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석전의 상징성과 향교 석전의 식민지적 변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2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교제례인 문묘 석전이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속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조선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석전을 국가에서 주관했다. 우리나라 문묘에는 우리나라 18현이 중국의 유현들과 함께 석전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과 문묘 종사에 주자학의 도통이 강조되었다는 점이 중국과 다르다. 그리고 성균관과 전국 향교에 문묘를 설치하여 국가 차원에서 석전으로 거행한 것은 조선 왕조의 이념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으로, 조선왕조의 정체성을 내외에 선언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일제는 통감부 시기부터 유림들의 활동 공간인 향교를 통제했다. 강점 직후, 향교가 총독부와 일본인 관리들의 통제 속에 들어가게 되면서 향교의 기능과 역할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더불어 석전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첫째, 문묘 석전의 주관자인 제관 및 참여자의 변화를 들 수 있으며, 둘째, 석전 제문의 날짜 표기⋅독축(讀祝)방식⋅날짜 변경, 셋째, 양무 및 계성사 향사의 일시적인 폐지, 넷째, 석전의례 중 서고식(誓告式) 추가, 마지막으로 경학원과 향교의 문묘 개방과 일반인 출입의 허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총독부가 ‘원활한’ 식민통치를 위해 유학을 중요하게 여기는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석전의례 속에서 오랫동안 지속해 온 조선의 유교적 전통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자신들의 통치 권력의 현재성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심지어 석전행사를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경학원 명륜당과 전국 향교를 혼례식장으로까지 개방한 조치는 문묘로 상징되는 조선의 전근대적 사회 질서를 파괴함으로써 신민지 통치를 ‘근대화’로 미화한 것이었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에 앞서 총독부는 전국 유림의 동향 파악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석전을 강연회 등 각종 행사와 연계시킴으로서, 식민지 조선인에게 식민통치의 당위성을 선전하여 일제의 식민통치에 순종하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일제의 침략 전쟁과 식민통치에 철저하게 이용하였다. 이로서 석전은 기존의 제사로서의 기능이나 신성함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고, 일제가 일으킨 침략전쟁의 적극적인 선전의 장이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교제례인 문묘 석전이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속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조선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석...

