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 의식주 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2347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 전공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ies and living culture curriculum to foster multi-cultural citizenship : Focus on Basic Living Elements(Clothes, Food, Housing)

      • 형태사항

        iv, 67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63-65장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3rd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Living Culture Curriculum to Foster Multi-Cultural Citizenship Focus on Basic Living Elements (Clothes, Food, Housing) Jeong, Young Ji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paper ai...

      A study on the 3rd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Living Culture Curriculum to Foster Multi-Cultural Citizenship
      Focus on Basic Living Elements (Clothes, Food, Housing)

      Jeong, Young Ji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3rd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foster citizenship, which is required in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society has recently turned into a multi-racial and cultural society without cultural and educational preparation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of migrant workers and those who have come because of marriage. It is desirable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multi-culture has changed. The government, which has been supportive, has also helped multi-cultural families adjust to Korean society, and most students understand and support it. However, it is only a one-time program and is not even included in the history curriculum.
      Becau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3rdgrade traditional living culture curriculum has been described as a typical stereotype of Korean tradition and homogeneous culture, it can not present the point that traditional culture has constantly changed by accommodating other cultures and that it continues to chang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discuss citizenship, which is required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with a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to construct new elementary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t is because the curriculum that has been setup as traditional living culture was compl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class which focuses on the though t of it belonged to us. This denies the newly created traditional living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which gives a negative feeling about accepting other culture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3rdgrade living culture textbook and teacher’s guide with a multi-cultural and integrated perspective so that the curriculum can be reconstructed.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citizens to acquire knowledge about various cultures, to have an attitude of existing together with many ethnic groups and nations, and an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To bring up this citizenship issue, the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must consist of integrating thematic issues like traditional culture, place and environment, consistency and change, and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Key words: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homogeneous culture,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citizenshi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 - 의식주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 정 용 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학과 논문 요약...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
      - 의식주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
      정 용 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학과

      논문 요약

      이 논문은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성을 육성하기 위해 초등 3학년 사회과의 전통문화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향에 관해 탐색한다. 최근 한국사회는 문화적, 교육적 준비가 없는 상태에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민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다종족,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다문화 교육의 방향이 다문화 가정과 그 가정의 학생들을 한국 사회에 적응을 위한 지원 사업에서, 다수 학생들이 다문화 가정의 문화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으로 나가고 있음은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 다문화 이해 교육이 일회성 프로그램에 머물러 있고, 역사과 교육과정 속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초등학교 3학년 전통생활문화사에서는 여전히 정태적 전통관과 단일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어 전통문화라는 것이 끊임없이 다른 문화를 수용하여 변화하여 온 것이고, 오늘날도 계속 변화해 나가는 것이라는 관점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성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역동적 전통관과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전통문화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전통생활문화를 조선 후기에 완성된 것으로 설정하고, 그것을 우리만의 고유한 것으로 생각하게 한 수업은 조선 후기 이후에 새롭게 생성된 전통생활문화를 부정하는 것이 되고, 또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에도 부정적인 관점을 주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역동적이고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교사의 눈으로 재구성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사회는 여러 인종이나 민족 및 다양한 문화들을 비교 이해하고, 그들과 상호작용하며 공존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다문화사회의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시민의 자질을 요구한다. 이런 다문화적 시민성을 기르기 위해 초등 사회과의 전통문화 교육내용은 ‘문화’ 주제에서 전통생활문화를 다루고, 전통생활문화를 ‘장소와 환경, 지속성과 변화, 다른 국가와의 상호관계’라는 주제와 연결해 통합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 생활 이야기로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을 타 교과와 수평적으로 연계해서 구성해야 한다.

      주요어: 다문화사회, 다문화교육, 전통문화교육, 단일문화주의적 관점, 다문화주의적 관점, 다문화적 시민성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5
      • 3. 용어의 정의 6
      • 4. 선행 연구 고찰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5
      • 3. 용어의 정의 6
      • 4. 선행 연구 고찰 6
      • 5. 연구의 제한점과 가치 7
      • Ⅱ.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현황 8
      • 1. 사회과 교육과정 속의 역사교육 8
      • 2.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역사의식 발달 10
      • 3. 초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교사 실태 11
      • III. 전통생활문화와 다문화 시민성 기르기 13
      • 1. 다문화 시민성과 다문화 이해교육 13
      • 2. 다문화 시민성 기르기를 위한 전통생활문화관 17
      • IV. 초등학교 3학년 ‘의식주 생활의 변화’ 단원 내용 분석 23
      • 1. 7차 개정교육과정에서 전통생활문화 분석 23
      • 2. 교과서에서 단원 서술 방식 분석 28
      • 3. 교사용지도서에서 단원 서술 방식 분석 46
      • V. 초등학교 3학년 ‘의식주 생활의 변화’ 단원 재구성 방안 51
      • 1. 다문화주의적 전통생활관에 의한 재구성 53
      • 2. 타교과 단원 통합을 통한 수업 시수 확보 54
      • 3.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 자료 개발 57
      • VI. 결론 60
      • 참고 문헌 63
      • Abstract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