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文敎育 硏究의 爭點 = Issues of study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3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preceding study result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ields and, through such examination, deduced points to be discuss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tudy by looking into the planned subjects of regular academic events held by Socie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ociety for Chinese Character &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or the recent 10 year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list of the planned subjects, the subjects closely related to elementary and junior and high school educational fields were mostly dealt with, focused on practical points instead of theoretical,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involv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lesson and learning. In addition to the planned subjects of the two educational societies,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results of <Collected books of study o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ublished in 2012 by Socie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issues of study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tudy which can be deduced through such results include followings: i) How to teach reading comprehension of classical Chinese, ii) What kind of dilemma classical Chinese teachers have, iii) How to teachers education, iv) How to compose a Classical Chinese textbook, etc.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preceding study result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ields and, through such examination, deduced points to be discuss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tudy by looking into the planned subjects of regular academic events he...

      This study examined preceding study result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ields and, through such examination, deduced points to be discuss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tudy by looking into the planned subjects of regular academic events held by Socie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ociety for Chinese Character &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or the recent 10 year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list of the planned subjects, the subjects closely related to elementary and junior and high school educational fields were mostly dealt with, focused on practical points instead of theoretical,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involv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lesson and learning. In addition to the planned subjects of the two educational societies,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results of <Collected books of study o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ublished in 2012 by Socie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issues of study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tudy which can be deduced through such results include followings: i) How to teach reading comprehension of classical Chinese, ii) What kind of dilemma classical Chinese teachers have, iii) How to teachers education, iv) How to compose a Classical Chinese textbook,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10여 년 간 한국한문교육학회와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에서 개최된 정기학술대회의 기획주제를 검토함으로써 한문교육 분야의 선행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문교육 연구의 쟁점 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학회에서 개최된 정기 학술대회의 기획주제 목록을 살펴보니, 주로 초·중등학교 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가 다루어지고, 이론적인 면보다는 실천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한문과 교육과정이나 한문과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가 主를 이루고 있다. 한국한문교육학회의 경우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과 교육에서의 교재, 한문과 교육현장 등을 주요 쟁점으로 삼고 있다.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의 경우 한국한문교육학회와 같이 한문과 교육과정을 다루었지만, 그에 못지 않게 초등학교 한자 교육,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한문과 수업, 한문과 평가, 한문 문법 교육 등을 주요 쟁점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한국한문교육학회에 비해 초·중등학교 현장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주제를 비교적 많이 다루고 있다. 양대 학회의 기획 주제 외에 한국한문교육학회에서 2012년에 간행한 <韓國漢文敎育學 硏究叢書>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 총서는 한문교육의 하위 연구 분야를 총 10개로 구분한 후, 지난 30년 간 나온 연구 성과를 소개한 결과이다.
      이러한 성과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한문교육 연구의 쟁점은 ⅰ)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가운데 한문 ‘독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ⅱ) 한문 교사들은 현장에서 어떤 딜레마를 갖고 있는지, ⅲ) 한문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 ⅳ) 학습자가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는 한문 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등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최근 10여 년 간 한국한문교육학회와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에서 개최된 정기학술대회의 기획주제를 검토함으로써 한문교육 분야의 선행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문교...

      이 연구는 최근 10여 년 간 한국한문교육학회와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에서 개최된 정기학술대회의 기획주제를 검토함으로써 한문교육 분야의 선행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문교육 연구의 쟁점 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학회에서 개최된 정기 학술대회의 기획주제 목록을 살펴보니, 주로 초·중등학교 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가 다루어지고, 이론적인 면보다는 실천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한문과 교육과정이나 한문과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가 主를 이루고 있다. 한국한문교육학회의 경우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과 교육에서의 교재, 한문과 교육현장 등을 주요 쟁점으로 삼고 있다.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의 경우 한국한문교육학회와 같이 한문과 교육과정을 다루었지만, 그에 못지 않게 초등학교 한자 교육,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한문과 수업, 한문과 평가, 한문 문법 교육 등을 주요 쟁점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한국한문교육학회에 비해 초·중등학교 현장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주제를 비교적 많이 다루고 있다. 양대 학회의 기획 주제 외에 한국한문교육학회에서 2012년에 간행한 <韓國漢文敎育學 硏究叢書>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 총서는 한문교육의 하위 연구 분야를 총 10개로 구분한 후, 지난 30년 간 나온 연구 성과를 소개한 결과이다.
      이러한 성과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한문교육 연구의 쟁점은 ⅰ)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가운데 한문 ‘독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ⅱ) 한문 교사들은 현장에서 어떤 딜레마를 갖고 있는지, ⅲ) 한문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 ⅳ) 학습자가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는 한문 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등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제10~제32집"

      2 이동재, "한자 어휘 교육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3 김왕규,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序說-한문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9) : 215-257, 2003

      4 김왕규, "한문교육학의 성격에 대한 몇 가지 쟁점" 한국한문교육학회 29 (29): 239-263, 2007

      5 김왕규,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 보고사 2012

      6 한국한문교육학회, "한문교육연구 제20호~제41호"

      7 신영주, "한문교육사" 보고사 2012

      8 장호성, "한문과 평가론" 보고사 2012

      9 백광호, "한문과 수업의 독해 양상에 관한 관찰 연구" 고려대학교 2008

      10 백광호, "한문과 수업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1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자한문교육 제10~제32집"

      2 이동재, "한자 어휘 교육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3 김왕규,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序說-한문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9) : 215-257, 2003

      4 김왕규, "한문교육학의 성격에 대한 몇 가지 쟁점" 한국한문교육학회 29 (29): 239-263, 2007

      5 김왕규,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 보고사 2012

      6 한국한문교육학회, "한문교육연구 제20호~제41호"

      7 신영주, "한문교육사" 보고사 2012

      8 장호성, "한문과 평가론" 보고사 2012

      9 백광호, "한문과 수업의 독해 양상에 관한 관찰 연구" 고려대학교 2008

      10 백광호, "한문과 수업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11 임완혁, "한문과 문학교육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12 김성중, "한문과 문법론" 보고사 2012

      13 정재철, "한문과 교재론" 보고사 2012

      14 윤재민, "한문과 교육과정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15 송병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16 존 홀트, "아이들은 왜 실패하는가-교실과 아이들의 내면에 관한 미시사적 관찰기" 아침이슬 44-,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