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수연, "황지우 시에 나타난 환유적 구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16 : 2005
2 황지우, "황지우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5
3 김동윤, "현길언 소설의 제주설화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언어문화학회 (31) : 185-210, 2006
4 이효인, "한국영화사의 사건, 장선우" 한겨레신문사 2008
5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연구소,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6 정순일⋅장한성, "한국 TV 40년의 발자취" 한울 아카데미 2000
7 "한겨레"
8 최영묵, "텔레비전 화면깨기" 한울 아카데미
9 장세진, "텔레비전 문화시대의 비평" 신아출판사 1991
10 조선희, "클래식 중독" 마음산책 2009
1 오수연, "황지우 시에 나타난 환유적 구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16 : 2005
2 황지우, "황지우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5
3 김동윤, "현길언 소설의 제주설화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언어문화학회 (31) : 185-210, 2006
4 이효인, "한국영화사의 사건, 장선우" 한겨레신문사 2008
5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연구소,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6 정순일⋅장한성, "한국 TV 40년의 발자취" 한울 아카데미 2000
7 "한겨레"
8 최영묵, "텔레비전 화면깨기" 한울 아카데미
9 장세진, "텔레비전 문화시대의 비평" 신아출판사 1991
10 조선희, "클래식 중독" 마음산책 2009
11 역사문제연구소, "제주4. 3연구" 역사비평사 1999
12 박유희, "장선우의 외설 논란 영화를 통해 본 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동향" 한국드라마학회 (48) : 225-254, 2016
13 김수남, "장선우의 열린 시대정신 탐구"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1 : 503-530, 2003
14 박인철, "자유의 현상학적 이념 : 아렌트와 레비나스의 자유 개념 비교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71) : 219-242, 2005
15 류철균, "유황불의 경험과 리얼리즘의 깊이: 양귀자론" 문학과지성사 1 (1): 1142-1159, 1988
16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쓰다 2012
17 김원일, "오늘 부는 바람, 연 외" 강 2013
18 김원일, "오늘 부는 바람, 연 외" 강 2013
19 김형석, "영화감독 장선우: 변화를 꿈꾸었던 한국영화의 전위"
20 이연호, "영화감독 장선우(해설), 우묵배미의 사랑"
21 장선우, "성공시대" 학민사 1987
22 김성희, "방송드라마 창작 실기론" 연극과인간 2001
23 문화방송 30년사 편찬위원회, "문화방송 30년사" 문화방송 1992
24 김석희, "땅울림" 실천문학사 10 : 142-196, 1988
25 "동아일보"
26 장선우, "남한강" 학민사 1991
27 황지우, "나는 너다" 풀빛 1987
28 윤철호, "끝없는 변신, <꽃잎>의 감독 장선우" 사회평론 96 (96): 46-55, 1996
29 현길언, "껍질과 속살" 나남 1993
30 오생근, "껍질과 속살" 나남 1993
31 권오룡, "김원일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2002
32 "경향신문"
33 홍재범, "각색의 기술" 연극과인간 2014
34 "MBC베스트셀러극장 <가을행>, <어디만치 왔나>, <원미동 시인>, <소나기>, <여> 영상본"
35 조보라미, "MBC 베스트셀러극장 <소나기> 각색 연구: 한국사의 아픔에 대한 애도와 치유"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1 : 125-156, 2018
36 "MBC 베스트셀러극장 200회 편람" MBC 1988
37 이수현, "<꽃잎>에 나타난 영상미학과 각색의 원리" 문학과영상학회 10 (10): 167-190, 2009
38 김용언, "90년대 최고의 ‘문제적 감독’을 돌아본다" 한겨레신문사 770 : 2010
39 정종현, "4․3과 제주도 로컬리티 - 현길언과 현기영의 4․3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58) : 35-71, 2015
40 김동윤, "4·3의 기억과 소설적 재현의 방식" 5.18연구소 5 (5): 181-203, 2005
41 박유희, "1980년대 문예드라마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57) : 106-149, 2017
42 김소연,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이행기적 성찰성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