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재사회화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Sit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Resocialization Educ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22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roblem of stable settlement of defectors over 30,000 is not an issue of individual defectors but an important social issue and a policy issue to be solved by the entire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not easy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adapt to and settle in Korean society, which has a political system and an economic structu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has a wide cultural gap. In ord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settled in the Korean society in a stable manner, it is necessary to resocialize the values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to suggest a better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education. To this end, the socialization theory, the re-socialization theory,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ory, and the psycho cybernetics theory are analyzed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re - socialization education for the defectors is analyzed.
      Hana Won's re-socialization curriculum, Hana Cent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vocational training and re-socialization of employment centers,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Foundation,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local council, settlement support for civil organizations, and re-socialization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inforcement plan of re-socializa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step-by-step re-socializat ion education program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of re-socialization education and training.
      번역하기

      The problem of stable settlement of defectors over 30,000 is not an issue of individual defectors but an important social issue and a policy issue to be solved by the entire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not easy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adapt t...

      The problem of stable settlement of defectors over 30,000 is not an issue of individual defectors but an important social issue and a policy issue to be solved by the entire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not easy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adapt to and settle in Korean society, which has a political system and an economic structu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has a wide cultural gap. In ord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settled in the Korean society in a stable manner, it is necessary to resocialize the values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to suggest a better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education. To this end, the socialization theory, the re-socialization theory,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ory, and the psycho cybernetics theory are analyzed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re - socialization education for the defectors is analyzed.
      Hana Won's re-socialization curriculum, Hana Cent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vocational training and re-socialization of employment centers,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Foundation,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local council, settlement support for civil organizations, and re-socialization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inforcement plan of re-socializa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step-by-step re-socializat ion education program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of re-socialization education and trai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 "프로이트의 '성숙한 자아'개념에 근거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2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3 전연숙,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장벽척도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0

      4 맥스웰 몰츠, "성공의 법칙" 비즈니스북스 2003

      5 이규호, "사회화와 주체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6 찰스 호튼 쿨리, "사회조직의 이해" 한국문화사 2018

      7 강신택,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박영사 1995

      8 조민희,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정착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9 조민희,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24 (24): 105-126, 2019

      10 선한승,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5

      1 정진, "프로이트의 '성숙한 자아'개념에 근거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2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3 전연숙,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장벽척도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0

      4 맥스웰 몰츠, "성공의 법칙" 비즈니스북스 2003

      5 이규호, "사회화와 주체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6 찰스 호튼 쿨리, "사회조직의 이해" 한국문화사 2018

      7 강신택,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박영사 1995

      8 조민희,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정착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9 조민희,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24 (24): 105-126, 2019

      10 선한승,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5

      11 권오상,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정체성에 관한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52) : 505-530, 2017

      12 박은숙,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13 김용태,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과 생활지원 방안" 한국경찰학회 12 (12): 81-116, 2010

      14 안나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2016

      15 안한나, "북한이탈주민의 언어교육 현황 및 외국의 사례를 통한 시사점 연구" 15 (15): 23-44, 2017

      16 임소희,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 예측모형 : 심리적 외상-회복력 통합모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17 오승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간호사로서의 체험 :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18 백남설,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8

      19 김소영,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 가능성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11-218, 2016

      20 박정순, "북한이탈주민의 가정폭력 및 사회적 차별 경험이 심리·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교대학교대학원 2014

      21 박성재, "북한이탈주민 직업훈련 실태 및 제도개선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14

      22 나원호,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정책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관계망의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23 류재화, "북한이탈주민 정착을 위한 지원정책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24 이금순,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통일연구원 2003

      25 하현선,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사업 평가" 국회예산정책처 2016

      26 김현수, "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 분석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27 강병의, "북한이탈여성의 한국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6

      28 김원홍, "북한이탈여성의 직장적응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29 양인숙, "북한이탈여성의 중년기 이후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30 통일부, "2018 통일백서" 통일부 2018

      31 통일부, "2018 북한이탈주민 정책실무편람"

      32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남북하나재단 2019

      33 통일부, "2017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운영메뉴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0.97 1.211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