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요약 문화산업이 21세기 고부가가치창출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가 문화산업창출과 투자에 관심을 돌리고 있는 이때 문화산업의 가장 큰 소비국가로 중국이 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77719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공연예술협동과정 공연예술전공 , 2012. 2
2012
한국어
790 판사항(22)
서울
Musical education systems of the Chines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 development direction : focused on musical education of Chinese universities
x, 162 p. : 삽도 ; 30 cm.
지도교수: 김학민.
참고문헌: p. 151-15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요약 문화산업이 21세기 고부가가치창출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가 문화산업창출과 투자에 관심을 돌리고 있는 이때 문화산업의 가장 큰 소비국가로 중국이 당...
논문요약
문화산업이 21세기 고부가가치창출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가 문화산업창출과 투자에 관심을 돌리고 있는 이때 문화산업의 가장 큰 소비국가로 중국이 당연히 주목을 받게 된다. 그중에서도 공연예술의 꽃으로 지목된 현대 뮤지컬이 중국예술인과 관객들의 관심장르이자 연구대상이다. 중국은 개혁개방이후 1980년 무한오페라단 단장 심승주(沈承宙)를 비롯한 일부 예술가들에 의해 외국오리지널 뮤지컬이 중국에 소개되면서부터 뮤지컬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일부 선두주자들은 오리지널뮤지컬을 모방하여 중국본토뮤지컬을 창작하기 시작하였고 라이선스 뮤지컬공연과 오리지널작품수입을 하면서 현대뮤지컬이란 새로운 장르가 중국공연시장에 점차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문화에 대한 중국국민들의 소비는 점점 늘어나고 공연시장은 빠르게 확대되고 발전하면서 뮤지컬관련 인재수요도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에서는 뮤지컬의 미래시장성과 발전성을 바라보고 뮤지컬학과나 뮤지컬전공을 개설하는 대학교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뮤지컬배우전공을 위주로 뮤지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성과는 그다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뮤지컬시장의 인재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재부족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자 북경과 상해에 있는 뮤지컬학과나 뮤지컬전공을 개설한 중국최고의 예술대학을 중심으로 뮤지컬 교육시스템을 면밀히 살펴보고 분석하였으며 미국, 일본, 한국의 대학에서의 뮤지컬교육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대학교 뮤지컬전공과 뮤지컬학과 교수진 전문성, 커리큘럼 배치, 수업방식, 전공의 다양성에 대하여 재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향후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수진 전문성을 무엇보다 중요시하여야 하며 뮤지컬전공자나 뮤지컬현장경험이 있는 교수들로 교수진을 이루어야 한다.
두 번째, 단순모방에 그치지 않고 형식에서 벗어나 뮤지컬교육에 적절한 수업과목을 개설해야 하며 뮤지컬의 특성상 워크숍위주의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또한 학교에서는 외국대학과의 국제교류를 통해 학생들의 안목을 키워 줘야 한다.
세 번째, 중국대학교에서는 뮤지컬학과에 뮤지컬배우전공만 개설할 것이 아니라 뮤지컬창작, 뮤지컬작곡, 뮤지컬연출 등 뮤지컬관련 다양한 전공을 개설하여 보다 다양한 인재들을 양성하여 뮤지컬시장의 인재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는 뮤지컬학과에서 다양한 전공 간, 다른 학과와의 유기적인 협동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필요한 지식을 배울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
네 번째, 중국에서는 대학교외 뮤지컬교육도 중요시해야 한다. 뮤지컬지망생을 위한 준비교육과 졸업생들의 후속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뮤지컬아카데미나 뮤지컬전문단체에서의 뮤지컬 교육도 중요시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