활동을 실시한 이후 특허출원 건수의 차이가 체계적으로 차별적으로 존재하였다. 이는 CVC를 형성하여 벤처기업을 육성함이 CVC를 형성하지 않고 기업을 육성하는 것보다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CVC가 투자한 벤처기업 지분율과 특허출원 건수 사이는 위로 볼록한 역U자형 곡선관계 즉, 절충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CVC가 투자한 벤처기업 지분율이 34.2% 영역까지는 특허출원 건수가 증가하지만, 34.2% 영역 이상에서는 특허출원 건수가 감소함을 발견하였다. 이는 CVC 투자 건수가 증가할수록 내부비용이 발생하고 투자여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CVC 투자 건수의 증가는 지식창출 효과를 체감시킨다. 이는 결과적으로 최적 CVC 투자수준이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CVC 투자 건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고 판단할 수 없으므로 개별기업이 합당한 CVC 투자 수준을 결정해 특허출원을 최적으로 유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CVC가 투자한 벤처기업의 교육훈련비, 연구개발집약도는 특허출원 건수와 수출 비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체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치고 있었다. 교육훈련비는 불확실한 미래현금흐름에도 불구하고 교육훈련 활동이 특허출원 건수 증대에 기여한다는 반응이다. 그리고 연구개발투자를 통한 CVC 활동이 지식의 흡수력을 강화해 특허출원 환경을 조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넷째, 동일한 벤처기업에서 CVC를 형성하기 전과 CVC 투자활동을 실시한 이후 수출성과의 차이가 체계적으로 차별적으로 존재하였다. 기업이 CVC를 형성해 투자한 벤처기업에서 추구하는 전략적 목적의 하나인 신시장 개척 등 해외시장 진출에 도움이 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궁극적으로 CVC는 특허출원에 효과적이다. 이는 발명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특허의 발명을 독려 및 장려하고 기술을 확산시킴으로써 국가의 산업발전에 이바지한다. 그리고 CVC는 벤처기업에게 연결의 힘을 주어 취약한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국제적으로 홍보 또는 영업 활동 영역을 확장해 수출역량을 기르고 해외경쟁력의 향상과 수익창출을 통한 기업성장을 촉진시킨다. CVC 투자기업의 수출역량 강도가 CVC 비투자기업보다 크기 때문에 CVC가 벤처기업의 해외 활동에 교두보 또는 견인역할을 하여 벤처기업의 가치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대기업, 중견기업 등 일반기업으로부터 자본출자 또는 펀드를 투자받은 CVC와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및 수출지향적 활동 사이 긍정적인 영향이 체계적으로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ole of CVC when venture business commercialize new technologies and ideas and strengthen export capabilities by analyzing the impact of CVC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of Start-up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ole of CVC when venture business commercialize new technologies and ideas and strengthen export capabilities by analyzing the impact of CVC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of Start-ups.
For the research sample, companies conducting CVC during the 13-year research period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19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companies. In addition, 102 CVC companies that can be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The scope of analysis is based on three years before and after CVC form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ystematic discrimination i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before and after CVC investment in the same venture business. This means that forming CVCs to foster ventures is more effective than fostering companies without CVCs.
Second, it supports the convex inverse U-shaped curve relationship, that is, the trade-off hypothesis, between the share of venture business invested by CVC an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We found that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ncreased up to 34.2% of the venture business stake in CVC, while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decreased over 34.2%. This increases the number of CVC investments, which incurs internal costs and limits on investment capacity, so increasing the number of CVC investments reduces the knowledge creation effect. As a result, it indicates that the optimal level of CVC investment exists, and it cannot be judge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CVC investments effectively uses limited resour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 compan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CVC investment and to induce patent applications optimally.
Third,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ntensity of venture business invested by CVC had a system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and the proportion of exports.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are a response that education and training activities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despite uncertain future cash flows. In addition, it can be judged that CVC activities through R&D investment enhance the absorption power of knowledge and create a patent application environment.
