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무용 수업의 재미거리 요인 측정도구 개발 = Developing a questionnaire for enjoyment sources in community 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3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finding some enjoyment sources in community dance. Based on the 4 conceptual factors (which are major enjoyments factors including physical development, psychological effect, social interac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4 factors of enjoyment source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78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248 ordinary people, were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est proved to be .960.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9 items, resulting in 19 items of 4 factor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215 ordinary people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4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finding some enjoyment sources in community dance. Based on the 4 conceptual factors (which are major enjoyments factors including physical development, psychological effect, social interac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finding some enjoyment sources in community dance. Based on the 4 conceptual factors (which are major enjoyments factors including physical development, psychological effect, social interac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4 factors of enjoyment source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78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248 ordinary people, were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est proved to be .960.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9 items, resulting in 19 items of 4 factor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215 ordinary people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4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섭,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42 (42): 161-174, 2003

      2 임무경,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성적과 성별에 따른 재미거리 분석" 9 (9): 95-106, 2004

      3 박혜신, "중년여성의 생활무용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4 (44): 729-741, 2005

      4 권성호, "운동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5 강은영, "여성의 생활무용 참여와 건강신념 및 사회․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66 (66): 1-21, 2011

      6 한혜원, "여성의 생활무용 참여가 신체상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0 (20): 101-113, 2006

      7 유정이, "여성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요인,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경희대학교 2011

      8 탁진국,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7

      9 정구인, "스포츠활동 남자 참여자들의 운동지속과 중도포기에 관한 조사 분석" 334-353, 1996

      10 김병준, "스포츠 동기요인으로서의 재미" 3 (3): 99-122, 1996

      1 이창섭,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42 (42): 161-174, 2003

      2 임무경,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성적과 성별에 따른 재미거리 분석" 9 (9): 95-106, 2004

      3 박혜신, "중년여성의 생활무용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4 (44): 729-741, 2005

      4 권성호, "운동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5 강은영, "여성의 생활무용 참여와 건강신념 및 사회․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66 (66): 1-21, 2011

      6 한혜원, "여성의 생활무용 참여가 신체상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0 (20): 101-113, 2006

      7 유정이, "여성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요인,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경희대학교 2011

      8 탁진국,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7

      9 정구인, "스포츠활동 남자 참여자들의 운동지속과 중도포기에 관한 조사 분석" 334-353, 1996

      10 김병준, "스포츠 동기요인으로서의 재미" 3 (3): 99-122, 1996

      11 강유원, "스쿼시 운동 참가자들의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379-390, 2003

      12 홍미성, "성인 생활무용참가자의 사회적 친밀도와 교육환경 만족도가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329-338, 2007

      13 양종훈, "생활체육지도자의 이미지와 참여자의 재미거리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8 (18): 257-265, 2009

      14 권인선, "생활무용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15-32, 2010

      15 이진희, "생활무용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요인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 47 (47): 603-616, 2012

      16 기한준, "생활무용 참여종목과 연령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체육학회 44 (44): 677-687, 2005

      17 한혜원,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가 몰입경험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22 (22): 1-15, 2010

      18 신혜숙,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자아 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및 사회적 지지"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67-86, 2007

      19 김은주, "생활무용 참가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재미요인 및 무용지속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9 (19): 633-644, 2010

      20 조보성,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스포츠재미가 자아존중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35-46, 2008

      21 김명수, "무용전공자들의 재미요인 탐색" 대한무용학회 56 (56): 15-28, 2008

      22 백소영, "무용재미의 개념구조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1

      23 김선희, "무용수행의 심리적 재미요소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4 박현정, "무용수의 정서표현성 본질에 관한 경험적 탐색" 대한무용학회 57 (57): 101-118, 2008

      25 배소심, "댄스스포츠의 재미거리와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5 (15): 99-110, 2006

      26 박혜주, "대학생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 여가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啓明大學校 大學院 1997

      27 이동준, "대학 교양체육의 재미거리와 여가만족의 관계" 15 (15): 39-50, 2005

      28 姜京玭, "大學生의 餘假活動參與와 大學滿足, 餘假滿足, 生活滿足間의 關係"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8

      29 Kline, P., "The new psychometrics : Science, Psychology and measurement" Routledge 1988

      30 Scanlan, T, K., "Sources of enjoyment for youth sports athletes" 5 : 275-285, 1993

      31 Wankel, L. M.,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youth sports Motivation research : A comparison of openended and pared comparisonapproaches" 7 : 65-74, 1985

      32 Rosenstock, I, M.,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Charles B. Slac, Inc 19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1 0.7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