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와 작업기억의 특성 분석 : 정안 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40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compared to sighted children. In this study, 29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special schools for the blind and 33 sighted students in regular elementary school were assessed their read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ades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However,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low vision and sighted children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visuo-spatial sketchpad. Secondly, the working memory predicted unique vari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after vocabulary has been taken into account in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children. Particularly, central executive and phonological loop for children with blindness, visuo-spatial sketchpad for children with low-vision, and central executive and visuo-sketchpad for sighted children predicted unique variance in fact comprehension. In addition, central executive predicted unique variance precited unique variance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for all groups. And visuo-spatial for children with blindness and phonological loop for children with low vision predicted unique variance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compared to sighted children. In this study, 29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special schools for the b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compared to sighted children. In this study, 29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special schools for the blind and 33 sighted students in regular elementary school were assessed their read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ades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However,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low vision and sighted children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visuo-spatial sketchpad. Secondly, the working memory predicted unique vari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after vocabulary has been taken into account in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children. Particularly, central executive and phonological loop for children with blindness, visuo-spatial sketchpad for children with low-vision, and central executive and visuo-sketchpad for sighted children predicted unique variance in fact comprehension. In addition, central executive predicted unique variance precited unique variance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for all groups. And visuo-spatial for children with blindness and phonological loop for children with low vision predicted unique variance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장애 아동과 정안 아동의 읽기 이해력, 작업기억, 그리고 어휘력의 성취 수준을 비교하고, 읽기 이해를 작업기억이 독립적으로 설명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시각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에 있어 작업기억의 영향력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 시각장애 아동 29명 및 정안아동 33명을 대상으로, 읽기 이해력 검사, 어휘력 검사, 그리고 작업기억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시각장애 및 정안 아동 간의 학년의 증가에 따른 읽기 이해, 작업기억 및 어휘력에서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저시력 아동은 정안 아동보다 추론적 이해와 시공간잡기장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이 나타났다. 둘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각각에 있어 정안 아동과 시각장애 아동 모두에서 어휘력을 고려하고도 작업기억이 독립적으로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각장애아의 읽기 특성을 논하고, 향후 교육적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시각장애 아동과 정안 아동의 읽기 이해력, 작업기억, 그리고 어휘력의 성취 수준을 비교하고, 읽기 이해를 작업기억이 독립적으로 설명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시각장애 아동의 ...

      본 연구는 시각장애 아동과 정안 아동의 읽기 이해력, 작업기억, 그리고 어휘력의 성취 수준을 비교하고, 읽기 이해를 작업기억이 독립적으로 설명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시각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에 있어 작업기억의 영향력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 시각장애 아동 29명 및 정안아동 33명을 대상으로, 읽기 이해력 검사, 어휘력 검사, 그리고 작업기억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시각장애 및 정안 아동 간의 학년의 증가에 따른 읽기 이해, 작업기억 및 어휘력에서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저시력 아동은 정안 아동보다 추론적 이해와 시공간잡기장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이 나타났다. 둘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각각에 있어 정안 아동과 시각장애 아동 모두에서 어휘력을 고려하고도 작업기억이 독립적으로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각장애아의 읽기 특성을 논하고, 향후 교육적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종용,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2 최영은, "한글 읽기에서 시각 폭 크기와 읽기 능력 발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275-293, 2015

      3 안성우,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89-312, 2011

      4 도경수, "텍스트 유형과 작업기억이 읽기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 아동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17 (17): 191-206, 2006

      5 정용석, "최근 작업기억 모형에 관한 연구: 한글 읽기장애아동에의 시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1-21, 2007

      6 김애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에 대한 예측 변인 종단 연구: 20개월 간 추적 검사를 통하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8 (18): 258-268, 2013

      7 김애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357-380, 2010

      8 김애화, "초등학교 고학년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1-25, 2008

      9 정미란,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학생의 읽기이해력 예측변인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79-103, 2013

      10 황민아, "초등학교 2, 4 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성 작업기억: 비단어 따라말하기, 문장 따라말하기 및 읽기폭 검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3 (13): 19-47, 2016

      1 송종용,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2 최영은, "한글 읽기에서 시각 폭 크기와 읽기 능력 발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275-293, 2015

