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부와 모의 통제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자율성의 매개적 역할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control and children`s autonomy on self-esteem, using a sample of 415 school-age children (208 boys and 207 girls) recruited in Seoul.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s revealed a variety of gender-based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Boys with high maternal behavioral control had high levels of self-esteem, whereas girls under low paternal psychological and high behavioral control repor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Boys with high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girls with high paternal behavioral control also reported high levels of autonomy. Autonomy was found to exert a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for both boy and girls. Autonom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self-esteem for boys, and between p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self-esteem for gir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differential influences of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on autonomy and self-esteem, as well as the relative impact of the opposite sex parent on the development of autonomy and self-esteem in late childhoo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control and children`s autonomy on self-esteem, using a sample of 415 school-age children (208 boys and 207 girls) recruited in Seoul.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s revealed a variety of gender-based di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control and children`s autonomy on self-esteem, using a sample of 415 school-age children (208 boys and 207 girls) recruited in Seoul.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s revealed a variety of gender-based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Boys with high maternal behavioral control had high levels of self-esteem, whereas girls under low paternal psychological and high behavioral control repor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Boys with high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girls with high paternal behavioral control also reported high levels of autonomy. Autonomy was found to exert a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for both boy and girls. Autonom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self-esteem for boys, and between p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self-esteem for gir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differential influences of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on autonomy and self-esteem, as well as the relative impact of the opposite sex parent on the development of autonomy and self-esteem in late childho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회욱, "초?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443-458, 2003

      2 김희화, "초기 청소년의 정서적 자율성과 심리적 복지감 및 비행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감독의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2 (12): 151-168, 2005

      3 김은정, "초기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가정 내 사회자본의 역할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18 (18): 33-61, 2006

      4 소미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수희, "청소년의 성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101-113, 2009

      6 김희화,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인터넷 비행에 대한 모감독과 심리적 통제의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33-153, 2003

      7 이미리, "청소년 초기 자아존중감 발달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맥락변인들의 관계: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 청소년 패널 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Ⅱ"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8 주인자,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9 장휘숙, "청년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분리-개별화 및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5 (15): 101-121, 2002

      10 김희화, "청년 초기의 자율성과 적응 간의 관계 및 부모의 애정적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55-175, 2009

      1 정회욱, "초?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443-458, 2003

      2 김희화, "초기 청소년의 정서적 자율성과 심리적 복지감 및 비행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감독의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2 (12): 151-168, 2005

      3 김은정, "초기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가정 내 사회자본의 역할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18 (18): 33-61, 2006

      4 소미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수희, "청소년의 성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101-113, 2009

      6 김희화,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인터넷 비행에 대한 모감독과 심리적 통제의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33-153, 2003

      7 이미리, "청소년 초기 자아존중감 발달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맥락변인들의 관계: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 청소년 패널 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Ⅱ"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8 주인자,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9 장휘숙, "청년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분리-개별화 및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5 (15): 101-121, 2002

      10 김희화, "청년 초기의 자율성과 적응 간의 관계 및 부모의 애정적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55-175, 2009

      11 장경문,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가 남녀 초등학생의 자존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43-261, 2011

      12 안도희, "자율성 지지, 기본적 욕구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5 (15): 315-338, 2008

      13 김지현,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의 매개적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217-232, 2011

      14 윤지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모-자녀간 갈등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237-251, 2004

      15 이 숙, "어머니의 애착과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3 (3): 64-72, 2000

      16 이지인, "어머니의 애착경험 및 심리적 통제행동과 어머니에 대한 청소년의 애착이 청소년의 심리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9 (29): 175-189, 2008

      17 전숙영,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서적 자율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대한가정학회 45 (45): 101-111, 2007

      18 박영애,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연구" 17 (17): 181-212, 1996

      19 정윤주,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아동의 성과 또래수용도의 중재효과에 대한 탐색-" 한국아동학회 25 (25): 205-224, 2004

      20 장경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내외향적 성격특성에 따른 자기결정성 및 학업성적의 차이"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65-180, 2007

      21 김용희, "아동의 부모 분리개별화와 애착이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07-124, 2009

      22 박성연, "부모의 심리적 통제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9 (29): 65-78, 2008

      23 임지영, "부모의 권위감과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미국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115-1124, 2008

      24 김연희,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5 조주연, "부모간 갈등, 어머니의 지지 및 통제와 또래관계의 질이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아동학회 32 (32): 15-34, 2011

      26 장윤옥,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42 : 145-166, 1998

      27 홍성흔, "모-자녀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성취동기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0 (40): 145-157, 2002

      28 정윤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부모 이외 애착대상의 수용-거부, 행동통제와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947-959, 2005

      29 Barber, B. K., "Violating the self: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Intrusive parent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52, 2002

      30 Gray, M. R., "Unpacking author- itative parenting:Reassess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61 (61): 574-587, 1999

      31 Garber, J.,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nd adolescent depres- sion:Self-worth as a mediator" 12 (12): 12-33, 1997

