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전반기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의 학술문화운동 =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of Marxists of the first half of the 1930’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1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the best university during the colonial days, were under the academic influence of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they were dealt with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academics, or as they were involved in the organized movement like the Joseon Communist Party Reconstruction Movement since the mid-1930’s, they received atten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 But rather this paper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movement, which they were involved in at that time, was an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with the intention of contributing to all movements through academics while retaining their identity as researchers.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of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was deployed in three stages. First, they formed a theory research organization on campus, i.e. the Economic Research Society, and they were exposed to the methodology of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in Japan in 1929. Second, they participated in Shinheung, in which the pioneer class of the Department of Law and Literature played a pivotal role, and published Joseon Science in an effort to subjectivate the working class, and make theoretical progress. Lastly, they organized the Joseon Society Research Institute, and collected and provided data, and analyzed the political situation for the scientification of social movements.
      Unlike the ‘Scientific Joseon Studies’ which intended to create practical academics in Joseon, among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s which captivated the then Marxists, it was more of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which pursued academic practice. As the Joseon Society Research Institute disintegrated under Japanese oppression, however, their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could hardly make any public advance. Also, as they had to think about their career as researcher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had to choose between construction of academics in Joseon and the clandestine Kulturkampf combined with the Joseon Communist Party Reconstruction Movement.
      번역하기

      As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the best university during the colonial days, were under the academic influence of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they were dealt with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As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the best university during the colonial days, were under the academic influence of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they were dealt with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academics, or as they were involved in the organized movement like the Joseon Communist Party Reconstruction Movement since the mid-1930’s, they received atten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 But rather this paper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movement, which they were involved in at that time, was an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with the intention of contributing to all movements through academics while retaining their identity as researchers.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of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was deployed in three stages. First, they formed a theory research organization on campus, i.e. the Economic Research Society, and they were exposed to the methodology of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in Japan in 1929. Second, they participated in Shinheung, in which the pioneer class of the Department of Law and Literature played a pivotal role, and published Joseon Science in an effort to subjectivate the working class, and make theoretical progress. Lastly, they organized the Joseon Society Research Institute, and collected and provided data, and analyzed the political situation for the scientification of social movements.
      Unlike the ‘Scientific Joseon Studies’ which intended to create practical academics in Joseon, among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s which captivated the then Marxists, it was more of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which pursued academic practice. As the Joseon Society Research Institute disintegrated under Japanese oppression, however, their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could hardly make any public advance. Also, as they had to think about their career as researcher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had to choose between construction of academics in Joseon and the clandestine Kulturkampf combined with the Joseon Communist Party Reconstruction M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식민지 ‘최고학부’의 졸업자였던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는 경성제대의 학문적 영향권 아래 있던 인물들이기 때문에 학문형성사의 관점에서 다뤄지거나, 또는 1930년대 중반 이후 조선공산당재건운동과 같은 조직운동에 관계했기 때문에 사회운동사 차원에서 주목받았다. 그러나 이 논문은 오히려 이 시기 이들이 펼치고자 했던 활동이 연구자로서 정체성을 간직한 채, 학문을 통해 전체 운동에 기여하겠다는 학술문화운동이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의 학술문화운동은 세 가지 단계로 전개되었다. 첫째, 학내에 이론연구조직 경제연구회를 만들고 1929년 일본행을 통해 학술문화운동의 방법론을 접한 시기. 둘째, 법문학부1기생이 주축이 된 신흥에 참여하는 한편, 조선과학을 별도로 발행함으로써 노농계급의 주체화, 이론적 진전을 위해 노력했던 시기.마지막으로 조선사회사정연구소를 조직해 자료 수집과 제공, 정세분석 등을 통해 사회운동의 과학화에 주력한 시기였다.
      이상은 당시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사이에서 전개된 학술문화운동 중 조선의 실천적 학문을 건설하겠다는 ‘과학적 조선학’ 수립론과 달리, 학문적 실천을 지향한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으로 조선사회사정연구소가 해체되면서 이들의 학술문화운동은 더 이상 공개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웠다. 또한 식민지 현실에서 연구자로서 진로에 대한 고민이 쌓여,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는 조선의 학문 건설을 위한 길과 조선공산당재건운동과 결합한 비공개 문화투쟁의 길을 선택하게 되었다.
      번역하기

      식민지 ‘최고학부’의 졸업자였던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는 경성제대의 학문적 영향권 아래 있던 인물들이기 때문에 학문형성사의 관점에서 다뤄지거나, 또는 1930년대 중반 이후 ...

