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유학기제에 적용가능한 대통령기록물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6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idential records reflect the era of the times, and it has valuable evidence to support th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s. People’s interest in the presidential records increased in response to its recent leak. The presidential archives were moved to Sejong in line with its desire to provide public-friendly services. This study will help users access the archives and utilize archiving inform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hich all middle schools have began conducting since 2016.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education can be provided by external organizations. As middle school students are still unfamiliar with archives,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 good environment for accessing archives and records. Although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publicize archives, existing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shows a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research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s well as its typ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four typ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the presidential archives. Second, through website analysis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education program. A total of 46 education programs of institutions were analyzed, focusing on student-led education programs in the foreign archives as well as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domestic libraries and archives. Thir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four types of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and provided concrete examples.
      번역하기

      The presidential records reflect the era of the times, and it has valuable evidence to support th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s. People’s interest in the presidential records increased in response to its re...

      The presidential records reflect the era of the times, and it has valuable evidence to support th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s. People’s interest in the presidential records increased in response to its recent leak. The presidential archives were moved to Sejong in line with its desire to provide public-friendly services. This study will help users access the archives and utilize archiving inform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hich all middle schools have began conducting since 2016.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education can be provided by external organizations. As middle school students are still unfamiliar with archives,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 good environment for accessing archives and records. Although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publicize archives, existing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shows a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research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s well as its typ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four typ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the presidential archives. Second, through website analysis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education program. A total of 46 education programs of institutions were analyzed, focusing on student-led education programs in the foreign archives as well as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domestic libraries and archives. Thir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four types of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and provided concrete examp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통령기록물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국가 국정운영의 행정투명성과 설명책임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적 가치를 지닌 자료이다. 최근 잇따른 대통령기록물 유출 사건으로 인해 국민들의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세종 신청사 이전으로 국민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대통령기록관의 목적에 맞춰 본 연구는 이용자가 기록관에 접근하고 기록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중학생은 한 학기동안 외부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있게 되었다. 이는 기록관이 낯선 중학생들에게 기록관과 기록물에 접근할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마련해주고 기록관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이나 아직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국내·외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적용가능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함으로써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국내·외 사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의정의 및 유형을 이해하고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의 대통령기록관에 연계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하였다. 둘째, 웹사이트 분석과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국외 기록관과 국내 도서관 및 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국외 기록관은 학생 주도의 교육프로그램, 국내 도서관및 기록관은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46곳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셋째, 앞선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과 구체적 적용 예시까지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대통령기록물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국가 국정운영의 행정투명성과 설명책임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적 가치를 지닌 자료이다. 최근 잇따른 대통령기록물 유출 사건으로 인해 국...

      대통령기록물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국가 국정운영의 행정투명성과 설명책임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적 가치를 지닌 자료이다. 최근 잇따른 대통령기록물 유출 사건으로 인해 국민들의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세종 신청사 이전으로 국민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대통령기록관의 목적에 맞춰 본 연구는 이용자가 기록관에 접근하고 기록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중학생은 한 학기동안 외부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있게 되었다. 이는 기록관이 낯선 중학생들에게 기록관과 기록물에 접근할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마련해주고 기록관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이나 아직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국내·외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적용가능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함으로써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국내·외 사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의정의 및 유형을 이해하고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의 대통령기록관에 연계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하였다. 둘째, 웹사이트 분석과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국외 기록관과 국내 도서관 및 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국외 기록관은 학생 주도의 교육프로그램, 국내 도서관및 기록관은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46곳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셋째, 앞선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과 구체적 적용 예시까지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안)" 교육부 2015

      2 김종표, "평생교육방법론" 양서원 2006

      3 문성호, "청소년진로활동의 실태와 프로그램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9-343, 2016

      4 장효정, "집단탐구(GI)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대통령 기록관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 26 (26): 51-81, 2015

      5 "진양도서관"

      6 박미자, "중학생이라는 수수께끼 풀이" 39-47, 2015

      7 지은림, "중학교 자유학기제 평가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8 이주은, "자유학기제에 따른 영어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도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9 지서윤, "자유학기제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과 사회과 교육의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0 황금숙,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7 (27): 99-128, 2016

      1 교육부,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안)" 교육부 2015

      2 김종표, "평생교육방법론" 양서원 2006

      3 문성호, "청소년진로활동의 실태와 프로그램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9-343, 2016

      4 장효정, "집단탐구(GI)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대통령 기록관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 26 (26): 51-81, 2015

      5 "진양도서관"

      6 박미자, "중학생이라는 수수께끼 풀이" 39-47, 2015

      7 지은림, "중학교 자유학기제 평가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8 이주은, "자유학기제에 따른 영어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도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9 지서윤, "자유학기제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과 사회과 교육의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0 황금숙,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7 (27): 99-128, 2016

      11 권일남,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체험이 진로탐색과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3 (13): 17-26, 2015

      12 남성우, "자유학기제 요인분석과 수업모형 개선방안 연구: 수학과목의 수업방법및 자율과정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3 신성미,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및 교과연계 학생선택프로그램 운영학교 사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4 교육부, "자유학기제 : 예술·체육활동 운영 매뉴얼"

      15 "자유학기제"

      16 권덕원, "음악교육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8

      17 황영미, "영화를 활용한 이과생 대학 글쓰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09-135, 2013

      18 조이현, "소장기록물 편찬 및 콘텐츠 구축" 국가기록원 2008

      19 "서울특별시교육청 정독도서관"

      20 노영희, "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수요조사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7 (47): 187-211, 2016

      21 이정은, "대학생의 기록물 및 기록관 인식현황 연구" 183-188, 2016

      22 이능금,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NIE 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 26 (26): 107-127, 2015

      23 김솔, "대통령기록물 온라인 콘텐츠의 초등교육 활용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 13 (13): 59-79, 2013

      24 전용호, "대통령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체계 연구 : 한국의 대통령기록관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8

      25 "대통령기록관"

      26 곽효길, "단기과정 진로탐색활동이 중학생의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7 이진영,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2

      28 James M. O’Toole, "기록의 이해" 진리탐구 2004

      29 이은영, "기록관리전문직의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2 (12): 117-139, 2012

      30 "국립세종도서관"

      31 지수걸, "국가기록을 활용한 중등학생용 교육콘텐츠 개발사업의 의미" 국가기록원 2008

      32 "국가기록원"

      33 심성보,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한국기록학회 (16) : 203-258, 2007

      34 "경상남도교육청 통합공공도서관"

      35 "William J. Clinto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36 "TNA"

      37 "Ronald Reag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38 "Richard Nixo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39 "Lyndon B. Johnso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0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1 "Jimmy Cart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2 "Herbert Hoov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3 "Harry S. Trum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4 "Gerald R. Ford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5 "George W. Bush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6 "George H. W. Bush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7 "Franklin D. Roosevelt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8 "Dwight D. Eisenhow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49 이지연, "(예비교사를 위한 실제적)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현사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chival Studies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4 1.76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