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 쓰기 교재에서 논증적 글쓰기 부분의 전체적 구성, 교육 내용, 학습 활동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34086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3-236(3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 쓰기 교재에서 논증적 글쓰기 부분의 전체적 구성, 교육 내용, 학습 활동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 쓰기 교재에서 논증적 글쓰기 부분의 전체적 구성, 교육 내용, 학습 활동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교재 C는 학습 목표, 교육 내용, 학습 활동을 모두 포함하여 3 가지 교재 중에서 가장 잘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 내용의 경우, 예상 반론에 대한 반박에 관한 구체적 기술이 부재하였다. 조직의 경우, 응집성, 응결성, 일관성은 강조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중국과 한국의 논증적 글의 주장과 근거의 차이에 대한 기술이 없었다. 학습 활동의 경우, 대부분 통제 작문이 중국의 교육 과정에 맞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유도 작문의 양이 너무 적고 자유 작문 과제도 너무 적고 쓰기 분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를 개발할 때 예상 반론에 대한 반박, 텍스트의 응집성, 응결성, 일관성, 그리고 중국과 한국 논증적 글의 주장과 근거의 차이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학습 활동의 경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안 되는 통제 작문 활동을 포함하지 않아도 될 것이며 유도 작문 활동을 늘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유 작문의 경우, 작문의 분량의 향상과 과제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better argumentative writing about the China textbooks though extracting the whole composition, education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extbook C had the most proper composition which inc...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better argumentative writing about the China textbooks though extracting the whole composition, education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extbook C had the most proper composition which included the learning goal, education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education content aspect, we found that the description of rebuttal was not detailed. And in the text organization the coherence, concretion, consistency was not emphasised. The differences of statement and evidence about Chinese and Korean was not describ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aspect, we found that, most controlled writing activities didn't conform to the curriculum of China. And this kind of guided writing and argumentative free writing is task are very few as well as a the writing amount is also very few.
When we develop the writing textbook for Chinese Korean Learners, we should give a detail description about the rebuttal, coherence, concretion, and consistency of text. And give a detail description about the differences of statement and evidence of Chinese and Korean. In the learning activities we should delete the controlled writing activities which is not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develop more guided writing activities. For the free writing we should increase the writing amount and the type of argumentative writing task.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배,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09) : 543-573, 2016
2 이은혜,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장르 인식 양상 연구 : 설명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강승혜, "한국어 평가론" 태학사 2006
4 제효봉,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른 영향 연구 -학습자 모국어에 대한 숙지도(熟知度)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68) : 173-208, 2017
5 조은숙,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중국 대학 강의용 교재를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원 27 : 117-147, 2011
6 맹강,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한·중 신문 사설 개입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회 (69) : 81-111, 2017
7 민현식,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7 : 5-60, 2000
8 이선영,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과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2 : 175-211, 2011
9 서종학, "한국어 교재론" 한국문화사 2017
10 김영만,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2005
1 이동배,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09) : 543-573, 2016
2 이은혜,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장르 인식 양상 연구 : 설명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강승혜, "한국어 평가론" 태학사 2006
4 제효봉,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른 영향 연구 -학습자 모국어에 대한 숙지도(熟知度)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68) : 173-208, 2017
5 조은숙,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중국 대학 강의용 교재를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원 27 : 117-147, 2011
6 맹강,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한·중 신문 사설 개입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회 (69) : 81-111, 2017
7 민현식,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7 : 5-60, 2000
8 이선영,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과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2 : 175-211, 2011
9 서종학, "한국어 교재론" 한국문화사 2017
10 김영만,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2005
11 Gang Meng, "한·중 신문 사설의 개입 대조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40) : 119-151, 2017
12 박나리, "학문목적 한국어 교재의 비평 쓰기에 대한 분석과 제언" 한국문예창작학회 15 (15): 239-265, 2016
13 민병곤, "초등학교 논술 교육 내용 구성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107-140, 2008
14 조인옥,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에 나타난 모국어 영향 특성 연구 : 중국 산동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15 조인옥,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리적 글쓰기의 문제와 대학 작문 교육에의 적용 방안 고찰-논설 텍스트에 나타난 논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85-530, 2013
16 이은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작문 오류 분석을 통한 초급 쓰기 교재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34) : 227-242, 2015
17 제효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모국어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2015
18 김충실, "중국 한국어 쓰기 교재의 연습문제 유형 분석"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10 : 289-306, 2014
19 서수현, "요인 분석을 통한 쓰기 평가의 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20 손달임,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재 분석 - 문장 쓰기와 단락 구성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85-1015, 2016
21 이미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22 노대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푸른사상사 2007
23 박선옥,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쓰기 활동 분석과 구성 방안 제언" 한국중원언어학회 (19) : 71-96, 2011
24 서수현, "쓰기 평가의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5 주재우, "성인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 분석" 한국작문학회 (22) : 229-262, 2014
26 응웬 티 후옹 센, "베트남 인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5
27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0
28 이선영,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문 쓰기 과제 수행 양상"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33 : 149-173, 2016
29 이정희, "경희 한국어 쓰기 6" 하우 2015
30 이정희, "경희 한국어 쓰기 5" 하우 2015
31 이정희, "경희 한국어 쓰기 4" 하우 2015
32 金龍, "韓國語寫作教程" 上海外語教育出版社 2015
33 金龍, "韓國語寫作基礎與實踐" 北京大學出版社 2011
34 林從剛, "韓國語寫作" 北京大學出版社 2016
35 蔡基剛, "英漢寫作對比研究" 復旦大學出版社 2001
36 丁法章, "當代新聞評論教程" 復旦大學出版社 2012
37 薛鳳敏, "從寫作過程看二語寫作測試任務設計的影響因素" 1-7, 2013
38 Grabe, W.,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Longman 1996
39 Crowhurst, M., "Teaching and Learning the Writing of Persuasive/ Argumentative Discourse" 15 (15): 348-359, 1990
40 Hyland, K., "Second language wri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1 Khodabandeh, F., "Overall Rhetorical Structure of Students’ English and Persian Argumentative Essays" 3 (3): 684-690, 2013
42 Ho, V. L., "Non-native argumentative writing by Vietnamese learners of English: A contrastive study" 2011
43 Nippold, M. A., "Language development during the adolescent years: Aspects of pragmatics, syntax, and semantics" 20 (20): 15-28, 2000
44 Matalene, C, "Contrastive rhetoric: An American writing teacher in China" 47 (47): 789-808, 1985
45 Liu, X. H., "A multidimensional comparison of discourse organization in English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 24 (24): 74-96, 2014
주체-타자론의 극복과 공동체의 가능성 :「안빙몽유록」과 「서재야회록」에 나타난 은거 공간과 환상계를 중심으로
노계(蘆溪) 박인로(朴仁老)의 사회적(社會的) 위상(位相)에 대한 재검토(再檢討)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6 | 1.16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2 | 1.77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