      식민지 ‘최고학부’의 졸업자였던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는 경성제대의 학문적 영향권 아래 있던 인물들이기 때문에 학문형성사의 관점에서 다뤄지거나, 또는 1930년대 중반 이후 조선공산당재건운동과 같은 조직운동에 관계했기 때문에 사회운동사 차원에서 주목받았다. 그러나 이 논문은 오히려 이 시기 이들이 펼치고자 했던 활동이 연구자로서 정체성을 간직한 채, 학문을 통해 전체 운동에 기여하겠다는 학술문화운동이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의 학술문화운동은 세 가지 단계로 전개되었다. 첫째, 학내에 이론연구조직 경제연구회를 만들고 1929년 일본행을 통해 학술문화운동의 방법론을 접한 시기. 둘째, 법문학부1기생이 주축이 된 신흥에 참여하는 한편, 조선과학을 별도로 발행함으로써 노농계급의 주체화, 이론적 진전을 위해 노력했던 시기.마지막으로 조선사회사정연구소를 조직해 자료 수집과 제공, 정세분석 등을 통해 사회운동의 과학화에 주력한 시기였다.
      이상은 당시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사이에서 전개된 학술문화운동 중 조선의 실천적 학문을 건설하겠다는 ‘과학적 조선학’ 수립론과 달리, 학문적 실천을 지향한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으로 조선사회사정연구소가 해체되면서 이들의 학술문화운동은 더 이상 공개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웠다. 또한 식민지 현실에서 연구자로서 진로에 대한 고민이 쌓여,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는 조선의 학문 건설을 위한 길과 조선공산당재건운동과 결합한 비공개 문화투쟁의 길을 선택하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일, "지배와 연대의 사이에서 - 재조일본인 지식인 미야케 시카노스케(三宅鹿之助)" 한국사회사학회 (105) : 287-318, 2015

      2 "중외일보"

      3 "조선중앙일보"

      4 "조선일보"

      5 유진오, "젊음이 깃 칠 때" 徽文出版社 1982

      6 유진오, "젊은 날의 自畵像" 博英社 1976

      7 이수일, "일제하 박문규의 현실인식과 경제사상 연구" (창간) : 1996

      8 김선미, "이종률의 민족운동과 정치사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9 심지연, "이강국연구" 백산서당 2006

      10 "신흥"

      1 김경일, "지배와 연대의 사이에서 - 재조일본인 지식인 미야케 시카노스케(三宅鹿之助)" 한국사회사학회 (105) : 287-318, 2015

      2 "중외일보"

      3 "조선중앙일보"

      4 "조선일보"

      5 유진오, "젊음이 깃 칠 때" 徽文出版社 1982

      6 유진오, "젊은 날의 自畵像" 博英社 1976

      7 이수일, "일제하 박문규의 현실인식과 경제사상 연구" (창간) : 1996

      8 김선미, "이종률의 민족운동과 정치사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9 심지연, "이강국연구" 백산서당 2006

      10 "신흥"

      11 "신계단"

      12 "비판"

      13 홍종욱, "보성전문학교에서 김일성종합대학으로 - 식민지 지식인 김광진의 생애와 경제사 연구" 역사학회 (232) : 283-325, 2016

      14 "매일신보"

      15 "동아일보"

      16 김정인, "대한제국기‧일제강점기 시천교의 존재양태와 활동" 103 : 2003

      17 "대중공론"

      18 이수일, "남과 북을 만든 라이벌" 역사비평사 2008

      19 박광현, "경성제대와 新興" 한국문학연구소 11 (11): 247-274, 2003

      20 荒川幾男, "鬪う學問-『新興科學の旗のともに』とその時代" 岩波書店 445 : 1982

      21 "朝鮮出版警察月報"

      22 "新興科學の旗のともに"

      23 "思想彙報"

      24 渡邊一民, "『新興科學の旗のともに』をめぐって-1920年代論-(2)" 岩波書店 54 : 1986

      25 羽仁五郞, "『新興科學の旗のともに』 創刊の頃" 岩波書店 445 : 1982

      26 전명혁, "1930년대초 코민테른과 미야케(三宅鹿之助)의 정세인식" 역사학연구소 (16) : 57-86, 2006

      27 이수일, "1930년대 전반 '성대그룹'의 반관학 이념과 사회운동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28 전명혁, "1930년대 이강국(李康國)과 그의 인민전선론 인식" 사회과학연구원 5 (5): 177-196, 2008

      29 조용만, "1930년대 문화예술인들-격동기의 문화계 비화" 범양사 1988

      30 조형열, "1930년대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과 ‘실천적 조선연구’론" 한국사연구회 (177) : 231-265, 2017

      31 조형열, "1930년 전후 조선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과학론’과 ‘인텔리론’-학술문화운동 형성 배경을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91) : 121-15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
      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KCI등재
      2015-10-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
      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3 1.02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