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기록관 인식현황 및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a Method to Use Activation and Awareness on Archives of University Stu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6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ords and archives center provide a variet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an effort to get closer to the public.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archiv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sers of archives. Given th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otential users of archives as well as to suggest methods to activate the use of records and archiv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s such, this study surveyed 182 university students at J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items referred to 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 (MORI) (2003) as a part of the projects conducted by the Museums Libraries Archives Council (MLA) and Cho’s study (2008). The questionnaire items consisted of four major areas: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experience with records and archives or reasons of not using them, requirements for the use of archives by potential users, and efficient method of promoting archiv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re indifferent to records.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it is highly important to manage records that are related to historical values and archives that are relevant to information values. In addition, they showed a positive intention to use the archives in the future; thus, it is highly likely for them to be converted into active users through appropriat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activating the use of the archives to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ed methods to activate the archives in terms of us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user segmentation.
      번역하기

      The records and archives center provide a variet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an effort to get closer to the public.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order to activate the ...

      The records and archives center provide a variet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an effort to get closer to the public.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archiv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sers of archives. Given th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otential users of archives as well as to suggest methods to activate the use of records and archiv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s such, this study surveyed 182 university students at J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items referred to 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 (MORI) (2003) as a part of the projects conducted by the Museums Libraries Archives Council (MLA) and Cho’s study (2008). The questionnaire items consisted of four major areas: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experience with records and archives or reasons of not using them, requirements for the use of archives by potential users, and efficient method of promoting archiv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re indifferent to records.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it is highly important to manage records that are related to historical values and archives that are relevant to information values. In addition, they showed a positive intention to use the archives in the future; thus, it is highly likely for them to be converted into active users through appropriat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activating the use of the archives to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ed methods to activate the archives in terms of us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user segmen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록관은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으로 견학, 전시, 교육등 다양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록물과 기록관의 인식 부족 문제가 늘 제기되고 있다. 기록관의 이용을 활성화하기위해서는 기록관의 이용자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록관의 잠재 이용자 중 대학생을 한 범주로 설정하고 기록물 및 기록관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대학생 집단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집단은 대학도서관과 대학기록관 등의 연구에서 특정한 이용자로 연구대상이 되어 왔는데, 물리적으로도 대학 기록관과 가장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향후 기록관의적극적 이용자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목적은 대학생 집단의 기록물 및 기록관의 인식 특징을 도출하여 기록관의 이용 활성화 방안 개발에 따른 특징을 반영한 고려사항 및 이용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전북지역 J 대학교 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2003년도에영국 MLA(Museums Libraries Archives Council)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일부로 MORI(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2003)에 의해 진행된설문조사 보고서와 조윤희(2008)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 문항을 참고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기록물 및 기록관에 대한 인식, 기록물 및 기록관이용경험과 비이용 요인, 기록관 이용 요구사항, 기록관의 효율적인 홍보방법 등 크게 4분야로 구성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생 집단은 대부분 기록물에 대하여 무관심하며, 기록관의 인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록물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록물은 역사적 가치에, 기록관은 정보적 가치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또한, 향후 기록관의 이용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의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서비스를 통하여 적극적인 이용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집단임을 알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집단의 기록관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고려사항을 알아보았고, 이용자교육 측면, 프로그램개발 측면, 이용자 세분화 측면에서 기록관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기록관은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으로 견학, 전시, 교육등 다양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록물과 기록관의 인식 부족 문제가 늘 제기되고 있다. ...

      기록관은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으로 견학, 전시, 교육등 다양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록물과 기록관의 인식 부족 문제가 늘 제기되고 있다. 기록관의 이용을 활성화하기위해서는 기록관의 이용자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록관의 잠재 이용자 중 대학생을 한 범주로 설정하고 기록물 및 기록관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대학생 집단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집단은 대학도서관과 대학기록관 등의 연구에서 특정한 이용자로 연구대상이 되어 왔는데, 물리적으로도 대학 기록관과 가장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향후 기록관의적극적 이용자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목적은 대학생 집단의 기록물 및 기록관의 인식 특징을 도출하여 기록관의 이용 활성화 방안 개발에 따른 특징을 반영한 고려사항 및 이용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전북지역 J 대학교 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2003년도에영국 MLA(Museums Libraries Archives Council)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일부로 MORI(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2003)에 의해 진행된설문조사 보고서와 조윤희(2008)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 문항을 참고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기록물 및 기록관에 대한 인식, 기록물 및 기록관이용경험과 비이용 요인, 기록관 이용 요구사항, 기록관의 효율적인 홍보방법 등 크게 4분야로 구성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생 집단은 대부분 기록물에 대하여 무관심하며, 기록관의 인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록물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록물은 역사적 가치에, 기록관은 정보적 가치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또한, 향후 기록관의 이용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의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서비스를 통하여 적극적인 이용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집단임을 알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집단의 기록관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고려사항을 알아보았고, 이용자교육 측면, 프로그램개발 측면, 이용자 세분화 측면에서 기록관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은경,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6 (6): 65-92, 2006

