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 배려행동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needs for caring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20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ring behavior and teachers' demands for caring behavio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on caring behavior was conducted on 526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Incheon areas. The results of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t-test, Borich'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recognition of importance was high in all five sub-domains of caring behavior, but the level of execution was low.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caring behavior, teachers thought that the three items of caring behavior in the areas of understanding and support, reflection and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eachers' ability to perform caring behaviors are discussed and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ring behavior and teachers' demands for caring behavio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on caring behavior was conducted on 526 k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ring behavior and teachers' demands for caring behavio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on caring behavior was conducted on 526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Incheon areas. The results of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t-test, Borich'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recognition of importance was high in all five sub-domains of caring behavior, but the level of execution was low.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caring behavior, teachers thought that the three items of caring behavior in the areas of understanding and support, reflection and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eachers' ability to perform caring behaviors are discussed and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배려행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실행 수준을 분석하여, 배려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526명을 대상으로 배려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배려행동의 5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중요도에 대한 인식 정도는 높았으나 실행도는 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인식과 실행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영역별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들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배려행동은 이해 및 지원과 성찰 및 개선 영역에 속하는 내용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 교사의 배려행동 수행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배려행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실행 수준을 분석하여, 배려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배려행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실행 수준을 분석하여, 배려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526명을 대상으로 배려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배려행동의 5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중요도에 대한 인식 정도는 높았으나 실행도는 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인식과 실행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영역별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들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배려행동은 이해 및 지원과 성찰 및 개선 영역에 속하는 내용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 교사의 배려행동 수행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oddings, N., "현대교육철학의 다양한 흐름 I" 학지사 311-339, 2009

      2 정계숙 ; 견주연,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연구: 소통과 단절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41-168, 2011

      3 염지숙,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7-171, 2005

      4 정선아 ; 조대연,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99-321, 2013

      5 임정란 ; 정효진 ; 배지희, "유아 배려행동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경험과 배려교육을 위한 제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79-108, 2019

      6 윤성운 ; 성은영, "유아 배려교육의 개념 및 실제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51-374, 2012

      7 문연심 ; 박영숙, "유아 배려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6년~2018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보육지원학회 14 (14): 219-239, 2018

      8 박영신 ; 이효림, "예비 유아교사의 학년별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43-366, 2016

      9 나은숙 ; 오한나 ; 임윤수, "어린이집교사의 보살핌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학회 9 (9): 119-138, 2009

      10 김미경,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 Noddings, N., "현대교육철학의 다양한 흐름 I" 학지사 311-339, 2009

      2 정계숙 ; 견주연,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연구: 소통과 단절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41-168, 2011

      3 염지숙,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7-171, 2005

      4 정선아 ; 조대연,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99-321, 2013

      5 임정란 ; 정효진 ; 배지희, "유아 배려행동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경험과 배려교육을 위한 제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79-108, 2019

      6 윤성운 ; 성은영, "유아 배려교육의 개념 및 실제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51-374, 2012

      7 문연심 ; 박영숙, "유아 배려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6년~2018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보육지원학회 14 (14): 219-239, 2018

      8 박영신 ; 이효림, "예비 유아교사의 학년별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43-366, 2016

      9 나은숙 ; 오한나 ; 임윤수, "어린이집교사의 보살핌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학회 9 (9): 119-138, 2009

      10 김미경,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1 박소연,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평가 요구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1-20, 2009

      12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13 양옥승,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47-262, 2004

      14 김수동 ; 안재진 ; 이정연, "배려척도 문항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81-104, 2014

      15 Noddings, N, "배려와 도덕교육" 교육과학사 2018

      16 박은주, "돌봄의 관점에서 살펴본 보육교사의 윤리적 딜레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45-74, 2009

      17 손난희, "돌봄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의 전문성 탐색"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8 이효정 ; 김정주, "돌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천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291-316, 2007

      19 Gilligan, C, "담대한 목소리" 생각정원 2018

      20 Gilligan, C, "다른 목소리로" 동녘 1997

      21 이병승, "교육에 관한 철학적 담론" 원미사 2006

      22 남명자, "교사 전문성 맥락에서 본 유아교사의 ‘의미‘­장애유아통합어린이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01-232, 2006

      23 장경은 ; 송승희, "관계중심의 유아 인성교육 : 유아교사들의 배려행동 실천 경험과 의미"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157-184, 2016

      24 윤은주, "‘정’을 위한 교육: 페미니즘적 유아교육의 한 방향" 21 (21): 189-200, 2002

      25 Aubrey, K., "Understanding and using challenging educational theories" SAGE publications Ltd 2017

      26 이명신, "Nel Noddings의 배려교육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27 Han,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eschool teachers’ caring behaviour questionnaire and its internal mechanism with work performance" 9 : 484-508, 2021

      28 유영의 ; 이미선 ; 송미정 ; 장은정, "Borich 공식을 통해 살펴 본 유아의 놀이권리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31-156, 2018

      29 Borich, G. D.,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31 (31): 39-42,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연구소 ->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