      32 Bekker, M. H. J, "The movable boundaries of the female ego" Eburon Academic Publishers 1991

      33 Baron, R. M.,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 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 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4 Baumrind, D,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use" 11 (11): 56-95, 1991

      35 Bean, R. A., "The impact of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of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ado- lescents" 18 (18): 523-541, 2003

      36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7 Maccoby, E. M,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Parent-child interaction,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 opment" John Wiley & Sons 1-101, 1983

      38 Halpern, D. F, "Sex differences in intelligence:Implications for education" 52 (52): 1091-1102, 1997

      39 Owen, T. J., "Self-determination as a source of self-esteem in Adolescence" 74 (74): 1377-1404, 1996

      40 Coley, R. L, "Relations of parental supervision and monitoring to children's functioning in various contexts:Moderating effects of families and neighborhoods" 17 (17): 51-68, 1996

      41 Silk, J. S., "Psychological control and autonomy granting:Opposite ends of a continuum or distinct constructs" 13 (13): 113-128, 2003

      42 Litovsky, V. G, "Perceptions of child rearing and self-concept development during the early adolescent years" 14 (14): 373-388, 1985

      43 Rohner, R. P.,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among Korean adolescents" 56 (56): 524-528, 1985

      44 Dekovic, M., "Peer relations in adolescence:Effects of parenting and adoles- cents' self-concept" 20 (20): 163-176, 1997

      45 Barber, B. K,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Assessing relevance across time, culture, and meth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70 (4), Serial No. 282"

      46 Barber, B. K,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67 (67): 3296-3319, 1996

      47 Bean, R. A.,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sychological autonomy, and acceptance as predictors of self-esteem in Latino adolescents" 30 (30): 1486-1504, 2009

      48 Steinberg, L, "Parental monitoring and peer influences on adolescent substance use" 93 (93): 1060-1064, 1994

      49 Gecas, V., "Parental behavior and adolescent self-esteem" 48 (48): 37-46, 1986

      50 McCormick, C. B., "Parent- child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23 (23): 1-18, 1994

      51 Steinberg, L, "Negative correlates of part-time employment during adoles-cence:Replication and elaboration.Develop-mental" 27 (27): 304-313, 1991

      52 Berry, W. D, "Multiple regression in practice: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1985

      53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 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Mothers' and fathers' support for child autonomy and early school achievement" 44 (44): 895-907, 2008

      54 Smetana, J. G, "Longitudinal development of decision making:Defining healthy behavioral autonomy for middle-class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75 (75): 1418-1434, 2004

      55 Allen, J. P., "Longitudinal assesment of autonomy and relatedness in adolescent-famil interactions as predictors of adolescent ego development and self-esteem" 65 (65): 179-194, 1994

      56 Steinberg, L, "Interdependency in the family: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At the threshold:The developing adolesc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57 Henker, B., "Hyperactivity and attention deficits" 44 (44): 216-223, 1989

      58 Barber, B. K., "Family cohesion and enmeshment:different constructs, different effects" 58 (58): 433-441, 1996

      59 Beyers, W., "Emotional auton- omy, psychosocial adjustment and parenting:interactions,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22 (22): 753-769, 1999

      60 Harter, S,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self-esteem,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John Wiley & Sons 275-385, 1983

      61 Stipek, D. J., "Developmental change in children's assessment of intellectual competence" 60 (60): 521-538, 1989

      62 Grolnick, W. S., "Contextual, cognitive, and adolescent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ing in adolescence" 25 (25): 33-54, 1996

      63 Soenens, B., "Conceptualizing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 perceptions of promotion of independence versus promotion of volitional functioning" AMER PSYCHOLOGICAL ASSOC/EDUCATIONAL PUBLISHING FOUNDATION 43 (43): 633-646, 2007

      64 Noom, J. N., "Autonomy, attach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during adolescence:A double-edged sword" 22 (22): 771-783, 1999

      65 Barber, B. K.,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 control and you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65 (65): 1120-1136, 1994

      66 Soenens, B., "Antecedents and outcomes of self-determination in 3 life domains:The role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34 (34): 589-604, 2005

      67 Pettit, G. S., "Antecedents and behavior-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 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 lescence" 72 (72): 583-58, 2001

      68 Barber, B. K., "Adolescent problem behaviors:A sociological analysis.Family" 26 (26): 493-515, 1992

      69 Richards, M. H, "Adolescent personality in girls and boys:The role of mothers and fathers" 15 (15): 65-81, 1991

      70 Plunkett, S. W., "Adolescent perceptions of parental behaviors, adolescent self- esteem, and adolescent depressed mood" 16 (16): 760-772, 2007

      71 Noom, J. N, "Adolescent autonomy:Characteristics and correlates" Eburon Academic Publishers 1999

      72 Block, J., "A longitudinal study of consistency and change in self-esteem from early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64 (64): 909-923,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1.77 2.21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