      2 김은실, "이용자 유형별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3 오선경, "시각장애인의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5 (45): 141-162, 2011

      4 윤 철, "빅데이터에 기반한 기록정보서비스의 방향"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3

      5 장덕현, "부산시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0 : 201-223, 2012

      6 전수진,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 8 (8): 127-152, 2008

      7 한희정, "문화유산기관의 협업을 통한 교육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기록관·도서관·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4 (14): 31-60, 2014

      8 김재훈, "대한불교조계종 중앙기록관역사기록전시 -기록으로 보는 한국불교와 조계종" 한국기록학회 (13) : 295-331, 2006

      9 이란주,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 활성화 방안 - D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 23 (23): 187-207, 2012

      10 김명희, "대학도서관 홍보 프로그램이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10

      1 서은경,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6 (6): 65-92, 2006

      2 김은실, "이용자 유형별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3 오선경, "시각장애인의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5 (45): 141-162, 2011

      4 윤 철, "빅데이터에 기반한 기록정보서비스의 방향"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3

      5 장덕현, "부산시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0 : 201-223, 2012

      6 전수진,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 8 (8): 127-152, 2008

      7 한희정, "문화유산기관의 협업을 통한 교육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기록관·도서관·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4 (14): 31-60, 2014

      8 김재훈, "대한불교조계종 중앙기록관역사기록전시 -기록으로 보는 한국불교와 조계종" 한국기록학회 (13) : 295-331, 2006

      9 이란주,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 활성화 방안 - D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 23 (23): 187-207, 2012

      10 김명희, "대학도서관 홍보 프로그램이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10

      11 남영준,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5 (45): 287-310, 2011

      12 김옥선, "대학기록관의 홍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7

      13 원채원, "대학 기록관의 이용자 교육 서비스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 한성대학교대학원 2015

      14 김태영, "대통령기록관의 연구지원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4 (14): 83-115, 2014

      15 김지현, "대통령기록관의 검색, 열람 및 연구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3 (13): 201-225, 2013

      16 이해영,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 및 개선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 7 (7): 25-42, 2007

      17 조윤희, "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18 이해영, "기록관의 정보서비스 현황 조사 및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2 (12): 177-201, 2012

      19 이혜원, "기록관의 견학 프로그램 - 대통령기록관을 사례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5 (15): 219-245, 2015

      20 한국기록관리학회, "기록관리론 : 증거와 기억의 과학" 아세아문화사 2013

      21 이혜원, "기록관 전시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7

      22 이은숙, "글로벌 시대 교양강좌개발 방향 모색 ― 계명대학교 균형교양과목 <서양문학으로 소통하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727-754, 2014

      23 강주연, "국내외 국립기록관의 트위터 운용 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263-285, 2016

      24 김건, "국내 기록정보서비스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 13 (13): 199-229, 2013

      25 강혜영, "교수들의 도서관 이용과 서지교육 인식도" 30 (30): 59-86, 1999

      26 윤희윤,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서비스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3 (43): 53-75, 2012

      27 김하야나,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자, 이용 중단자, 비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201-226, 2014

      28 정경희,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8 (38): 377-396, 2007

      29 GIPHY, "national archives of Giphy"

      30 Xiaomu Zhou, "Student archival research activity : an exploratory study" 71 (71): 476-498, 2008

      31 San Diego State University, "SDSU Library & Information Access"

      32 Madden, M., "Marketing survey spinoff : Library user/nonuser lifestyle" 10 (10): 78-81, 1979

      33 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 "Listening to the Past, Speaking to the Future Annex D : Non-Archives Users Suvey : Omnibus Study"

      34 국가기록원, "2015 국가기록백서" 국가기록원 2015

      35 국가기록원, "2013 국가기록백서" 국가기록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chival Studies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4 1.76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