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새 정부의 학교정책의 방향과 과제 =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5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새 정부는 ‘실용주의,’ ‘경쟁력,’ ‘효율성,’ 등과 같은 담론을 기반으로 한 정부라 할 수 있다. 2008년도 교육과학기술부 대통령 업무보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는 실질적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내용의 분석을 바탕으로 새 정부가 추구해야 할 학교정책에 대한 방향과 그에 따른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명박 정부의 학교정책 분석을 위한 도구로서는 Cooper, Fusarelli, Randall(2004)이 학교정책을 평가하는 모형으로 사용하였던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규범적 차원의 분석 결과는, 이명박 정부가 ‘실용주의,’ ‘경쟁력,’ ‘효율성,’ 등과 같은 담론을 기반으로 한 정부라고 할 수 있으나, 대선공약의 일부분인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에는 자율성과 형평성에 해당되는 항목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구조적 차원의 분석 결과는, 개인의 이익이 저절로 공공의 이익과 연결되지 못 하기 때문에, 지방교육행정기관과 학교조직에 권한을 대폭 이양하는 때에도, 여전히 공익을 목표로 하는 중앙교육행정기관의 역할은 필요하다는 것이다. 구성원 차원의 분석의 결과는, 정책의 기본 방향에서 지지를 보내고 있는 집단의 지원을 바탕으로, 정책의 반대 집단들이 지적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적극 보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기술적 차원의 분석 결과는, ‘행정가의 리더십은 장기적인 개혁 성공에 필수적이다’와 ‘업무명령(mandate)은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개혁원리들에 충실하다고 분석되었다. 그러나 ‘조직 내의 개인들이 변해야만 조직이 변한다’, ‘개혁을 촉진하는 활동은 팀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의 개혁원리들에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새 정부의 학교정책의 방향에 대해 본질적인 개혁, 지속가능한 개혁, 시민정신 교육의 강조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새 정부는 ‘실용주의,’ ‘경쟁력,’ ‘효율성,’ 등과 같은 담론을 기반으로 한 정부라 할 수 있다. 2008년도 교육과학기술부 대통령 업무보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

      새 정부는 ‘실용주의,’ ‘경쟁력,’ ‘효율성,’ 등과 같은 담론을 기반으로 한 정부라 할 수 있다. 2008년도 교육과학기술부 대통령 업무보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는 실질적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내용의 분석을 바탕으로 새 정부가 추구해야 할 학교정책에 대한 방향과 그에 따른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명박 정부의 학교정책 분석을 위한 도구로서는 Cooper, Fusarelli, Randall(2004)이 학교정책을 평가하는 모형으로 사용하였던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규범적 차원의 분석 결과는, 이명박 정부가 ‘실용주의,’ ‘경쟁력,’ ‘효율성,’ 등과 같은 담론을 기반으로 한 정부라고 할 수 있으나, 대선공약의 일부분인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에는 자율성과 형평성에 해당되는 항목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구조적 차원의 분석 결과는, 개인의 이익이 저절로 공공의 이익과 연결되지 못 하기 때문에, 지방교육행정기관과 학교조직에 권한을 대폭 이양하는 때에도, 여전히 공익을 목표로 하는 중앙교육행정기관의 역할은 필요하다는 것이다. 구성원 차원의 분석의 결과는, 정책의 기본 방향에서 지지를 보내고 있는 집단의 지원을 바탕으로, 정책의 반대 집단들이 지적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적극 보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기술적 차원의 분석 결과는, ‘행정가의 리더십은 장기적인 개혁 성공에 필수적이다’와 ‘업무명령(mandate)은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개혁원리들에 충실하다고 분석되었다. 그러나 ‘조직 내의 개인들이 변해야만 조직이 변한다’, ‘개혁을 촉진하는 활동은 팀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의 개혁원리들에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새 정부의 학교정책의 방향에 대해 본질적인 개혁, 지속가능한 개혁, 시민정신 교육의 강조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school policy in new government by analysis of high school diversification 300 project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items related to autonomy and equity in high school diversification 300 project. Second, Although new government stress local control, government's role for public interest is needed. Because the private interest is not connected to the public automatically. Third, new government should cooperate with supporting groups and solve the problems that the opposing groups point out. Fourth, high school diversification 300 project is faithful to principles of change such as 'administrator leadership is essential to long-term change success', 'mandates can work'. But this project is not faithful to principles of change such as 'an organization does not change until the individuals within it change', 'facilitating change is a team effor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s the fundamental change(such as new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school, the sustainable school change(such as building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education for citizenship to pursue public interes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school policy in new government by analysis of high school diversification 300 project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items related to 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school policy in new government by analysis of high school diversification 300 project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items related to autonomy and equity in high school diversification 300 project. Second, Although new government stress local control, government's role for public interest is needed. Because the private interest is not connected to the public automatically. Third, new government should cooperate with supporting groups and solve the problems that the opposing groups point out. Fourth, high school diversification 300 project is faithful to principles of change such as 'administrator leadership is essential to long-term change success', 'mandates can work'. But this project is not faithful to principles of change such as 'an organization does not change until the individuals within it change', 'facilitating change is a team effor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s the fundamental change(such as new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school, the sustainable school change(such as building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education for citizenship to pursue public intere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학교정책의 분석틀
      • Ⅲ. 새 정부의 학교정책 사례 분석: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 Ⅳ. 새 정부의 학교정책의 분석 결과 및 논의
      • 요약
      • Ⅰ. 서론
      • Ⅱ. 학교정책의 분석틀
      • Ⅲ. 새 정부의 학교정책 사례 분석: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 Ⅳ. 새 정부의 학교정책의 분석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영주, "평화교육 관점에서의 학교교육 개혁 방안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2004

