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Right to be forgotten and Privacy Protection Act of Korea: Focusing on the Leak of Private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6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의 지속적인 유출 사고와 이에 따른 2차적 피해 발생에서 제기되는 잊혀질 권리의 필요성과 함의를 고찰하고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국의 입법과정과 법률체계를 비교한 후, 현행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실상과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최근 급속히 진척되고 있는 정보 사회의 도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와 언제나 누구든 어떠한 정보에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 상의 빅데이터 환경을 만들었다. 이로 인해 공공기관과 민간 분야의 모든 영역에 걸쳐 개인정보가 대량으로 유 출되고 광범위한 전자통신망을 통해 빠르게 전파됨으로서 각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신상털기 등 여러 가지 형태의 2차적 범법행위를 초래케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잊혀질 권리를 둘러싼 논의와 더불어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잊혀질 권리와 정보삭제권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실 제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의 불법유출 실태와 신상털기로 이어지는 과정을 규명함으로 써 잊혀질 권리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끝으로 잊혀질 권리를 위한 정보삭제권에 대한 각국의 입법과정과 법률체계를 개괄한 후, 한국 의 개인정보보호법이 내포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의 지속적인 유출 사고와 이에 따른 2차적 피해 발생에서 제기되는 잊혀질 권리의 필요성과 함의를 고찰하고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국의 입법과정과 법률체계를...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의 지속적인 유출 사고와 이에 따른 2차적 피해 발생에서 제기되는 잊혀질 권리의 필요성과 함의를 고찰하고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국의 입법과정과 법률체계를 비교한 후, 현행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실상과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최근 급속히 진척되고 있는 정보 사회의 도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와 언제나 누구든 어떠한 정보에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 상의 빅데이터 환경을 만들었다. 이로 인해 공공기관과 민간 분야의 모든 영역에 걸쳐 개인정보가 대량으로 유 출되고 광범위한 전자통신망을 통해 빠르게 전파됨으로서 각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신상털기 등 여러 가지 형태의 2차적 범법행위를 초래케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잊혀질 권리를 둘러싼 논의와 더불어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잊혀질 권리와 정보삭제권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실 제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의 불법유출 실태와 신상털기로 이어지는 과정을 규명함으로 써 잊혀질 권리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끝으로 잊혀질 권리를 위한 정보삭제권에 대한 각국의 입법과정과 법률체계를 개괄한 후, 한국 의 개인정보보호법이 내포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입법 과정과 법률체계
      • Ⅳ.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입법 과정과 법률체계
      • Ⅳ.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용석, "해외정보보호법과 제도 동향" 1443 : 2010

      2 문재완, "프라이버시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인터넷 규제의 의의와 한계 -‘잊혀질 권리’ 논의를 중심으로-" (사)한국언론법학회 10 (10): 1-37, 2011

      3 최경진, "잊혀질 권리-개인정보 관점에서" 한국정보법학회 16 (16): 97-120, 2012

      4 정상기, "잊혀질 권리와 표현의 자유" 과학기술법연구원 18 (18): 193-243, 2012

      5 Mayer-Schönberger, V., "잊혀질 권리, 지식의 날개" 2011

      6 황상철,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입법동향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안을 중심으로" 법제처 2003

      7 전은정, "일본·중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도 동향" 22 (22): 90-105, 2012

      8 이재진, "인터넷상의 지속적 기사 유통으로 인한 피해의 법적 쟁점:'잊혀질 권리' 인정의 필요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2 (22): 172-212, 2008

      9 박철우, "인터넷상 지속적으로 검색되는 문제의 헌법적 해결 : 잊혀질 권리의 도출과 내용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12

      10 민윤영, "인터넷 상에서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63) : 287-316, 2011

      1 양용석, "해외정보보호법과 제도 동향" 1443 : 2010

      2 문재완, "프라이버시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인터넷 규제의 의의와 한계 -‘잊혀질 권리’ 논의를 중심으로-" (사)한국언론법학회 10 (10): 1-37, 2011

      3 최경진, "잊혀질 권리-개인정보 관점에서" 한국정보법학회 16 (16): 97-120, 2012

      4 정상기, "잊혀질 권리와 표현의 자유" 과학기술법연구원 18 (18): 193-243, 2012

      5 Mayer-Schönberger, V., "잊혀질 권리, 지식의 날개" 2011

      6 황상철,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입법동향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안을 중심으로" 법제처 2003

      7 전은정, "일본·중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도 동향" 22 (22): 90-105, 2012

      8 이재진, "인터넷상의 지속적 기사 유통으로 인한 피해의 법적 쟁점:'잊혀질 권리' 인정의 필요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2 (22): 172-212, 2008

      9 박철우, "인터넷상 지속적으로 검색되는 문제의 헌법적 해결 : 잊혀질 권리의 도출과 내용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12

      10 민윤영, "인터넷 상에서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63) : 287-316, 2011

      11 하정철, "유럽연합(EU) 정보보호법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개정안상의 잊혀질 권리와 현행 우리 법의 규율 체계 및 앞으로의 입법방향에 관한 소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87-92, 2012

      12 김재광, "영미법계 국가의 개인정보보호법제 동향 및 함의" 한국비교공법학회 6 (6): 109-153, 2005

      13 이상경, "미국의 개인정보보호 입법체계와 현황에 관한 일고"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8 (18): 195-214, 2012

      14 매경, "매경주최 제14회 세계지식포럼 기사"

      15 김성곤, "독일 연방정보보호법의 개정 동향" 한국인터넷진흥원 28 : 2010

      16 유한나,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의 발전방향 제시를 위한 국외 개인정보보호법 분석" 한국정보보호학회 22 (22): 1091-1102, 2012

      17 김기열, "공공부문에 관한 외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국내 입법의 검토 방향" 9 : 2010

      18 전은정, "각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도 분석을 통한 잊혀질 권리에 관한 연구 : 기술적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2013

      19 권혁빈, "U.S. FOIA(FREEDOM OF INFORMATION ACT) AND ACCESS TO INFORMATION AFTER 9/11 TERRORIST ATTACKS" 한국경호경비학회 (20) : 365-392, 2009

      20 Giannabaki, M., "The EU Data Protection Directive revised: New challenges and perspectives" Karageorgiou & Associates Publications 2011

      21 권혁빈, "The Conflict between People’s Rights and National Security i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 (FOIA)" 한국공안행정학회 19 (19): 9-38, 2010

      22 Feinberg, L. E., "FOIA, federal information policy and information availability in a post 9/11 world" 21 : 439-460, 2004

      23 Halchin, L. E., "Electronic government in the age of terrorism" 19 : 243-254,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