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다문화주의 지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다문화 담론의 문제틀을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이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41123
2014
-
377.605
KCI등재
학술저널
161-187(27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다문화주의 지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다문화 담론의 문제틀을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이때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다문화주의 지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다문화 담론의 문제틀을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이때 다문화적 실천이 일어나는 장소를 랑시에르의 '정치적 장소'로 재의미화하여 급진화된 다문화주의로의 전환을 요청해 보고자 한다. '급진화된 다문화주의'를 사유하고자 하는 이유는 현실적으로 한국의 다문화주의 담론이 주류사회의 담론 기능을 하는 과정에서 봉합되었던 갈등의 국면들을 오히려 드러내고 거기에서 새롭게 다문화주의 담론을 구성해 보고자 하는 까닭이다. 이 과정에서 다문화실천이 일어나는 로컬을 주목하면서 위로부터 기입된 다문화주의가 아닌 아래로부터 실천되는 다문화주의를 전망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on the basis of critical reflection of geography of multiculturalism, tries to discuss how to reconstruct the frame of multiculturalism discourse. And by translating the place where practice of multiculturalism takes place into Jacques Ran...
This study, on the basis of critical reflection of geography of multiculturalism, tries to discuss how to reconstruct the frame of multiculturalism discourse. And by translating the place where practice of multiculturalism takes place into Jacques Rancière's 'political arena', this study asks for a conversion into a radical multiculturalism. The reason to consider 'radical multiculturalism' is to reveal the aspects of conflicts sutured in the process in which multiculturalism discourse in Korea performs the function of discourse of mainstream society and, on that, to construct multiculturalism discourse anew.
In this process, perceptive conversion is required which converts difference represented on the multicultural subjects into puissance of in-between space. In addition, paying attention to locality where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ism takes place, this study predicts a multiculturalism practiced from the bottom, not the one forced from abov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M. Martiniel,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다르게 평등하게 살기" 2002
2 김혜순, "한국적"다문화주의"이론화" 한국사회학회 2007
3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4 김복수, "한국의 다문화주의 : 가족, 교육 그리고 정책" 이매진 2011
5 정병호, "한국의 다문화 공간" 현암사 2011
6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 2007
7 김비환,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한국법철학회 10 (10): 317-348, 2007
8 임형백,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와 정책 비교"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161-185, 2009
9 이용승, "한국 다문화주의의 담론지형에 관한 소고" 인문과학연구소 (16) : 133-159, 2011
10 대구가톨릭대 다문화연구소, "한국 다문화에 관한 담론" 경인 2012
1 M. Martiniel,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다르게 평등하게 살기" 2002
2 김혜순, "한국적"다문화주의"이론화" 한국사회학회 2007
3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4 김복수, "한국의 다문화주의 : 가족, 교육 그리고 정책" 이매진 2011
5 정병호, "한국의 다문화 공간" 현암사 2011
6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 2007
7 김비환,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한국법철학회 10 (10): 317-348, 2007
8 임형백,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와 정책 비교"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161-185, 2009
9 이용승, "한국 다문화주의의 담론지형에 관한 소고" 인문과학연구소 (16) : 133-159, 2011
10 대구가톨릭대 다문화연구소, "한국 다문화에 관한 담론" 경인 2012
11 대구가톨릭대 다문화연구소, "한국 다문화에 관한 담론" 경인 2012
12 홍기원, "한국 다문화사회의 정책과제와 방향" 909-928, 2007
13 최현, "탈근대적 시민권 제도와 초국민적 정치공동체의 모색" 비판사회학회 (79) : 38-61, 2008
14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의 지리학 : 연구동향과 주요 주제" 1 (1): 65-97, 2011
15 문재원, "초국가적 상상력과 ‘옌볜거리’의 재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7 (47): 397-427, 2013
16 이상봉, "초국가시대 시티즌십의 재구성과 로컬 시티즌십" 대한정치학회 20 (20): 247-269, 2013
17 김원식, "지구화 시대의 정의" 그린비출판사 2010
18 J. Rancière,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길 2013
19 홍태영, "이주자의 문화적 권리와 정체성" 다문화통합연구소 4 (4): 5-34, 2011
20 김현미,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26 : 57-79, 2008
21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이주의 재구성과 로컬리티" 소명 2013
22 박성혁,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 추진현황. 과제 및 성과 분석 연구" 서울대 중앙다문화교육센터 2008
23 김현미, "우리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오월의 봄 2013
24 설동훈, "외국인 노동자 문제의 배경" 74 : 220-230, 2004
25 윤성우, "번역론" 철학과현실사 2006
26 정혜욱, "번역과 문화연구-합일을 거부하는 반복" 경성대출판부 2010
27 J. Rancière, "미학 안의 불편함" 인간사랑 2008
28 H. Bhabha,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3
29 박준상, "무위(無爲)의 공동체" 도서출판 인간사랑 2010
30 조명기, "로컬 재현의 양상" 2013
31 김이선,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1)" 한국여성개발원 2007
32 최종렬,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패러다임과 국가별 유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사회학회 2008
33 진은영, "다문화주의와 급진적 인권" 한국철학회 95 (95): 255-283, 2008
34 이택광,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Charles Taylor와 Slavoj Žižek의 이론을 중심으로" 국제언어인문학회 13 (13): 121-139, 2011
35 서동진, "다문화주의라는 사유의 궁핍" 문학과지성사 (86) : 2009
36 김남국, "다문화의 도전과 사회통합: 영국, 프랑스, 미국 비교 연구" 한국유럽학회 28 (28): 133-174, 2010
37 최병두, "다문화사회를 대비한 도시 및 지역정책 과제" 44-51, 2012
38 이용재, "다문화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다문화 개념의 전환: 분기하는 다양성과 동의형식의 문화개념" 사회과학연구소 19 (19): 172-203, 2011
39 심승우, "다문화 민주주의의 이론적 기초 : 소수자의 주체성과 통치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1
40 최병두, "다문화 공간과 지구 지방의 윤리" 푸른길 2011
41 김원, "노동사로부터 거리 두기: 재현, 역사서술 그리고 정치적인 것" 한국사회사학회 (85) : 125-154, 2010
42 마붑 알엄, "나는 지구인이다." 텍스트 2010
43 마붑 알엄, "나는 지구인이다" 텍스트 2010
44 S. Zizek, "까다로운 주체" 도서출판 b 2010
45 이영민, "글로벌 시대의 트랜스이주와 장소의 재구성: 문화지리적 연구 관점과 방법의 재정립"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5 (25): 47-62, 2013
46 김현미, "글로벌 시대의 문화번역" 또하나의 문화 2005
47 설동훈, "국제노동력이동과 외국인노동자의 시민권에 대한 연구―한국?독일?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7 (7): 369-420, 2007
48 니시카와 나가오, "국경을 넘는 방법" 일조각 2006
49 W. Brown, "관용" 갈무리 2013
50 이기라, "공존의 기술" 그린비 2007
51 A. Appadurai, "고삐풀린 현대성" 현실문화연구 2004
52 J. Rancière, "감성의 분할" 도서출판 b 2008
53 서용순, "‘하나의 세계’와 다문화 상황의 진실 : 다문화주의에 대한 철학적 성찰" (82) : 2011
54 김현숙, "<좌담회> 다문화(공간)와 로컬리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0 (10): 5-43, 2013
20세기 초 뉴욕의 재현과 미국미술의 확장 ?“애쉬캔파” 미술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3-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소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6-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oonchunhyang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The Institute of Humanities at Soonchunhyang University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75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