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의 캄보디아어 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teaching of the Cambodian language by parents to children of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5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들이 생각하는 캄보디아어 교육 목적, 교육 방법, 어려움을 살펴봄으로써 캄보디아어 교육 지원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 11명, 결혼이민여성 관련 업무에 종사중인 활동가 3명을 면담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의 캄보디아어 교육 목적은 첫째, 가족 내 유대감 형성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증진, 둘째, 자녀의 안정된 생활을 위한 직업 역량 강화, 셋째, 캄보디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강화, 넷째, 자녀의 행복한 삶을 위한 건전한 정체성 형성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어 교육 방법은 첫째, 일상생활에서 엄마가 캄보디아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사용하기, 둘째, 자녀가 캄보디아어를 궁금해 할 때 알려주기, 셋째, 캄보디아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해 동기 부여하기, 넷째, 어릴 때 캄보디아어로 양육하기, 다섯째, 캄보디아어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 제공하기로 나타났다. 캄보디아 교육과 관련한 어려움은 첫째, 한국어 습득이 중시되는 가족 및 사회 분위기, 둘째, 캄보디아어 교육기관 부재 및 교재 부족, 셋째, 캄보디아어의 복잡한 자모음 체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엄마 및 외가가족들과 의사소통하고, 다문화적 자산에 자부심을 가지고 모국어를 학습하며, 미래사회 인재로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가족에게 모국어교육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한편 영유아용 캄보디아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자료 보급에 국가적 지원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들이 생각하는 캄보디아어 교육 목적, 교육 방법, 어려움을 살펴봄으로써 캄보디아어 교육 지원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본 연구는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들이 생각하는 캄보디아어 교육 목적, 교육 방법, 어려움을 살펴봄으로써 캄보디아어 교육 지원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 11명, 결혼이민여성 관련 업무에 종사중인 활동가 3명을 면담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의 캄보디아어 교육 목적은 첫째, 가족 내 유대감 형성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증진, 둘째, 자녀의 안정된 생활을 위한 직업 역량 강화, 셋째, 캄보디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강화, 넷째, 자녀의 행복한 삶을 위한 건전한 정체성 형성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어 교육 방법은 첫째, 일상생활에서 엄마가 캄보디아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사용하기, 둘째, 자녀가 캄보디아어를 궁금해 할 때 알려주기, 셋째, 캄보디아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해 동기 부여하기, 넷째, 어릴 때 캄보디아어로 양육하기, 다섯째, 캄보디아어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 제공하기로 나타났다. 캄보디아 교육과 관련한 어려움은 첫째, 한국어 습득이 중시되는 가족 및 사회 분위기, 둘째, 캄보디아어 교육기관 부재 및 교재 부족, 셋째, 캄보디아어의 복잡한 자모음 체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엄마 및 외가가족들과 의사소통하고, 다문화적 자산에 자부심을 가지고 모국어를 학습하며, 미래사회 인재로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가족에게 모국어교육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한편 영유아용 캄보디아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자료 보급에 국가적 지원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to support the teaching of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 children in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focused on 11 parents in 6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and 3 social workers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interviews and analysis. The purposes of the teaching of the Cambodian language by parents are as follows: promoting the communication skills for family ties, strengthening the vocational capacity for stable life of children, empowering the capabilitie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mbodia, and forming the healthy identities for the happy life of the child. The method of teaching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 children are as follows: simultaneous use of both Cambodian and Korean in the home, teaching the Cambodian language to children when they want to know it, motivating children’s interest of Cambodian language, raising the children using only Cambodian, and providing the children with situations where the Cambodian language should be used. The reasons why the parents feel difficult to teach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ir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and social atmosphere that emphasizes Korean language acquisition. Second, there is no educational institute and suitable textbooks for the Cambodi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Cambodian language in terms of its consonant and vowel system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ed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teaching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 parents and family members an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support them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their relatives in Cambodia, take pride in their multicultural heritage, and grow to be talented members of global societ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to support the teaching of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 children in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focused on 11 parents in 6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and 3 social work...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to support the teaching of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 children in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focused on 11 parents in 6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and 3 social workers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interviews and analysis. The purposes of the teaching of the Cambodian language by parents are as follows: promoting the communication skills for family ties, strengthening the vocational capacity for stable life of children, empowering the capabilitie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mbodia, and forming the healthy identities for the happy life of the child. The method of teaching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 children are as follows: simultaneous use of both Cambodian and Korean in the home, teaching the Cambodian language to children when they want to know it, motivating children’s interest of Cambodian language, raising the children using only Cambodian, and providing the children with situations where the Cambodian language should be used. The reasons why the parents feel difficult to teach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ir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and social atmosphere that emphasizes Korean language acquisition. Second, there is no educational institute and suitable textbooks for the Cambodi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Cambodian language in terms of its consonant and vowel system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ed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teaching the Cambodian language to the parents and family members an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support them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their relatives in Cambodia, take pride in their multicultural heritage, and grow to be talented members of global society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탁옥경, "해외에서 살아가는 어머니와 자녀들의 모국어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279-303, 2014

