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운영 어려움과 유아과학교육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유아과학교육 인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hange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erception Through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Learning Club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88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ctually conduct science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appearance of teachers who are struggling and striving for it. For this, data such as interview data, participant reflective journal, class analysis, and class plan were analyzed through learning club activities with nine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Do I.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cience education that comes with fear, second, science that we want to teach in everyday life, third, science that begins to feel the joy of learning. Teachers talk about their vague fear of being a science in the early days of the club, but as the number of times they gather together increases, they begin to connect science and daily life, which is changing into the perception that it is the joy of learning about science. The group called a club changed the perception of science education that is natural to each ot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ctually conduct science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appearance of teachers who are strugg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ctually conduct science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appearance of teachers who are struggling and striving for it. For this, data such as interview data, participant reflective journal, class analysis, and class plan were analyzed through learning club activities with nine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Do I.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cience education that comes with fear, second, science that we want to teach in everyday life, third, science that begins to feel the joy of learning. Teachers talk about their vague fear of being a science in the early days of the club, but as the number of times they gather together increases, they begin to connect science and daily life, which is changing into the perception that it is the joy of learning about science. The group called a club changed the perception of science education that is natural to each ot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혜,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자기효능감과 과학관련 배경 및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17 (17): 123-150, 2000

      2 유영희, "초등과학실험연수참여교사의연수경험에대한질적연구" 13 : 111-128, 2003

      3 김윤옥, "질적 연구 실천방법" 교육과학사 2009

      4 김희선,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불안에 따른 과학교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5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267-276, 2004

      6 이경민,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불안과 과학불안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385-406, 2005

      7 조형숙, "유아교사의 자연친화 교육활동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57-178, 2005

      8 이영숙, "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내용지식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0

      9 이경자,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육 실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김춘희,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연구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569-597, 2011

      1 박성혜,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자기효능감과 과학관련 배경 및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17 (17): 123-150, 2000

      2 유영희, "초등과학실험연수참여교사의연수경험에대한질적연구" 13 : 111-128, 2003

      3 김윤옥, "질적 연구 실천방법" 교육과학사 2009

      4 김희선,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불안에 따른 과학교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5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267-276, 2004

      6 이경민,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불안과 과학불안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385-406, 2005

      7 조형숙, "유아교사의 자연친화 교육활동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57-178, 2005

      8 이영숙, "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내용지식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0

      9 이경자,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육 실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김춘희,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연구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569-597, 2011

      11 이경민,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37-263, 2009

      12 조형숙,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과학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30, 2017

      13 지성애, "유아 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5-75, 2011

      14 오양자, "유아 과학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 실태"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15 조부경,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2010

      16 조성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신정 2008

      17 신은수, "생활과 환경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2006

      18 조명아, "상업화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질적 연구: 교사의 가르치기와 유아의 배우기를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59-79, 2010

      19 존 듀이(Dewey, J.),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교육과학사 1987

      20 조형숙, "과학으로 풍성한 교실 만들기" 다음세대 2012

      21 조형숙, "과학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방법의 고찰" 2 (2): 85-106, 1998

      22 조형숙, "과학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방법고찰" 1 (1): 85-106, 1999

      23 Perry, G., "Teachers and science" 47 (47): 9-16, 1992

      24 Campbell, P. B., "Science, math, and girls" 19 (19): 50-53, 1999

      25 Holt, B. G., "Science with young children" NAEYC 1993

      26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Sage 1980

      27 Wenglinksky, H.,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n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000

      28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rs 1981

      29 Koch, J., "Educational Psychology 7 of the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logy" Wiley 2002

      30 Martin, D. J.,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Delmar 2001

      31 Howe, E., "Connecting girls and science : Constructivism, feminism,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Teachers College Press 2002

      32 찰스 파델(Fadel, C.), "4차원교육 4차원 미래역량" 새로운봄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