      3 안성우,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89-312, 2011

      4 도경수, "텍스트 유형과 작업기억이 읽기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 아동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17 (17): 191-206, 2006

      5 정용석, "최근 작업기억 모형에 관한 연구: 한글 읽기장애아동에의 시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1-21, 2007

      6 김애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에 대한 예측 변인 종단 연구: 20개월 간 추적 검사를 통하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8 (18): 258-268, 2013

      7 김애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357-380, 2010

      8 김애화, "초등학교 고학년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1-25, 2008

      9 정미란,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학생의 읽기이해력 예측변인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79-103, 2013

      10 황민아, "초등학교 2, 4 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성 작업기억: 비단어 따라말하기, 문장 따라말하기 및 읽기폭 검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3 (13): 19-47, 2016

      11 이태화, "정신지체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12 송예리, "정상시력과 저시력 읽기에서 맥락효과" 한국인지과학회 21 (21): 339-357, 2010

      13 이윤형, "작업기억의 개인차와 문장의 이해"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825-836, 2012

      14 김우리, "작업기억과 학습의 관계: 장애(위험군)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억 연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91-117, 2015

      15 최나야, "자모 지식, 음운론적 인식 및 처리능력이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6 김희수, "읽기학습에서 개념도 제시, 작동기억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읽기성취에 미치는 효과" 27 : 37-62, 2004

      17 김경선,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읽기이해력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07-225, 2013

      18 황민아,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문장 따라말하기 및 비단어 따라말하기 검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53-72, 2014

      19 신종호, "읽기이해과정을 구성하는 하위인지능력에 대한 개인차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97-218, 2004

      20 고선희, "읽기 폭 과제로 측정한 정상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 (14): 303-312, 2009

      21 이윤형, "읽기 폭 과제로 측정된 작업기억 용량과 추론 능력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2535-2547, 2011

      22 김동일, "읽기 저성취 초등학생의 언어 지식과 독해력과의 관계"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27-45, 2010

      23 이한규, "읽기 관련 작업기억 분석" 한국인지과학회 22 (22): 193-215, 2011

      24 강종구, "시각장애연구에 관한 최근 경향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7 (27): 103-133, 2011

      25 이해성, "시각장애 아동의 작업기억과 점자읽기 발달과의 관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31-349, 2015

      26 이순아, "메타인지와 작동기억이 읽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27 이기숙, "만 5세 읽기능력, 어휘력 및 개인·환경 변인에 따른초등학교 3학년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63-384, 2013

      28 이기숙, "만 5세 유아의 읽기능력, 어휘력과 개인․환경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2 (32): 123-139, 2011

      29 노명완, "독서교육의 이해: 독서의 개념 지도 평가" 한우리북스 2011

      30 김동일, "다층메타분석을 활용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한 중재효과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21-145, 2015

      31 김희수, "계열적 텍스트 학습에서 사전지식, 작동기억 및 텍스트유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7 (7): 5-31, 2001

      32 Beal, C., "Working memory and math problem solving by bli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for universal access" AACE 5011-5016, 2008

      33 Baddely, A., "Working mem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34 Swanson, H. L., "The role of working memory in skilled and less skilled readers' comprehension" 21 (21): 83-108, 1995

      35 Sesma, H., "The contribution of executive skills to reading comprehension" 15 : 232-246, 2009

      36 Swanson, H. L.,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Do both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academic achievement in children and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7 (27): 34-50, 1994

      37 Swanson, H. L.,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blindness : Support for a domain general or domain specific system?" 15 (15): 280-294, 2009

      38 Baddeley, A., "Recent advances in learning and motivation" Academic Press 47-90, 1974

      39 Gathercole, S. E., "Nonword repetition and word learning :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27 (27): 513-, 2006

      40 Steinman B, "Developmental stages of reading processes in children who are blind and sighted" (6) : 36-46, 2006

      41 Swanson, H. L., "Cross-sectional and incremental changes in working memory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98 (98): 265-, 2006

      42 Nevo, E., "Assessment of working memory components at 6years of age as predictors of reading achievements a year later" 109 (109): 73-90, 2011

      43 Tadić, V., "Are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intact in children with congenital visual impairment at school age?" 51 (51): 696-70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