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AR-based picture 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33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종 개발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 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사역할 및 평가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12주간 매주 2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 구성이 타당하였으며,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효과적이며, 현 디지털시대 및 미래 산업사회에 발맞춘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또한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AR기반 및 디지털 기기를 활용할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지침을 위한 기반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종 개발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 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

      본 연구는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종 개발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 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사역할 및 평가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12주간 매주 2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 구성이 타당하였으며,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효과적이며, 현 디지털시대 및 미래 산업사회에 발맞춘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또한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AR기반 및 디지털 기기를 활용할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지침을 위한 기반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fants using AR-based picture book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tructure of the finally developed program was comprised of objective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 roles, and evaluation for its effectivene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total of 24 sessions were conducted for the duration of 12 weeks on 2-year old infants. For data analysis, t-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d program had valid program components and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onstruction of a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ir prosocial behavio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 utilizing AR-based picture books for infants is effective for their development of social affection, which is well-tailored to the current digital age in the industrial soc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reating guidelines for designing programs for infants that utilizes AR-based materials and digital devic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fants using AR-based picture book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tructure of the finally developed program was comprised of objectives and goals, educ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fants using AR-based picture book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tructure of the finally developed program was comprised of objective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 roles, and evaluation for its effectivene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total of 24 sessions were conducted for the duration of 12 weeks on 2-year old infants. For data analysis, t-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d program had valid program components and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onstruction of a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ir prosocial behavio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 utilizing AR-based picture books for infants is effective for their development of social affection, which is well-tailored to the current digital age in the industrial soc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reating guidelines for designing programs for infants that utilizes AR-based materials and digital devic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 개발 Ⅲ.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 효과분석을 위한 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Ⅱ.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 개발 Ⅲ.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 효과분석을 위한 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우중, "컨버전스 개념의 트랜스미디어 2F 전략에 관한 연구 -증강현실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1) : 31-41, 2014

      2 강창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김혜선, "증강현실의 체화적 인지 개념화와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2

      4 서지용, "증강현실을 활용한 영유아 언어 학습앱 개발" 717-718, 2015

      5 안소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별자리 교육 어플에 대한 연구" 126-129, 2018

      6 오영선, "증강현실에서의 가상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상호작용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7 김창복, "증강현실기반 체험학습이 유아동화 학습의 효과 및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49-468, 2011

      8 김호권, "증강현실과 퍼즐기반의 아동 언어 교육 장치를 위한 한글퍼즐 제작방법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57-465, 2018

      9 박경옥,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적용 기대감과 실재감(Presence) 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89-207, 2016

      10 하상희, "증강현실 책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의 사용자 경험요소"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4 (14): 123-132, 2013

      1 윤우중, "컨버전스 개념의 트랜스미디어 2F 전략에 관한 연구 -증강현실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1) : 31-41, 2014

      2 강창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김혜선, "증강현실의 체화적 인지 개념화와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2

      4 서지용, "증강현실을 활용한 영유아 언어 학습앱 개발" 717-718, 2015

      5 안소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별자리 교육 어플에 대한 연구" 126-129, 2018

      6 오영선, "증강현실에서의 가상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상호작용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7 김창복, "증강현실기반 체험학습이 유아동화 학습의 효과 및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49-468, 2011

      8 김호권, "증강현실과 퍼즐기반의 아동 언어 교육 장치를 위한 한글퍼즐 제작방법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57-465, 2018

      9 박경옥,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적용 기대감과 실재감(Presence) 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89-207, 2016

      10 하상희, "증강현실 책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의 사용자 경험요소"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4 (14): 123-132, 2013

      11 강은숙,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39 (39): 525-527, 2012

      12 김헤진, "증강현실 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7 (27): 87-96, 2018

      13 방현실, "증강현실 기반 그림책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소 20 (20): 93-112, 2019

      14 김인태, "증강현실 그림책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7

      15 이정, "증강현실 그림책과 종이 그림책 활용 유형에 따른 경험이 유아의 읽기 흥미, 이야기 이해력,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16 김영욱, "증강 현실(AR) 기술이 접목된 그림책으로 보는 상상력의 진화-팝업북(popup book)에서부터 디지로그북(digilog book) 너머로-" 인문콘텐츠학회 (19) : 465-489, 2010

      17 보건복지부, "제3차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육아정책 연구소 2013

      18 보건복지부, "제3차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침서" 보건복지부 육아정책 연구소 2013