Fourth, there was a systematic discrimination in the difference in export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CVC investment was formed in the same venture business. It provides implications that it helps to enter overseas markets, such as pioneering new markets, one of the strategic goals pursued by venture business that have formed and invested in CVC.
Ultimately, CVC is effective for patent applications. It contributes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by encouraging and encouraging the invention of patents that protect the rights of inventors and spreading technology. And CVC supports vulnerable networks by giving start-ups the power to connect. By expanding the area of public relations or sales activities internationally, we will develop export capabilities and help companies grow through overseas competitiveness and profit generation. As the strength of export capacity of venture companies supported by CVC is higher than those of companies not supported by CVC, it can be judged that CVC helps to increase the value of venture companies by providing a bridgehead or a leading role in venture business overseas activities. It suggests that the positive impact between the CVC and venture-oriented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and export-oriented activities of capital ventures or funds from general companies such as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s systematically exert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창조적 디자인 경영」, 이병욱, 경기파주: 국일미디어, , 2008
2. “지주회사의 주식소유 규제”, 전삼현, 「규제연구」, 제13권, 제2호, pp.3 ∼32, , 2004
3. 한국벤처생태계의 성숙과 진화, 손동원, 「Policy Brief」,정책자료 2006-0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2006
4. “혁신과 가치창출에 CVC 활용”, 정재호, 「POSRI 이슈리포트」, 포스코 경영연구원, , 2019
5. “내부 기업가정신과 사내벤처”, 김예구, 「KB지식비타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 2016
6. “전략적 천사투자, 혁신을 얻다”, 한민선, PRiSM Review, Dong-A Business Review, 제96호, pp.88~91, , 2012
7. “사내벤처캐피탈과 기업의 기술혁신”, 이기환, 「벤처경영연구」, 제8권, 제2호, pp.153~174, , 2005
8. “기업가치와 기업소유구조와의 연관성”, 김영숙과, 이재춘, 「증권학회지」, 제26집, pp.173~196, , 2000
9. “닷컴 벤처의 발전 경로: ㈜옥션의 사례”, 정승화, 「벤처경영연구」, 제4권, 제1호, pp.83~109, , 2001
10. “㈜네오플럭스의 벤처캐피탈 사업 다각화”, 정승화와, 박선주, 최영근, 「벤처경영연구」, 제12권, 제2호, pp.139~156, , 2009
1. 「창조적 디자인 경영」, 이병욱, 경기파주: 국일미디어, , 2008
2. “지주회사의 주식소유 규제”, 전삼현, 「규제연구」, 제13권, 제2호, pp.3 ∼32, , 2004
3. 한국벤처생태계의 성숙과 진화, 손동원, 「Policy Brief」,정책자료 2006-0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2006
4. “혁신과 가치창출에 CVC 활용”, 정재호, 「POSRI 이슈리포트」, 포스코 경영연구원, , 2019
5. “내부 기업가정신과 사내벤처”, 김예구, 「KB지식비타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 2016
6. “전략적 천사투자, 혁신을 얻다”, 한민선, PRiSM Review, Dong-A Business Review, 제96호, pp.88~91, , 2012
7. “사내벤처캐피탈과 기업의 기술혁신”, 이기환, 「벤처경영연구」, 제8권, 제2호, pp.153~174, , 2005
8. “기업가치와 기업소유구조와의 연관성”, 김영숙과, 이재춘, 「증권학회지」, 제26집, pp.173~196, , 2000
9. “닷컴 벤처의 발전 경로: ㈜옥션의 사례”, 정승화, 「벤처경영연구」, 제4권, 제1호, pp.83~109, , 2001
10. “㈜네오플럭스의 벤처캐피탈 사업 다각화”, 정승화와, 박선주, 최영근, 「벤처경영연구」, 제12권, 제2호, pp.139~156, , 2009
11. “‘머니게임’ 스타트업 시장에 CVC發새바람”, 한수연, 「LG Business insight」, LG경제연구원, , 2015
