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춘천 중도의 풍수지리 입지특성과 역사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engshui-Location and the Formation of History and Culture in Chuncheon Joong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42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uncheon Joogdo is a place where the energy of Taebaekjeonggan is concentrated and is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landscape is harmonized with Vitality. Thousands of people have lived since prehistoric times, leaving world-class cultural heritages such as residences and graves of jiseok. The reason why history and culture have been able to be achieved for such a long time is tha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Joogdo have been located in the feng shui site in the shape of the Womb and have been a good place for people to live.
      Prehistory and culture formed in Joogdo should be preserved as a world-class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Korea, and passed on to the future generations as the cradle of human culture.
      번역하기

      Chuncheon Joogdo is a place where the energy of Taebaekjeonggan is concentrated and is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landscape is harmonized with Vitality. Thousands of people have lived since prehistoric times, leaving world-class cultural heritages s...

      Chuncheon Joogdo is a place where the energy of Taebaekjeonggan is concentrated and is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landscape is harmonized with Vitality. Thousands of people have lived since prehistoric times, leaving world-class cultural heritages such as residences and graves of jiseok. The reason why history and culture have been able to be achieved for such a long time is tha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Joogdo have been located in the feng shui site in the shape of the Womb and have been a good place for people to live.
      Prehistory and culture formed in Joogdo should be preserved as a world-class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Korea, and passed on to the future generations as the cradle of human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홍기, "한국적 Geomentality에 대하여" 서울대지리학과 (14) : 1987

      2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3 최창조, "한국의 전통적 자연과 인간관: 풍수지리사상을 중심으로" 1986

      4 천인호, "풍수지리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12

      5 조인철, "풍수고전 『장경(葬經)』에 나타난 풍수이기론에 관한 연구 - 사세팔룡법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117-134, 2011

      6 이형원,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취락" 2020

      7 정연우, "춘천 중도동유적 조사개요" 2020

      8 최복규, "춘천 중도 선사유적 발굴조사 연구 :고인돌을 중심으로"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3 : 3-52, 1983

      9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B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2016

      10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A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2017

      1 윤홍기, "한국적 Geomentality에 대하여" 서울대지리학과 (14) : 1987

      2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3 최창조, "한국의 전통적 자연과 인간관: 풍수지리사상을 중심으로" 1986

      4 천인호, "풍수지리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12

      5 조인철, "풍수고전 『장경(葬經)』에 나타난 풍수이기론에 관한 연구 - 사세팔룡법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117-134, 2011

      6 이형원,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취락" 2020

      7 정연우, "춘천 중도동유적 조사개요" 2020

      8 최복규, "춘천 중도 선사유적 발굴조사 연구 :고인돌을 중심으로"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3 : 3-52, 1983

      9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B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2016

      10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A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2017

      11 이의환, "청동기시대 춘천지방의 자연환경과 농경" 한국지역지리학회 9 (9): 493-504, 2003

      12 최홍규, "지형적 조건과 관련시켜 본 춘천의 도시화 과정" 10 (10): 2003

      13 호순신, "지리신법" 비봉출판사 2005

      14 김승완,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9

      15 김성수, "주거용부동산 선정에 대한 양택3대간법(배산임수, 전저후고, 전착후관)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풍수인과 일반인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5

      16 이재영,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2010

      17 천인호, "양택풍수입지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평가간의 실증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3 (13): 63-78, 2007

      18 천인호, "부동산풍수론" 효민 2007

      19 김기찬, "부동산과 풍수지리 입지요인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2013

      20 채성우, "명산론" 비봉출판사 2010

      21 "네이버"

      22 신평, "고전 풍수학설심부" 관음출판사 1997

      23 "靑烏經"

      24 "葬經"

      25 權善政, "聚落立地에 대한 風水的 解釋 : 九萬里 마을의 風水的 解釋을 媒介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26 村山智順, "朝鮮의 風水" 민음사 1990

      27 이형구, "春川 中島의 古代 共同體社會"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1) : 371-438, 2015

      28 "三國遺事"

      29 "三國史記"

      30 문화재청, "2016년 제4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1 문화재청, "2014년 제9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2 문화재청, "2014년 제13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3 문화재청, "2014년 제10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4 문화재청, "2013년 제4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5 문화재청, "2013년 제3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6 문화재청, "2011년 제8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7 문화재청, "2009년 제7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