      19 최은실,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0 김병건, "자폐아동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중재의 교육적 효과: 시뮬라시옹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11-930, 2019

      21 박낭자, "유아의 자아개념과 사회지능과의 관계분석" 9 : 193-218, 2006

      22 신은정,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지능과 자아개념 간의 관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651-666, 2013

      23 이승섭, "유아용 감각 인형 및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 35 : 36-40, 2016

      24 이윤미,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 유아의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5 이경우,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양서원 1997

      26 최현정, "유아사회교육" 학지사 2018

      27 조형숙, "유아발달" 학지사 2016

      28 김세희, "유아문학교육" 양서원 2000

      29 현은자,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그림책에 대한 사용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82-189, 2011

      30 이은정, "유아 사회정서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31 정유선, "예술중심 융합교육에서 모바일 증강현실(AR)의 활용방안"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10) : 113-126, 2016

      32 심숙영, "영유아 사회정서행동. 1. 진단평가 및 개별화 교육활동" 파란마음 2013

      33 신동순,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8

      34 나양균, "영아의 사회·정서능력과 기질 및 애착 간의 관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35 최경숙, "영아의 까다로운 기질과 수면문제의 관계: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165-176, 2018

      36 김혜영, "영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457-485, 2016

      37 장영희, "영아교육과정" 양서원 2000

      38 Matsui, T., "어린이와 그림책" 샘터 2010

      39 하은희,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0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7

      41 유덕희, "아동발달과 음악교육" 교문사 1983

      42 김미정, "사회·정서 통합에 기초한 영아 음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3 김진희, "불안·우울 및 위축 아동의 애착 유형 및 언어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6

      44 이영자, "방과후 정서지능 프로그램" 양서원 2000

      45 金良恩,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 미디어교육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4

      46 김정규, "문학적 접근에 의한 통합적 유아교육 프로그램" 정민사 2000

      47 김미경, "만 2세 영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3

      48 노민자, "누리과정에 그림책을 연계한 유아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49 현은자, "그림책의 이해" 사계절 2005

      50 강보라,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51 김미정,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과 주제환상극놀이 교수방법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52 변윤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및 유아 창의성 루브릭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53 이기영,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54 인정이,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3

      55 송순옥,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56 김정원, "그림책을 활용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107-132, 2016

      57 고운정, "그림책을 이용한 증강현실(AR) 모바일 앱북 연구 : 도식기 아동 7세, 8세, 9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58 홍성남, "그림책에서 이야기책까지" 현문미디어 2006

      59 권미혜, "그림책과 연계한 감각중심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60 조해연, "그림책과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활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1 권연정, "그림책 함께 보기에서 활용하는 매체에 따른 만 2세반 영아의 언어발달, 주의집중도, 그림책에 대한 태도 비교" 교육과학연구소 44 (44): 41-72, 2013

      62 이혜원,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63 임영숙, "공감적 이해에 기초한 유아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8

      64 김지선, "가족 특성, 영아의 기질, 보육 경험에 따른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5 조상식, "‘제 4 차 산업혁명’과 교육–지배와 적응 사이에서" 31-52, 2017

      66 Rodrigues, T., "XXVI Brazilian Congress on Biomedical Engineering" Springer 627-634, 2019

      67 Turnacioglu, S.,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n Mental Health Treatment" IGI Global 118-140, 2019

      68 Bredkamp, S., "Transforming curriculum organization" 2 : 167-176, 1995

      69 Branden, N., "The psychology of self-esteem: A new concept of man's psychological nature (Vol. 1)" Nash Publishing Corporation 1969

      70 Swinkels, A.,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21 : 934-949, 1995

      71 Carter, A. S., "The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ITSEA) :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31 (31): 495-514, 2003

      72 Gibson, J. J.,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Houghton Mifflin 1979

      73 Saarni, C.,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Guilford Press 1999

      74 Torrado, J. C., "Supporting self-evalua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through Augmented Reality" ACM 635-641, 2019

      75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76 NCSS, "Social studies curriculum planning resources"

      77 Denham, S. A., "Social and emotional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ming for preschoolers" Kluwer Academic/Plenum 2003

      78 Harter, S., "Self-esteem issues and answers: A sourcebook of current perspectives" Psychology Press 144-150, 2006

      79 Lorenzo, G., "Preliminary study of augmented reality as an instrument for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24 (24): 181-204, 2019