      본 연구는 유교제례인 문묘 석전이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속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조선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석전을 국가에서 주관했다. 우리나라 문묘에는 우리나라 18현이 중국의 유현들과 함께 석전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과 문묘 종사에 주자학의 도통이 강조되었다는 점이 중국과 다르다. 그리고 성균관과 전국 향교에 문묘를 설치하여 국가 차원에서 석전으로 거행한 것은 조선 왕조의 이념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으로, 조선왕조의 정체성을 내외에 선언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일제는 통감부 시기부터 유림들의 활동 공간인 향교를 통제했다. 강점 직후, 향교가 총독부와 일본인 관리들의 통제 속에 들어가게 되면서 향교의 기능과 역할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더불어 석전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첫째, 문묘 석전의 주관자인 제관 및 참여자의 변화를 들 수 있으며, 둘째, 석전 제문의 날짜 표기⋅독축(讀祝)방식⋅날짜 변경, 셋째, 양무 및 계성사 향사의 일시적인 폐지, 넷째, 석전의례 중 서고식(誓告式) 추가, 마지막으로 경학원과 향교의 문묘 개방과 일반인 출입의 허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총독부가 ‘원활한’ 식민통치를 위해 유학을 중요하게 여기는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석전의례 속에서 오랫동안 지속해 온 조선의 유교적 전통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자신들의 통치 권력의 현재성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심지어 석전행사를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경학원 명륜당과 전국 향교를 혼례식장으로까지 개방한 조치는 문묘로 상징되는 조선의 전근대적 사회 질서를 파괴함으로써 신민지 통치를 ‘근대화’로 미화한 것이었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에 앞서 총독부는 전국 유림의 동향 파악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석전을 강연회 등 각종 행사와 연계시킴으로서, 식민지 조선인에게 식민통치의 당위성을 선전하여 일제의 식민통치에 순종하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일제의 침략 전쟁과 식민통치에 철저하게 이용하였다. 이로서 석전은 기존의 제사로서의 기능이나 신성함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고, 일제가 일으킨 침략전쟁의 적극적인 선전의 장이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Munmyo (Confucian shrine) Seokjeon was transform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part of Confucian policies.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Right from the its beginning, the Joseon Dynasty supervised and operated Seokjeon directly. Two major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 shrines in Korea and those in China were that 18 major Confucianists in Korea along with those in China were enshrined at Seokjeon and that ideas of Orthodox Neo-Confucianism were emphasized in Confucian shrine affairs. Confucian shrines were built up in various hyanggyos nationwide as well as Seonggyungwan so that rituals were held with Seokjeon on a national level, which represent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proclaims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in and out of the country. Japanese imperialism controlled hyanggyos which were a space of activity for Confucian scholars since the period of the Residency General. Right after the Colonial Period began, hyanggyos were put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Japanese official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functions and roles as well as those of Seokjeon. First, there were changes in rite officiants and participants at Confucian shrines of Seokjeon. Second, indication of dates in memorial addresses of Seokjeon, ways of reading addresses, and dates were changed. Third, Yangmu and Gyeseongsa shrines were abolished temporarily. Fourth, an agreement ceremony was added as part of Seokjeon rites. Finally, Gyeonghagwon and hyanggyo shrines were opened to the public. Such changes were intended to impl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valued Confucianism for ‘smooth’ colonial ruling and to emphasize Japan’s present governance while excluding Confucian traditions of Joseon that had long been preserved in Seokjeon rituals. Furthermore, Seokjeon events were opened to the general public, and hyanggyos around the country as well as Gyeonghagwon Pyeongryundang became available as a wedding hall, which was to destroy the premodern social order of Joseon symbolized by Confucian shrines and to beautify the colonial rule as ‘modernization’. Before 1937 when the Chinese-Japanese War broke ou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put forth more efforts to grasp movements of Confucian scholars around the country. Seokjeon was connected to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 meeting with the intention of justifying the colonial rule among Koreans and induce them to obey Japan’s rulership, and further, to make full use of Korea for their aggressive wars and colonial rule in other territories. As such, Seokjeon lost its original functions for rituals as well as its divineness completely and rather became a space used by Japan to propagate their war of aggression activel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how Munmyo (Confucian shrine) Seokjeon was transform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part of Confucian policies.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Right from the its beginning, the Joseon Dynasty superv...

      This study examines how Munmyo (Confucian shrine) Seokjeon was transform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part of Confucian policies.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Right from the its beginning, the Joseon Dynasty supervised and operated Seokjeon directly. Two major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 shrines in Korea and those in China were that 18 major Confucianists in Korea along with those in China were enshrined at Seokjeon and that ideas of Orthodox Neo-Confucianism were emphasized in Confucian shrine affairs. Confucian shrines were built up in various hyanggyos nationwide as well as Seonggyungwan so that rituals were held with Seokjeon on a national level, which represent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proclaims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in and out of the country. Japanese imperialism controlled hyanggyos which were a space of activity for Confucian scholars since the period of the Residency General. Right after the Colonial Period began, hyanggyos were put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Japanese official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functions and roles as well as those of Seokjeon. First, there were changes in rite officiants and participants at Confucian shrines of Seokjeon. Second, indication of dates in memorial addresses of Seokjeon, ways of reading addresses, and dates were changed. Third, Yangmu and Gyeseongsa shrines were abolished temporarily. Fourth, an agreement ceremony was added as part of Seokjeon rites. Finally, Gyeonghagwon and hyanggyo shrines were opened to the public. Such changes were intended to impl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valued Confucianism for ‘smooth’ colonial ruling and to emphasize Japan’s present governance while excluding Confucian traditions of Joseon that had long been preserved in Seokjeon rituals. Furthermore, Seokjeon events were opened to the general public, and hyanggyos around the country as well as Gyeonghagwon Pyeongryundang became available as a wedding hall, which was to destroy the premodern social order of Joseon symbolized by Confucian shrines and to beautify the colonial rule as ‘modernization’. Before 1937 when the Chinese-Japanese War broke ou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put forth more efforts to grasp movements of Confucian scholars around the country. Seokjeon was connected to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 meeting with the intention of justifying the colonial rule among Koreans and induce them to obey Japan’s rulership, and further, to make full use of Korea for their aggressive wars and colonial rule in other territories. As such, Seokjeon lost its original functions for rituals as well as its divineness completely and rather became a space used by Japan to propagate their war of aggression a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유교제례로서 석전의 상징성
      • 3. 일제강점기 향교 석전의례의 변화
      • 4. 조선총독부의 지역유림 통제와 석전의 활용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유교제례로서 석전의 상징성
      • 3. 일제강점기 향교 석전의례의 변화
      • 4. 조선총독부의 지역유림 통제와 석전의 활용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욱재, "한말·일제하 유림 연구 : 일제협력유림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2 정경주, "한말 향교유림집단의 역사적 성격" 한국어문교육학회 12 : 1990

