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래피티 아트 컬래버레이션의 특징 분석 -그래피티 아티스트와 브랜드의 아트 컬래버레이션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 Analysis of Graffiti Art Collaboration - Focusing on the art collaboration of graffiti artists and brand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60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그래피티 작품은 기업의 브랜드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대중들에게 더욱 익숙하고 친근하게 다가가고 있다. 아트 컬래버레이션(art collaboration)의 활용은 경쟁력 있는 브랜드 이미지...

      연구배경 그래피티 작품은 기업의 브랜드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대중들에게 더욱 익숙하고 친근하게 다가가고 있다. 아트 컬래버레이션(art collaboration)의 활용은 경쟁력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며, 발전 가능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높은 시너지 효과를 가져온다. 그래피티 아트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나타난 특징과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더 많은 그래피티 아티스트와 다양한 분야에서 아트 컬래버레이션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그래피티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제품, 패키지등에 적용된 아트 컬래버레이션 작품 10개를 선정하여 문헌과 인터넷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래피티의 표현유형과 아트 컬래버레이션의 사례를 대상으로 그래피티 아트 컬래버레이션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그래피티의 표현유형 분석 결과는, 태그와 캐릭터, 3D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아트 컬래버레이션의 유형 분석 결과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아트 컬래버레이션을 도입하는 사례가 많았다. 한 가지의 유형을 사용하기 보다는 여러 가지의 유형을 혼합·활용하여 제작하였다.
      결론 그래피티 아트 컬래버레이션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현재 많은 그래피티 아트 컬래버레이션은 캐릭터와 3D를 활용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한정적인 제품과 축제,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으로 이목을 집중시키며 우리의 생활 속 깊이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그래피티 아트 컬래버레이션이 제품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가치를 높이는 부분만으로 치중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에 대해 다소 아쉬움이 있다. 앞으로는 아트 컬래버레이션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다양한 방법의 그래피티 컬래버레이션이 우리 생활에 더 가깝고 친근하게 느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Graffiti artists and art graffiti works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companies approaching the familiar and friendly to the public. Art collaboration has its own brand of competitiveness and effective ways the image generating synergy with ...

      Background Graffiti artists and art graffiti works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companies approaching the familiar and friendly to the public. Art collaboration has its own brand of competitiveness and effective ways the image generating synergy with the likely expecting. In the future by graffiti Art Features and the type shown through a collaboration more graffiti artist and art collaboration in various fields. We expect to happen.
      Methods A total of 10 art collaboration works were applied to graffiti artists and products and packages. This cours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graffiti art collaboration focusing on the type of expression of graffiti and the type of art collaboration.
      Result Expression type of graffiti tags and character, analysis, 3D of ensuring the highest. Art Collaboration, type analysis, new Art Collaboration to create the added value were many cases. Rather than using one type of leverage and mix various types of work.
      Conclusion The collaboration of the features that suggest graffiti art now a lot of graffiti art new and enhance the value of collaboration products using the characters and three Being done to create the added value. Limited to consumers, products and draw the attention, drama, music video festival, and located deep in our lives.
      But graffiti art collaboration is the height of the value and create new value-added part of the product is on is not about to be desired. Art for collaboration in the future with prejudices and different types of methods of graffiti art more friendly and cordial collaboration is in our lives. I want them to fe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세라, "현대 패션에 나타난 유희성의 조형 특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357-369, 2006

      2 주영진,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신뢰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3 김민선,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상업공간의 VMD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4 이동철, "글로벌시대의 문화마케팅" 법문사 2008

      1 안세라, "현대 패션에 나타난 유희성의 조형 특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357-369, 2006

      2 주영진,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신뢰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3 김민선,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상업공간의 VMD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4 이동철, "글로벌시대의 문화마케팅" 법문사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