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Effects of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School Readiness: The Mediating Role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47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학중인 학령전 아동 273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 및 아동의 학교준비도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 자세, 사회정서적 유능성,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결과, 아동의 자기조절은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아동의 학교준비도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사회정서적 유능성,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을 부분매개 혹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수용태도가 통제적이고 엄격할수록 아동이 인내, 집중, 조절 등과 같은 자기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아동의 높은 자기조절 수준은 결국 아동의 단체생활, 학습활동, 사회적 유능성의 높은 수준으로 연결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기조절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부모와 교사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학중인 학령...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학중인 학령전 아동 273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 및 아동의 학교준비도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 자세, 사회정서적 유능성,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결과, 아동의 자기조절은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아동의 학교준비도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사회정서적 유능성,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을 부분매개 혹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수용태도가 통제적이고 엄격할수록 아동이 인내, 집중, 조절 등과 같은 자기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아동의 높은 자기조절 수준은 결국 아동의 단체생활, 학습활동, 사회적 유능성의 높은 수준으로 연결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기조절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부모와 교사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between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readiness. In this study, data from 273 preschool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a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with SPSS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regulation of preschoolers and school readiness. Second,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fully or partly mediated by mother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readi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the more controlled and strict mother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more improved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exemplified by patience, concentration, and control.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a high level of self-regulation among children eventually led to group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self-regulation of children and parents’ and teachers’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between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readiness. In this study, data from 273 preschoolers in kindergart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between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readiness. In this study, data from 273 preschool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a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with SPSS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regulation of preschoolers and school readiness. Second,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fully or partly mediated by mother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readi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the more controlled and strict mother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more improved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exemplified by patience, concentration, and control.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a high level of self-regulation among children eventually led to group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self-regulation of children and parents’ and teachers’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연,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가정환경(HOME)과 성격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03-111, 2002

      2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개발 및 학교준비도와 관련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 방소영,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4 방소영, "초등학교 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기자녀 부모, 학령기자녀 부모와 유아교사, 초등교사의 인식차이" 한국아동학회 34 (34): 139-160, 2013

      5 김윤수, "초등학교 1학년 학교 준비도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6 박지현, "자기조절능력 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조절 능력과 외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57-182, 2011

      7 이경님,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과 과제수행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10 (10): 125-145, 2001

      8 지성애, "유아의 초등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7-249, 2006

      9 최은아,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 및 정서적 실행기능과 자기 조절간의 관계:만 3-5세 유아의 발달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4 (34): 99-114, 2013

      10 한경원,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아의 성, 연령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0 (30): 137-153, 2009

      1 조성연,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가정환경(HOME)과 성격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03-111, 2002

      2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개발 및 학교준비도와 관련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 방소영,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4 방소영, "초등학교 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기자녀 부모, 학령기자녀 부모와 유아교사, 초등교사의 인식차이" 한국아동학회 34 (34): 139-160, 2013

      5 김윤수, "초등학교 1학년 학교 준비도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6 박지현, "자기조절능력 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조절 능력과 외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57-182, 2011

      7 이경님,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과 과제수행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10 (10): 125-145, 2001

      8 지성애, "유아의 초등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7-249, 2006

      9 최은아,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 및 정서적 실행기능과 자기 조절간의 관계:만 3-5세 유아의 발달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4 (34): 99-114, 2013

      10 한경원,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아의 성, 연령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0 (30): 137-153, 2009

      11 윤진영,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4 (14): 1-22, 2007

      12 임정진, "유아와 어머니의 개인적 배경 및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에 따른 유아의 학교준비도"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95-319, 2012

      13 정진나, "유아기 자기조절의 개념과 변화가능성에 대한 고찰" 인지발달중재학회 6 (6): 1-21, 2015

      14 강진숙, "유아 및 어머니의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인지발달중재학회 5 (5): 83-104, 2014

      15 서신옥,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한국생애학회 2 (2): 39-54, 2012

      16 김문신,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6 (6): 3-13, 2003

      17 조수정,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1 (31): 167-183, 2010

      18 박윤조,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8 (18): 27-51, 2018

      19 성미영, "양육신념, 부모협력 및 가정학습환경과 유아의 학교준비도"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21-29, 2009

      20 김은경,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1 한영민,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2 정해영,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3 Eisenberg, N.,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children's anger-related reactions" 65 (65): 109-128, 1994

      24 Connell, C. M., "The impact of childcare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on school readiness and social skills development for low-income african american children" 40 (40): 177-, 2002

      25 Denham, S. A.,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 support for school readiness: What is it and how do we assess it?" 17 (17): 57-, 2006

      26 Lewit, E. M., "School readiness" 5 (5): 128-139, 1995

      27 Denham S. A.,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74 (74): 238-, 2003

      28 Piotrkowski, C. S., "Parents’ and teachers’ beliefs about children’s school readiness in a high-need community" 15 (15): 537-, 2001

      29 Lorber, M. F., "Parenting and infant difficulty : Testing a mutual exacerbation hypothesis to predict early onset conduct problems" 82 (82): 2006-2020, 2011

      30 Wahl, K., "Parental influences on the prevalence and development of child aggressiveness" 21 (21): 344-355, 2012

      31 Ramey, S. L., "Early learning and school readiness: Can early intervention make a difference?" 50 (50): 471-, 2004

      32 Forget-Dubois N., "Early child languag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school readiness" 80 (80): 736-,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7-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지발달지원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 Mediation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 1.298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