      80 Jacobs, L. B., "Picture-Story Books at Their Best" 12 (12): 186-189, 1959

      81 Guralnick, M. J., "Peer intera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handicapped children's social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275-305, 1990

      82 Chekhlow, D., "Ninja on a Plane: Automatic Discovery of Physical Planes for Augmented Reality Using Visual slam" IEEE Computer Society 1-4, 2007

      83 Schickedanz, J. A., "Much More than the ABCs: The Early Stages of Reading and Writing" NAEYC 1999

      84 Kaufmann, H., "Mathematics and geometry education with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ACM 37-41, 2002

      85 Benasich, A. A., "Maternal attitudes and knowledge of child-rearing : Associations with family and child outcomes" 67 (67): 1186-1205, 1996

      86 Squire, K. D., "Mad City Mystery : Developing scientific argumentation skills with a place-based augmented reality game on handheld computers" 16 (16): 5-29, 2007

      87 Cullinan, B. E., "Literature and the Child"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1989

      88 Park, S., "Literacy Meets Augmented Reality(AR) : The Use of AR in Literacy" 3 : 93-99, 2019

      89 Sudarmilah, E., "Learning Media based on Augmented Reality Game" 8 (8): 154-157, 2019

      90 Hong, J., "Investigating the effect of digitally augmented toys on young children’s social pretend play" 1-16, 2019

      91 Wittmer, D. S.,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A relationship-based approach" Pearson Higher Ed 2013

      92 Briggs-Crowan, M. J., "Infant 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 (ITSEA) Manual version 1.1. The Connecticut Early Development project"

      93 Domitrovich, C. E., "Improving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 randomized trial of the preschool “PATHS” curriculum" 28 (28): 67-91, 2007

      94 Laible, D., "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181-207, 2007

      95 Osofsky, J. D., "Handbook of infant mental health" Wiley 2000

      96 Kostelnik, M. J.,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Nelson Education 2014

      97 Katz, L. G.,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7

      98 Bai, Z., "Exploring expressive augmented reality: The FingAR puppet system for social pretend play" ACM 1035-1044, 2015

      99 Greenberg, M. T., "Enhancing school-based prevention and youth development through coordinated social, emotional, and academic learning" 58 (58): 466-, 2003

      100 Hoffman, M, L.,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01 Mayer, J. D.,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ic Books 3-34, 1997

      102 Denham, S. A.,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preschoolers: Relations with emotional competence" 488-508, 1994

      103 Grasset, R., "Edutainment with a Mixed Reality book A visully augmented illustrative chilerenk's book" 292-295, 2008

      104 Jalongo, M. R., "Early childhood language arts: Meeting diverse literacy needs through collaboration with families and professionals" Allyn & Bacon 2000

      105 Stewing, J. W., "Dramatizing literature in whole language classrooms" Pyeongmin Co 2004

      106 Hillman, J., "Discovering children's literature" Simon & Schuster Books For Young Readers 1995

      107 Berk, L. E.,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Allyn & Bacon 2011

      108 Berk, L. E.,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Allyn & Bacon 2006

      109 Thamrongrat, P., "Design and Evalu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App for Learning Geometric Shapes in 3D" Springer 364-385, 2019

      110 LaFreniere, P., "Cross-cultural analysis of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ers" 13 (13): 201-220, 2002

      111 Schonfeld, D. J., "Cluster-randomized trial demonstrating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ocial-emotional learning" 30 (30): 406-, 2015

      112 Howes, C.,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asp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65 (65): 253-263, 1994

      113 Walden, T. A., "Cambridge studies i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88, 1991

      114 Daunic, A., "Brief report : Integrating social-emotional learning with literacy instruction : An intervention for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39 (39): 43-51, 2013

      115 Chen, C. H., "Augmented reality-based video-modeling storybook of nonverbal facial cu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judgments of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s" 55 : 477-485, 2016

      116 Billinghurst, M., "Augmented reality in the classroom" 45 : 56-63, 2012

      117 Gil, K., "AR Petite Theater: Augmented reality storybook for supporting children's empathy behavior" IEEE 13-20, 2014

      118 Denham, S. A., "A social-emotional intervention for at-risk 4-year-olds" 34 (34): 225-245, 1996

      119 Schilling, D., "50 activities for teaching emotional intelligence: The best from Inner choice Publishing. Level I. Elementary" 1996

      120 김호인,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4-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