      2 박종대,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8 (28): 35-63, 2014

      3 박지수, "한국 다문화 가정 부모자녀 간 한국어 및 계승어 유창성의 일치도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1 (21): 649-669, 2015

      4 나영이, "한국 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13-241, 2016

      5 장명림, "초등학교 취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지원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5

      6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7 정해숙, "이중언어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3

      8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9 박혜경, "유아언어교육: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3

      10 김영실,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공동체 2006

      1 탁옥경, "해외에서 살아가는 어머니와 자녀들의 모국어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279-303, 2014

      2 박종대,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8 (28): 35-63, 2014

      3 박지수, "한국 다문화 가정 부모자녀 간 한국어 및 계승어 유창성의 일치도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1 (21): 649-669, 2015

      4 나영이, "한국 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13-241, 2016

      5 장명림, "초등학교 취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지원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5

      6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7 정해숙, "이중언어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3

      8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9 박혜경, "유아언어교육: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3

      10 김영실,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공동체 2006

      11 김승희,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및 구문능력"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03-117, 2013

      12 안혜령,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학업성취 비교" 한국아동학회 30 (30): 1-10, 2009

      13 김선정,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발화 특성 - 평균발화길이와 어휘 다양도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1-17, 2012

      14 김신희,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유 구어 담화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15 강현자, "여성 결혼이민자의 의사소통 방식 연구 : 구어 자유 담화 자료를 바탕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16 김대희,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회 (43) : 35-59, 2012

      17 강현석,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글로벌콘텐츠 2014

      18 김혜전,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의 다중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19 변수정,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 허청아, "동남아출신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1 이선주,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I).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과 다각적 협력체계 증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22 김이선,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Ⅳ):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사용 및 세대 간 전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23 황상심,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사용 추이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23-134, 2016

      24 법제처, "다문화가족지원법"

      25 모경환,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한국다문화교육학회 8 (8): 197-226, 2015

      26 진대연,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의 요구 분석" 외국어교육연구소 14 : 177-202, 2011

      27 김선정, "다문화가정 자녀 실태 및 다문화교육의 추진 방향" 외국어교육연구소 24 (24): 21-46, 2010

      28 이상희,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5-412, 2010

      29 이현주,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삶과 자녀교육에 관한 질적 종단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2 (12): 209-236, 2014

      30 고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교육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모형제안" 한독교육학회 15 (15): 1-24, 2010

      31 홍종명, "다문화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결혼이민자 모국어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6 (16): 279-302, 2012

      32 오성배, "다문화 교육 정책의 과제와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상학회 24 (24): 149-170, 2010

      33 박현선,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365-388, 2012

      34 정 승, "국제결혼가정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면담연구-중국 출신 결혼이주민 여성의 가정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35 전혜성, "국제결혼 가정자녀 실태조사 및 성장지원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7

      36 정현주, "경계를 가로지르는 결혼과 여성의 에이전시: 국제결혼이주연구에서 에이전시를 둘러싼 이론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109-121, 2009

      37 전홍주,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0 (20): 161-186, 2008

      38 박현숙, "결혼 이민 여성의 모어 육아 및 가정 내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9 Byram, M., "Third level, third spa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 european higher education" Peter Lang 47-57, 1999

      40 Oh, J. S., "The role of heritage language development in the ethnic identity and family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19 (19): 202-220, 2010

      41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질적 사례 연구}" Changjisa 2000

      42 Pearson, B. Z., "Social factors in childhood bilingualism in the United States" 28 (28): 399-410, 2007

      43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연구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Sigmapress 2011

      44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교육의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기초}" Kyungmoonsa 2011

      45 Patton, M.,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 Sage Publication 2002

      46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in education {정성연구 방법론과 사례연구}" Kyowoo 2005

      47 Baker C., "Parent's and teacher's guide to bilingualism {이중언어교육 가이드}" Nexus 2010

      48 The Nuffield Languages Inquiry, "Languages: The next generation" The Nuffield Foundation

      49 Barron-Hauwaert, S., "Language strategies for bilingual families: The one-parent-one-language approach" Multilingual Matters 2004

      50 Appel, R., "Language contact and bilingualism {언어접촉과 2개 언어 상용}" Dongin 2008

      51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Hakjisa 2009

      52 Holzbrecher, A., "Interkulturelle pädagogik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교사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북코리아 2014

      53 Baker C., "Foundations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이중언어의 기초와 교육}" Pijbook 2014

      54 Yin, R. K., "Case study research {사례연구방법}" Hankyungsa 2005

      55 Mansell, W., "Born grobal: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The British Academy 2014

      56 Glesne, C.,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질적 연구자 되기}" Academypress 2008

      57 Steiner, N., "7 Steps to raising a bilingual child" AMACOM 2009

      58 한국여성재단, "2016 한국-캄보디아 다문화가정 자녀 외가방문 지원사업 프로그램 효과 및성과 연구" 2016

      59 정해숙,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여성가족부 2016

      60 법무부 출입국, "2015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61 통계청, "2015 다문화 가족 실태조사(다문화가족 자녀의 외국계 부모의 성별)"

      62 여성가족부, "2014 다문화가족지원사업 결과보고서Ⅰ"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4 1.74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4 1.857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