12. “경영자원론에 입각한 경쟁전략에 관한 연구”, 김의하, 「경상논총」, 제20권, 제2호, pp.65~82, , 2002
13. “기업가치와 소유경영구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경수, 장대홍과, 김우택, 「재무연구」, 제6호, pp.55~75, , 1993
14. “대기업 벤처링의 유형과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훈, 「2013년도 STEPI Fellowship(국문) 공모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2013
15. “LG CNS의 사내벤처제도: 신규 사업의 조직화 전략”, 배종석, 최은영과, 김희천, 김명수, 「전략경영연구」, 제7권, 제1호, pp.91~112, , 2004
16. “코스닥 IPO시장에서 벤처캐피탈회사의 역할 분석”, 우재준, 이기환과, 「벤처경영연구」, 제5권, 제1호, pp.3~32, , 2001
17. “포스코 사례를 통해 본 전통기업의 사내벤처제도”, 신현곤과, 도은진, 「벤처경영연구」, 제8권, 제1호, pp.59~87, , 2005
18. “벤처캐피탈 국내외 비교 및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이태규, 「KERI Brief」, 17-26, 한국경제연구원, , 2017
19. “기업벤처캐피탈(CVC) 기능에 대한 고찰과 정책시사점”, 손수정, 「중소기업금융연구」, 제38권, 제4호, pp.25~51, , 2018
20. 「ICT 분야 대기업의 창업지원 인센티브 강화방안 연구」, 조유리와, 진홍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결과보고서, 방통융합기반정책연구 14-02, 미래창조과학부 용역과제, , 2014
21. “한국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소유지분과 기업가치”, 심준섭, 이경구와, 윤병섭,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7, No.6, pp.2149~2161, , 2005
22. “사내벤처캐피탈이 투자기업의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김정수와, 장지인, 윤병섭, 「국제회계연구」, 제41집, pp.243~264, , 2012
23.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규제와 관련한 입법적 개선방안」, 홍명수, 정책연구용역보고서, 국회입법조사처, , 2015
24. 기자, “CVC 규제가 대기업의 벤처투자 활성화 가로 막는다고?”, 박준석, 「한국일보」, , 2018
25.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의 규제완화 쟁점과 개선방안 (1)”, 박재영, 「현안분석」, 제98호, 국회입법조사처, , 2019
26. “소유구조와 기업의 회계적 성과 및 Tobin Q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기성, 「증권학회지」, 제30집, pp.297~325, , 2002
27. “공공벤처캐피탈의 공동투자가 벤처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과, 정승화,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2호, pp.87〜115, , 2016
28. “사내벤처캐피탈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파급 효과- 한․미 비교-”, 윤병섭, 이기환과, 「기업경영연구」, 제14권, 제1호, pp.55~66, , 2007
29. “경영자 스톡옵션 보상과 주식소유가 연구 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이상철, 이경태와, 박애영, 「회계학연구」, 제31권, 제2호, pp.89~126, , 2006
30. “사내벤처캐피탈이 사내벤처기업 수출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윤병섭과, 전병문,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5호, pp.2391~2412, , 2012
31. “외부감시가 기업의 혁신활동과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송준협, 「대한경영학회지」, 제19권, 제3호, pp.1015~1038, , 2006
32. “코스닥기업의 소유구조가 연구개발투자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조절효과”, 장지인, 김완중, 윤병섭과, 「상업교육연구」, 제23권, 제4호, pp.587~ 608, , 2009
33. 「APEC 경제협력과 중소기업: 주요국의 중소기업 정책과 중소 기업 협력방안」, 안형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1996
34. 「대-중소기업 동반성장형 창업활성화 전략- 대기업 벤처링 활동을 중심으로-」, 이윤준, 나청호와, 이화진, 정책연구 2014-29,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 2014
35. 기자 “[심층리포트]②우리도 구글‧GE 처럼?...“발목 잡는 규제부터 개선해야”,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 2018
36. 강성진과 권지인, 「지적재산권 강화가 기술혁신 및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IT산업을 중심으로」, 김정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 06-11, ,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