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홍기, "한국적 Geomentality에 대하여" 서울대지리학과 (14) : 1987
2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3 최창조, "한국의 전통적 자연과 인간관: 풍수지리사상을 중심으로" 1986
4 천인호, "풍수지리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12
5 조인철, "풍수고전 『장경(葬經)』에 나타난 풍수이기론에 관한 연구 - 사세팔룡법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117-134, 2011
6 이형원,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취락" 2020
7 정연우, "춘천 중도동유적 조사개요" 2020
8 최복규, "춘천 중도 선사유적 발굴조사 연구 :고인돌을 중심으로"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3 : 3-52, 1983
9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B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2016
10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A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2017
1 윤홍기, "한국적 Geomentality에 대하여" 서울대지리학과 (14) : 1987
2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3 최창조, "한국의 전통적 자연과 인간관: 풍수지리사상을 중심으로" 1986
4 천인호, "풍수지리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12
5 조인철, "풍수고전 『장경(葬經)』에 나타난 풍수이기론에 관한 연구 - 사세팔룡법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117-134, 2011
6 이형원,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취락" 2020
7 정연우, "춘천 중도동유적 조사개요" 2020
8 최복규, "춘천 중도 선사유적 발굴조사 연구 :고인돌을 중심으로"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3 : 3-52, 1983
9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B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2016
10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A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2017
11 이의환, "청동기시대 춘천지방의 자연환경과 농경" 한국지역지리학회 9 (9): 493-504, 2003
12 최홍규, "지형적 조건과 관련시켜 본 춘천의 도시화 과정" 10 (10): 2003
13 호순신, "지리신법" 비봉출판사 2005
14 김승완,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9
15 김성수, "주거용부동산 선정에 대한 양택3대간법(배산임수, 전저후고, 전착후관)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풍수인과 일반인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5
16 이재영,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2010
17 천인호, "양택풍수입지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평가간의 실증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3 (13): 63-78, 2007
18 천인호, "부동산풍수론" 효민 2007
19 김기찬, "부동산과 풍수지리 입지요인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2013
20 채성우, "명산론" 비봉출판사 2010
21 "네이버"
22 신평, "고전 풍수학설심부" 관음출판사 1997
23 "靑烏經"
24 "葬經"
25 權善政, "聚落立地에 대한 風水的 解釋 : 九萬里 마을의 風水的 解釋을 媒介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26 村山智順, "朝鮮의 風水" 민음사 1990
27 이형구, "春川 中島의 古代 共同體社會"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1) : 371-438, 2015
28 "三國遺事"
29 "三國史記"
30 문화재청, "2016년 제4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1 문화재청, "2014년 제9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2 문화재청, "2014년 제13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3 문화재청, "2014년 제10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4 문화재청, "2013년 제4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5 문화재청, "2013년 제3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6 문화재청, "2011년 제8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37 문화재청, "2009년 제7차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