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 부름말의 유형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Korean summons i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function words for referring’, combining with ‘modal expressions’ and its types are determined by ‘referring function words’. As for Korean summons, the function words for referrin...

      A Korean summons i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function words for referring’, combining with ‘modal expressions’ and its types are determined by ‘referring function words’.
      As for Korean summons, the function words for referring can be distinguished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norm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norms which determine the types of summons can be considered semantic features of Korean summons. The semantic features are therefore affe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the existence of the function word for referring, the speaker’s awareness of the person being addresse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and the involvement of a sense of belonging, as shown in 〈Fig. 1〉.
      In addition, Korean summons can be divided into the eight types: ‘common noun,’ ‘kinship term,’ ‘title term,’ ‘proper noun,’ ‘semi-proper noun,’ ‘indirect referent,’ ‘request,’ and ‘attention’ according to the sematic features embedded in those summons. Types of these summons are encaptulsated in 〈Table 2〉.
      In modern Korean language, the summon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due to the changes of social norms which affect the construction of summons. The changing patterns are observed as follows: First, the border between an acquaintance and a stranger is blurred. The use of ‘common noun’ summons used for a conversation with strangers is replaced by the ‘kinship term’ or ‘title term’ summons. Secondly, the distinction between young and old is reduced to the disappearance of ‘semi-proper noun’ or the changing usage of ‘indirect referents’. Thirdly, the mark of hierarchy between the speakers shows variations. Finally, the frequency of using ‘attention summons’ is gradually increas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머리
      • 2. 부름말의 유형 연구의 실상
      • 3. 부름말의 구조적 특성
      • 4. 부름말 유형의 체계
      • 5. 부름말의 변화
      • 1. 들머리
      • 2. 부름말의 유형 연구의 실상
      • 3. 부름말의 구조적 특성
      • 4. 부름말 유형의 체계
      • 5. 부름말의 변화
      • 6. 마무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희숙, "호칭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1-24, 2002

      2 고성환, "호격 구성의 기능과 화용적 특성 및 연결 제약" 한국어의미학회 18 : 217-242, 2005

      3 양영희, "호‧지칭어 형성 형태소 ‘님, 씨’의 기능 변별을 위한 시론―통시적 관점에서―" 한글학회 (297) : 133-160, 2012

      4 손춘섭,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95-129, 2010

      5 방운규, "현대 국어 부름말 연구" 한말연구학회 4-29, 1995

      6 전혜영, "한국어 호칭어의 교육 내용과 과제"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창간) : 121-135, 2005

      7 박정운, "한국어 호칭어 체계" 사회언어학회 5 (5): 507-527, 1997

      8 황병순, "한국어 문장 문법" 한국문화사 2004

      9 안주호, "한국어 담화 표지 분석" 연세대 한국어학당 17 : 21-38, 1992

      10 강소산, "한국어 교육에서 호칭어, 지칭어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95) : 363-389, 2013

      1 강희숙, "호칭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1-24, 2002

      2 고성환, "호격 구성의 기능과 화용적 특성 및 연결 제약" 한국어의미학회 18 : 217-242, 2005

      3 양영희, "호‧지칭어 형성 형태소 ‘님, 씨’의 기능 변별을 위한 시론―통시적 관점에서―" 한글학회 (297) : 133-160, 2012

      4 손춘섭,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95-129, 2010

      5 방운규, "현대 국어 부름말 연구" 한말연구학회 4-29, 1995

      6 전혜영, "한국어 호칭어의 교육 내용과 과제"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창간) : 121-135, 2005

      7 박정운, "한국어 호칭어 체계" 사회언어학회 5 (5): 507-527, 1997

      8 황병순, "한국어 문장 문법" 한국문화사 2004

      9 안주호, "한국어 담화 표지 분석" 연세대 한국어학당 17 : 21-38, 1992

      10 강소산, "한국어 교육에서 호칭어, 지칭어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95) : 363-389, 2013

      11 왕한석,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2005

      12 려증동, "한국 가정언어" 삼일당 1984

      13 황병순, "입말에 담긴 부름말 ‘어이’의 문법화" 언어과학회 (70) : 487-510, 2014

      14 조선일보사, "우리말의 예절(상ㆍ하)" 조선일보사 1996

      15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71

      16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2000

      17 김해영, "담화 문맥에서 지칭어와 호칭어의 사용" 29-39, 2013

      18 이필영, "국어학 신연구" 탑출판사 521-533, 1986

      19 박갑수, "국어 호칭어의 실상과 대책" 국어연구소 19 : 10-32, 1989

      20 유동석, "국어 상대높임법과 호격어의 상관성에 대하여" 6 : 61-72, 1990

      21 황병순, "국어 부름말의 특성과 문법 범주" 한국어문학회 (133) : 89-115, 2016

      22 김태엽, "국어 부름말의 문법" 우리말글학회 29 : 107-127, 2003

      23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24 이선화, "공공 상황에서의 한국어 호칭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강우원, "경남 방언의 부름말 실현 양상과 문화적 특성" 한국언어과학회 15 (15): 1-20, 2008

      26 황병순, "감탄사의 문법 범주에 대하여" 한글학회 (308) : 121-157,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