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0대 여성 유방형태 분류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255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well-fitting and comfortable brassieres for women in their 30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breast shapes by utilizing 3D body measurement data of women in the age group.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measurements from the 3D body scan data through RapidForm 2006 shows that while the vertical body measurements decrease, the horizontal measurements,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obesity,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age. Also, the relevant measurements for upper breasts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age, while the measurements for lower part of the breasts decrease as the degree of sagging increases. Four composition factors of the breas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Factor 1 is the level of volume in the breasts and the surrounding area; Factor 2 is the position of nipples and the shape of upper part of breasts; Factor 3 is the position and vertical length of the breasts; Factor 4 is the shape of lower part of breasts; and Factor 5 is the shape of inner part of breasts and degree of width between both breasts. The breasts have been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ive shapes: Breast Shape 1, Breast Shape 2 and Breast Shape 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the largest percentage 36.68% of women in their 30s falls into the category of Breast Shape 2 with small volume and flat upper breasts, followed by Breast Shape 1 32.66% with large volume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breasts, and large side to side area, and Breast Shape 3 30.65% with average volume and width between breas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well-fitting and comfortable brassieres for women in their 30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breast shapes by utilizing 3D body measurement data of women in the age g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well-fitting and comfortable brassieres for women in their 30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breast shapes by utilizing 3D body measurement data of women in the age group.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measurements from the 3D body scan data through RapidForm 2006 shows that while the vertical body measurements decrease, the horizontal measurements,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obesity,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age. Also, the relevant measurements for upper breasts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age, while the measurements for lower part of the breasts decrease as the degree of sagging increases. Four composition factors of the breas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Factor 1 is the level of volume in the breasts and the surrounding area; Factor 2 is the position of nipples and the shape of upper part of breasts; Factor 3 is the position and vertical length of the breasts; Factor 4 is the shape of lower part of breasts; and Factor 5 is the shape of inner part of breasts and degree of width between both breasts. The breasts have been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ive shapes: Breast Shape 1, Breast Shape 2 and Breast Shape 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the largest percentage 36.68% of women in their 30s falls into the category of Breast Shape 2 with small volume and flat upper breasts, followed by Breast Shape 1 32.66% with large volume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breasts, and large side to side area, and Breast Shape 3 30.65% with average volume and width between breas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윤희, "중년여성의 브래지어 설계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1

      2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3차원 형상측정 보고서" Size Korea 27-28, 2010

      3 권수애, "유방원주와 볼륨에 따른 브래지어 컵 치수 및 유방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1-10, 2011

      4 김영숙, "성인여성의 연령집단별 유방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39 (39): 25-40, 2001

      5 박은미, "성인여성용 브래지어 치수규격과 원형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영숙, "성인 연성의 인지적·실제적 유방유형과 브래지어 착용효과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7 임지영, "브래지어의 착용감 개선을 위한 착용실태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 6 (6): 455-460, 2004

      8 김제한, "발달심리학" 양서원 361-362, 1998

      9 조신현, "3차원 인체계측 방법에 의한 상반신 체형과 유방유형을 고려한 브래지어 패턴 설계 : 30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10 이현영, "3차원 인체 측정치들을 이용한 중년 여성의 유방 형태에 따른 유형 분류" 한국의류학회 34 (34): 385-392, 2010

      1 권윤희, "중년여성의 브래지어 설계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1

      2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3차원 형상측정 보고서" Size Korea 27-28, 2010

      3 권수애, "유방원주와 볼륨에 따른 브래지어 컵 치수 및 유방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1-10, 2011

      4 김영숙, "성인여성의 연령집단별 유방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39 (39): 25-40, 2001

      5 박은미, "성인여성용 브래지어 치수규격과 원형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영숙, "성인 연성의 인지적·실제적 유방유형과 브래지어 착용효과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7 임지영, "브래지어의 착용감 개선을 위한 착용실태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 6 (6): 455-460, 2004

      8 김제한, "발달심리학" 양서원 361-362, 1998

      9 조신현, "3차원 인체계측 방법에 의한 상반신 체형과 유방유형을 고려한 브래지어 패턴 설계 : 30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10 이현영, "3차원 인체 측정치들을 이용한 중년 여성의 유방 형태에 따른 유형 분류" 한국의류학회 34 (34): 385-392, 2010

      11 김남순, "3차원 인체 데이터를 이용한 상반신 분류와 가상 봉제시스템을 활용한 빅 사이즈 브래지어 패턴설계 : C컵 이상의 빅 브래스트(Big breast)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12 김미영, "30대 여성의 유방 유형에 따른 브래지어 설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3 민유숙, "20대 여성의 유방유형에 따른 인체공학적 브래지어 패턴 설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14 박유신, "20대 여성의 브래지어 치수설정 및 의복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15 손부현, "20대 여대생의 체형 및 유방유형별 브래지어 착용실태조사 연구" 한국의류학회 36 (36): 791-801, 2012

      16 조은정, "20대 빈약 유방여성의 유방형태 조사 연구" 복식문화학회 9 (9): 11-18, 2001

      17 고태희, "20대 비만여성의 유방형태와 브래지어 착용실태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5 0.79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