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 학습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효능감과 학습태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의 다중매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88647
2021
-
한국교육고용패널 Ⅱ ; 고등학생 ; 자아효능감 ; 진로성숙도 ; 교사관계만족도 ; 학습태도 ; KEEP Ⅱ ; High School Students ; Self-Efficacy ; Career Maturity ; Teacher Satisfaction ; and Academic Attitude
373
KCI등재
학술저널
693-717(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 학습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효능감과 학습태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의 다중매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 학습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효능감과 학습태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2(KEEPⅡ)의 1차년도 자료 중 일반계 및 자율계 고등학생 2학년인 5,929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태도는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 효과를 주어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셋째, 자아효능감은 교사관계만족도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이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통해 실제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 실질적 시사점과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teach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ttitude in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first year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Panel 2 (KEE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teach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ttitude in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first year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Panel 2 (KEEPⅡ) 5,929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teacher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has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ttitude through career maturity, and thu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ttitude through teacher satisfaction, and thu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not only 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and teacher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ir academic attitude.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ctual high school education can have practical implications and basic data for policy decision making.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모형 기초편" 한나래 2013
2 김경식, "학습태도 결정에 영향을 주는 학생 내.외적 요인 분석: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181-207, 2009
3 김정원, "학생이 지각한 교사특성과 학문적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13 (13): 253-262, 2004
4 조수정, "학교적응, 학습동기, 부모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의 관계"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3
5 조숙희,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와 학교적응 및 문제행동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구경호,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업탄력성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9-89, 2014
7 이지성, "체육수업에서 자아효능감과 체육학습태도의 유효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안혜진, "청소년의 자아개념,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안암교육학회 21 (21): 279-303, 2015
9 함승연,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취 목표,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도 실증적 고찰:교과연계 진로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616-626, 2012
10 서원석,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단연구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교육연구소 26 (26): 625-649, 2020
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모형 기초편" 한나래 2013
2 김경식, "학습태도 결정에 영향을 주는 학생 내.외적 요인 분석: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181-207, 2009
3 김정원, "학생이 지각한 교사특성과 학문적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13 (13): 253-262, 2004
4 조수정, "학교적응, 학습동기, 부모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의 관계"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3
5 조숙희,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와 학교적응 및 문제행동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구경호,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업탄력성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9-89, 2014
7 이지성, "체육수업에서 자아효능감과 체육학습태도의 유효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안혜진, "청소년의 자아개념,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안암교육학회 21 (21): 279-303, 2015
9 함승연,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취 목표,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도 실증적 고찰:교과연계 진로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616-626, 2012
10 서원석,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단연구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교육연구소 26 (26): 625-649, 2020
11 최윤정,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교육연구소 13 (13): 81-106, 2012
12 조민아, "잠재평균 분석을 활용한 학업태도 차이 검증: 대학생 미성취 집단과 보통이상성취 집단 간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19 (19): 55-77, 2012
13 김계수, "잠재성장모델링과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한나래 2009
14 이계수, "자기평가를 통한 이해도 진단과 피드백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15 김석우, "인과모형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6
16 김언아,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 학습스타일과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7 박경빈,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한국영재학회 21 (21): 1-17, 2011
18 중앙일보, "세번의 산업혁명보다 더 큰 충격 온다···2020년 AI 7대 트렌드"
19 권재현, "성인학습자들의 학습태도가 평생학습 참여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85-110, 2009
20 이기학,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아효능감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12 (12): 127-136, 2000
21 서우석,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149-171, 2015
22 유은경, "대학생의 Egogram 자아상태,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1-19, 2018
23 윤미정, "대구광역시 고등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교사관계만족도, 자기효능감, 수업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6 (66): 195-227, 2018
24 서원석, "다층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99-226, 2020
25 김종렬, "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5 (15): 93-113, 2014
26 김소영, "남자 중학생의 자아분화와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7 황혜연, "남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적 지원, 성취압력과 수학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학업성취의 관계: 수학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교육문제연구소 29 (29): 1-31, 2016
28 조미영,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성찰일지 작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3233-3248, 2019
29 김 철, "기독교 묵상이 대학생들의 주의력집중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30 강명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사태도,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과학연구소 45 (45): 181-203, 2014
31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32 김승진, "교사와 학생의 인간관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충남 금산군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3 김종백,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생의 또래 및 부모신뢰를 배경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45-267, 2014
34 이강훈, "교사가 지각한 기관장의 리더십, 교사효능감, 아동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8 (28): 147-173, 2018
35 백승숙, "교사-학생 관계와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학업성취도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6 지은림, "교사-학생 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16 (16): 25-41, 2003
37 이종연, "고등학생의 영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115-143, 2017
38 조선에듀, "‘학생부 항목 중 가장 중요한 것은?’…학종 궁금증을 파헤치다"
39 Chou, C. 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 Sage 1995
40 에듀진, "[학종 A to Z] 학생부종합전형, '제대로' 알자"
41 Pintrich, D. A., "The role of motivation in promoting and sustaining self-regulated learning" 31 (31): 459-470, 2001
42 Tuker, L. R.,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38 : 1-10, 1973
43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 Hayser 1957
44 Aroian, L. A., "The probability function of the product of two normally distributed variables" 18 : 265-271, 1947
45 Betz, N. E.,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28 (28): 399-410, 1981
46 Bandura, A.,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1-3, 2010
47 Hancock, G. 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cond course"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6
48 Cronbach, L. J., "Statistical tests for moderator variables : Flaws in analyses recently proposed" 102 (102): 414-417, 1987
49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1982
50 Hackett, G., "Self-efficacy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an" 18 : 326-339, 1981
51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52 성태제, "SPSS/AMOS/HLM을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 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 모형까지 -" 학지사 2019
53 김석우, "SPSS AMOS 활용의 실제" 학지사 2015
54 송지준,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08
55 Gribbons, W. D., "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42 : 13-20, 1964
56 Ahmed, W.,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arly adolescents' achievement : The mediational roles of motivational beliefs and emotions" 39 (39): 36-46, 2010
57 Goodman, L. A., "On the exact variance of products" 55 : 708-713, 1960
58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Education, Inc 2009
59 Buber, M., "I and Thou" Charles Scribner's Sons 1954
60 Hughes, J. N., "Further support for the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the quality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39 (39): 289-301, 2001
61 Gregory, A., "Connection and regulation at home and in school : Predicting growth in achievement for adolescents" 19 : 405-427, 2004
62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 1990
63 Hayes, A. F., "Caution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regression coefficients and hypothesis tests in linear models with interactions" 6 (6): 1-11, 2012
64 Super, D. 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996
65 Cohen, J., "Applied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3
66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 2013
67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21 (21): 230-258, 1993
68 Schunk, D. H., "Ability versus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 Differential effects o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75 (75): 848-, 1983
음악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ㆍ청소년의 사회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