      2 이제봉, "평등주의 교육의 한계 및 대안" 25 (25): 1-20, 2007

      3 최석태, "참여정부의 사립학교 개혁정책 분석과 대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7

      4 "참여정부 교육혁신 기본방향" 교육혁신위원회 2003

      5 신현석, "중앙교육행정기관의 책무성. 한국교육의 책무성에 대한 반성과 과제" 27-59, 2004

      6 하연섭, "제도분석" 다산출판사 2003

      7 김윤권,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14 (14): 299-329, 2005

      8 김주후,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 평가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5

      9 김경자, "새 정부 초등교육정책의 검토 및 과제" 1-20, 2008

      10 노종희, "단위학교의 행정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교육개혁 업무를 중심으로" 21 (21): 193-220, 2005

      1 허영주, "평화교육 관점에서의 학교교육 개혁 방안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2004

      2 이제봉, "평등주의 교육의 한계 및 대안" 25 (25): 1-20, 2007

      3 최석태, "참여정부의 사립학교 개혁정책 분석과 대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7

      4 "참여정부 교육혁신 기본방향" 교육혁신위원회 2003

      5 신현석, "중앙교육행정기관의 책무성. 한국교육의 책무성에 대한 반성과 과제" 27-59, 2004

      6 하연섭, "제도분석" 다산출판사 2003

      7 김윤권,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14 (14): 299-329, 2005

      8 김주후,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 평가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5

      9 김경자, "새 정부 초등교육정책의 검토 및 과제" 1-20, 2008

      10 노종희, "단위학교의 행정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교육개혁 업무를 중심으로" 21 (21): 193-220, 2005

      11 김종철,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4

      12 Stout, R., "Values: The 'what?'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The study of educational politics" Falmer Press 5-20, 1995

      13 Sabatier,Paul A.,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Westview Press 2007

      14 Denhardt,R., "Theories of Public Organization" Wadsworth Group 2008

      15 David,J., "The use of indicators by school districts:Aid or threat to improvement?" 69 : 499-503, 1988

      16 Goodson I., "Teacher Nostalgia and the Sustainability of Reform: The generation and Degeneration of Teachers' Missions, Memory, and Meaning" 42 (42): 42-61, 2006

      17 Mahoney, James, "Rethinking agency and structure in the study of regime change" 34 : 3-32, 1999

      18 Hall,G., "Implementing change:Patterns,principles,and potholes(2nd Ed.)" Allyn and Bacon 2006

      19 Hall,Peter A., "Governing the Economy:The Politics of State Intervention in Britain and Fra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20 Hargreaves A., "Educational Change Over Time? The Sustainability and Nonsustainability of Three Decades of Secondary School Change and Continuity" 42 (42): 3-41, 2006

      21 Porter, A., "Defining, developing, and using curriculum indicators. Research Report Series RR - 048"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1

      22 Marks,H.M., "Contexts of accountability under systemic reform: Implications for principal influence on instruction and supervision" 43 (43): 3-37, 2007

      23 Cooper, B.,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 Allyn & Bacon 2004

      24 교육개혁심의회, "10대 교육개혁"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