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과 비장애인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derly living al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6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of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derly living alone Methods: The study examines the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using over 65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of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derly living alone Methods: The study examines the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using over 65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ata. Subjects were 2,265 person among elderly living alone over 65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sup>2</sup>-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6.0 program. Results: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disabilities were 13.6% and 9.0%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disabilities had higher suicidal ideation (p<.05).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living alone with disabilities were employment and depress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living alone without disabilities were age, gender, number of chronic disease, economic state, SLCA(Society, leisure, culture, and activities) and depression. Depression was analyzed as a common factor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disabled and non-disabled elderly living alon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programs and community support systems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for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derly living alo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은, "후기노인에서의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 관련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32 (32): 248-260, 2020

      2 서인균, "지역사회환경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9) : 383-416, 2015

      3 권오균,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자아존중감, 우울감, 절망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65-93, 2013

      4 김년희, "만성질환을 가진 독거노인의 우울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99-706, 2021

      5 황정우, "동거 및 독거노인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5 (45): 36-62, 2017

      6 서경현,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15-137, 2003

      7 이금룡,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62-189, 2013

      8 송영달,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 30 (30): 643-660, 2010

      9 주소희, "독거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2 (22): 31-53, 2010

      10 박봉길,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자기비판, 고독감의 다중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51-74, 2014

      1 양정은, "후기노인에서의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 관련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32 (32): 248-260, 2020

      2 서인균, "지역사회환경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9) : 383-416, 2015

      3 권오균,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자아존중감, 우울감, 절망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65-93, 2013

      4 김년희, "만성질환을 가진 독거노인의 우울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99-706, 2021

      5 황정우, "동거 및 독거노인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5 (45): 36-62, 2017

      6 서경현,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15-137, 2003

      7 이금룡,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62-189, 2013

      8 송영달,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 30 (30): 643-660, 2010

      9 주소희, "독거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2 (22): 31-53, 2010

      10 박봉길,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자기비판, 고독감의 다중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51-74, 2014

      11 김예성, "독거노인의 생산적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저소득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344-374, 2015

      12 배숙경,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5-30, 2012

      13 서인균, "독거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농촌과 도시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19-247, 2016

      14 박봉길, "독거노인의 경제적 상실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독감의 조절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63) : 175-201, 2014

      15 손정남,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 21 (21): 118-126, 2012

      16 한삼성, "독거노인과 부부노인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경험" 보건의료산업학회 6 (6): 29-38, 2012

      17 김은경, "노인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5 (15): 54-62, 2015

      18 권중돈,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자살시도경험과 음주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297-320, 2011

      19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 16 (16): 333-344, 2009

      20 Korea Statistical Office, "estimated future population 2017"

      21 Korea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on Causes of Death 2018"

      22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Quality of LIife Indicators in Korea 2020"

      23 Russell, D., "Physical disability and suicidal ideation : a community-based study of risk/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thoughts" 39 (39): 440-451, 2009

      24 Abascal, J., "Managing intelligent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lderly people" Springer 623-630, 2009

      25 "KOSIS"

      26 Lewis, V. M., "Disability,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208 : 662-669, 2017

      27 Bolina, A. F., "Association between living arrangement and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29 : 2021

      28 Yeo, Eugene, "An In-depth Analysis of the 2020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 An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and Sample Characteristics"

      29 Prakash, I. J., "Aging, disability, and disabled older people in India" 15 (15): 85-108, 2003

      30 Béland, F., "A system of integrated care for olde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Canada :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61 (61): 367-373, 2006

      31 Xu, H., "A cross-sectional study on risk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ies of Hunan, China" 6 (6): 2016

      32 Ahn, Y. H., "A community-based integrated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and its effectiveness in caring for vulnerable elderly" 14 (14): 287-298, 2003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2020WHITE BOOK"

      3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7-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보건복지교육학회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Welfare and Health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보건복지교육학회지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Welfare and Health Educati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KCI등재후보
      2014-03-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 한국보건복지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Welfare and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3-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 한국보건복지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Welfare and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 1.24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