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배구동호회 참여 경험과 그 경험 속에서 드러난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와 수도권 소재의 배구동호회에 참가하는 초등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81932
2021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11-129(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배구동호회 참여 경험과 그 경험 속에서 드러난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와 수도권 소재의 배구동호회에 참가하는 초등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배구동호회 참여 경험과 그 경험 속에서 드러난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와 수도권 소재의 배구동호회에 참가하는 초등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의 동호회 활동일지, 연구 참여자들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그리고 개별 인터뷰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정기훈련과 연습경기 및 친선전을 통해 배구의 기량을 키웠다. 둘째, 배구대회에 참가하면서 목표 공유, 팀워크 형성, 집단 성취감을 경험하는 등 동호회 회원들과 하나의 팀으로 성장하였다. 셋째, 동호회 활동 과정에서 훈련 준비와 함께 정리하기 그리고 포지션 조율 및 코치와 의견을 공유하면서 갈등을 해결하였다. 교사의 배구동호회의 경험을 통한 의미는 첫째, 초등교사는 배구동호회를 통해 운동 기능과 체력을 증진하였다. 둘째, 초등교사는 배구동호회에 참여하면서 스트레스 해소, 성취감, 소속감, 책임감 등의 긍정적 정서 발달을 가져왔다. 셋째, 초등교사는 배구동호회에 참여하면서 수업 역량 강화, 정보 공유를 통해 성장을 촉진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volleyball clubs, and the significance revealed through those experiences. The researcher an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local volleyball clubs located i...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volleyball clubs, and the significance revealed through those experiences. The researcher an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local volleyball club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er s club activity log,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Spradley s (1979) domain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 volleyball club is as follows. First, they develop volleyball skills through regular training, practice games, and friendly matches. Second, while participating in the volleyball competition, a strong team spirit developed through sharing goals, forming teamwork, and experiencing a sense of group achievement. Third, due to club activities, I grew up by coordinating disagreements, resolving conflicts, and engaging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volleyball club experiences i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roved their motor skills and physical strength through playing volleyball. Secon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ed to volleyball clubs, they experienced positive emotional development, stress relief, a sense of accomplishment, a sense of belonging,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volleyball clubs promoted growth by strengthening class competencies and sharing inform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슬기, "초등학교 여교사 배구동호회 형성과 활동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2 이정택, "초등교사의 스키동호회 활동을 통한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권진호, "초등교사의 배구클럽활동 참여 동기가 조직유효성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 최승재, "초등교사의 교내 배구운동 참여태도와 조직문화, 조직풍토, 직무만족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5 이정은, "초등 여교사의 배구동아리 활동을 통한 직무 만족에 관한 탐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6 손혜빈, "초등 배구동호회 교사의 스포츠맨십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7 황영호, "청소년단체 활동 참여가 초등학교 아동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편경희, "존 듀이 습관 개념의 재조명" 한국교육철학학회 (42) : 221-237, 2008
9 고문수, "셀프스터디를 통한 테니스 동호인의 여가활동에 관한 경험과 의미" 여가문화학회 14 (14): 23-44, 2016
10 이영국, "셀프스터디를 통한 운동습관의 의미와 맥락 드러내기:Dewey의 습관개념을 토대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3 (23): 1-21, 2016
1 이슬기, "초등학교 여교사 배구동호회 형성과 활동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2 이정택, "초등교사의 스키동호회 활동을 통한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권진호, "초등교사의 배구클럽활동 참여 동기가 조직유효성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 최승재, "초등교사의 교내 배구운동 참여태도와 조직문화, 조직풍토, 직무만족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5 이정은, "초등 여교사의 배구동아리 활동을 통한 직무 만족에 관한 탐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6 손혜빈, "초등 배구동호회 교사의 스포츠맨십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7 황영호, "청소년단체 활동 참여가 초등학교 아동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편경희, "존 듀이 습관 개념의 재조명" 한국교육철학학회 (42) : 221-237, 2008
9 고문수, "셀프스터디를 통한 테니스 동호인의 여가활동에 관한 경험과 의미" 여가문화학회 14 (14): 23-44, 2016
10 이영국, "셀프스터디를 통한 운동습관의 의미와 맥락 드러내기:Dewey의 습관개념을 토대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3 (23): 1-21, 2016
11 강현호, "생활체육 배구동호회 참여자의 사회적응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성진영, "생활체육 배구동호회 참여 동기가 참여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13 이승윤, "생활체육 배구동호인의 대회 참여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4 박문수, "생활체육 배구 매니아의 대회 참가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5 장영훈, "생활체육 배구 동호인의 참여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권미화, "배구동호회에 참여한 교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7 온세진, "배구동호회 참여수준과 심리적안녕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8 김우경, "배구동호인의 참여정도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심리적 웰빙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9 Spradely, J. P., "문화기술적 면접법" 시그마프레스 2003
20 김병길, "듀이의 습관의 개념" 18 : 1-19, 2000
21 고문수, "골프 동호인의 여가활동 참여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여가문화학회 15 (15): 21-42, 2017
차별피해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지표의 책무성 탐색: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유아역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