      3 강대민, "한국의 향교연구" 경성대출판부 1992

      4 지두환, "한국 문묘제도의 변천" 국립국악원 17 : 2008

      5 이명화, "조선총독부의 유교정책(1910~1920년대)" 7 : 1993

      6 "조선일보"

      7 류미나, "조선의 ‘황도유학’ 전개 과정과 일본제국주의의 확장" 한일관계사학회 (63) : 227-262, 2019

      8 박종배, "조선시대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과 그 교육적 시사 -명 · 청 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4 (34): 1-21, 2012

      9 이왕무, "조선 후기 국왕의文廟 행행의 추세와 성격" 조선시대사학회 (93) : 39-65, 2020

      10 김용헌,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프로네시스 2010

      1 정욱재, "한말·일제하 유림 연구 : 일제협력유림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2 정경주, "한말 향교유림집단의 역사적 성격" 한국어문교육학회 12 : 1990

      3 강대민, "한국의 향교연구" 경성대출판부 1992

      4 지두환, "한국 문묘제도의 변천" 국립국악원 17 : 2008

      5 이명화, "조선총독부의 유교정책(1910~1920년대)" 7 : 1993

      6 "조선일보"

      7 류미나, "조선의 ‘황도유학’ 전개 과정과 일본제국주의의 확장" 한일관계사학회 (63) : 227-262, 2019

      8 박종배, "조선시대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과 그 교육적 시사 -명 · 청 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4 (34): 1-21, 2012

      9 이왕무, "조선 후기 국왕의文廟 행행의 추세와 성격" 조선시대사학회 (93) : 39-65, 2020

      10 김용헌,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프로네시스 2010

      11 장재천, "조선 성균관 석전의례악의 본질과 교화적 기능" 용인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 2011

      12 류미나,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한국역사연구회 (63) : 309-341, 2007

      13 정일균, "일제의 무단통치와 경학원" 한국사회사학회 (76) : 5-54, 2007

      14 김영희, "일제강점기 경학원 석전(釋奠)의 변화 양상 소고" 무용역사기록학회 8 : 2008

      15 김명우, "일제 식민지시기 향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16 류미나, "일본의 ‘공자묘 대중화’ 정책과 조선 내 공자묘 인식의 변화 -총독부의 공자묘 개방정책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64) : 103-130, 2010

      17 류미나, "식민지권력에의 ‘협력’과 좌절― 經學院과 향교 및 문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157-191, 2005

      18 "매일신보"

      19 村山智順, "韓國近代 民俗⋅人類學資料大系 7" 民俗苑 2008

      20 "經學院雜誌"

      21 "益山文廟 例規"

      22 "益山文廟 諸關係書類"

      23 "牧民心書"

      24 "朝鮮總督府官報"

      25 西村綠也, "朝鮮敎育大觀" 朝鮮敎育大觀社 1932

      26 "常變通攷"

      27 "官報(대한제국)"

      28 "大東野乘"

      29 "京城日報"

      30 정욱재, "20세기 초 일제협력유림의 경학원 활동-李大榮(1874~1950)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56) : 249-278, 2014

      31 류미나, "19c말~20c초 일본제국주의의 유교 이용과 조선 지배" 동양사학회 (111) : 127-158, 2010

      32 정욱재, "1920년대 식민지 조선 유림과 일본의 湯島聖堂" 민족문화연구원 (71) : 386-40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태동고전연구 제24집 -> 태동고전연구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6 1.75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