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디자인 서울거리를 제대로 조성하기 위한 평가관리체계가 미흡한 실정이지만, 디자인 서울거리 조성사업 평가체계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가로공간의 획일적 가이드라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31933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56(16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디자인 서울거리를 제대로 조성하기 위한 평가관리체계가 미흡한 실정이지만, 디자인 서울거리 조성사업 평가체계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가로공간의 획일적 가이드라인...
현재 디자인 서울거리를 제대로 조성하기 위한 평가관리체계가 미흡한 실정이지만, 디자인 서울거리 조성사업 평가체계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가로공간의 획일적 가이드라인 적용평가가 아닌 가로특성에 따라 유형을 객관적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실증평가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형별 중요도 분석결과, 평가대상은 모든 유형에서 사업추진체계, 공간환경계획, 지역특성/시민이용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또한 평가항목은 주민참여/협력을 바탕으로 유형1(가로변상업+주변혼합주거)은 지역특성/연계, 사업타당성 순으로, 유형2(가로변상업+주변문화)는 지역특성/연계, 계획/실행 순으로, 유형3(가로변상업+주변업무)은 사업타당성, 지역특성/연계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나 유형별로 중요항목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물리적, 시각적 형태 중심의 기존 조성사업 추진에서 도시문화정책이 반영된 통합계획, 시민중심의 생활밀착형 계획, 경제 가치창출을 중요하게 다루는 사업추진으로 바뀌어야 하고 나아가 시민들의 필요를 반영하고 관계와 소통 중심의 계획관리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outlines of an Evaluation System for Design-Seoul Street Projects, which would improve the previously uniformed street guidelines, by 1) classifying types of stree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c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outlines of an Evaluation System for Design-Seoul Street Projects, which would improve the previously uniformed street guidelines, by 1) classifying types of stree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configurations, and 2) drawing priorities of evaluation criteri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Project Implementation System’, ‘Spatial Planning’, and ‘Locality/Citizen Uses’ appear to be the evaluation subjects in all street types; 2) As for evaluation criteria, acknowledging Coordination/Citizen Participation, Street Type 1 recognizes ‘Locality-Project Feasibility’ in residential-commercial area; Street Type 2 recognizes ‘Identity- Plan/Implementation’ in cultural-commercial area; and Street Type 3 recognizes ‘Project Feasibility-Locality’ in businesses, which are the differentiated aspects of evaluation indicator by types of streets. These imply that Design-Seoul Street Projects should focus on 1) integral plans, considering urban-cultural policies; 2) localized strategies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and 3) organizational cooperations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caring; and 4) creation of economic values for the local revitalization, which cover beyond the physical design approaches to the built structures in Design-Seoul Street Projec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CABE 홈페이지,
2 미국 PPS(Project for public spaces),
3 김지희, "지각·인지특성을 고려한 가로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 건국대 주변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21-36, 2008
4 신은경, "이용자디자인평가(PDE)를 활용한 가로공간 및 경관 평가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 ‘참살이길’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37-46, 2008
5 백선혜, "서울 도시디자인 전략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6 정광섭, "보행환경설계를 위한 직·간접 요인의 중요도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5-18, 2010
7 오성훈, "보행환경 다면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상업중심지 보행환경의통합성을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9
8 서울특별시,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ver2.0" 디자인 서울총괄본부 2009
9 신예철,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5-22, 2010
10 박소현,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61-172, 2008
1 CABE 홈페이지,
2 미국 PPS(Project for public spaces),
3 김지희, "지각·인지특성을 고려한 가로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 건국대 주변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21-36, 2008
4 신은경, "이용자디자인평가(PDE)를 활용한 가로공간 및 경관 평가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 ‘참살이길’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37-46, 2008
5 백선혜, "서울 도시디자인 전략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6 정광섭, "보행환경설계를 위한 직·간접 요인의 중요도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5-18, 2010
7 오성훈, "보행환경 다면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상업중심지 보행환경의통합성을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9
8 서울특별시,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ver2.0" 디자인 서울총괄본부 2009
9 신예철,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5-22, 2010
10 박소현,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61-172, 2008
11 김태호, "네트워크분석기법을 이용한 보행자 서비스 질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211-222, 2009
12 정희정, "공공디자인 평가척도어 추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09
13 김범식, "공공디자인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중앙대학교 2009
14 이상민, "공간환경디자인의 이해와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15 남궁지희, "가로환경 평가체계에 관한 기초 연구 - 기존 평가사례의 내용, 형식,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5 (25): 237-247, 2009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 특성 변화와 도시설 계적 대안 모색에 관한 기초연구
건물상세정보를 포함한 3-D GIS용 캠퍼스 모델의 구축
보행활동 증진을 위한 준공공공간 규제내용의 개정 특성 고찰
도시디자인 규제수법으로서 형태기반코드(FBCs, Form-Based Codes)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91 | 1.33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