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문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0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측정도구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측정도구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1. 개인 배경(학년, 학업성취도)에 따른 연구변인들의 차이분석
      • 2. 창의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간의 관계
      • 3. 창의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인섭,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학지사 2008

      2 김아영, "학업적 자아효능감 척도개발 및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3 이정숙,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6

      4 봉미미, "학업적 자기효능감 ; 이론과 현장연구" 학지사 89-114, 2007

      5 최정아, "학습맵핑 학습력향상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창의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6 최인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에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69-206, 2013

      7 김경순, "청소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8 정옥분,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35-60, 2006

      9 송준미, "창의성과 책임지향성이 성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10 송윤숙,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2 (2): 73-88, 2012

      1 송인섭,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학지사 2008

      2 김아영, "학업적 자아효능감 척도개발 및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3 이정숙,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6

      4 봉미미, "학업적 자기효능감 ; 이론과 현장연구" 학지사 89-114, 2007

      5 최정아, "학습맵핑 학습력향상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창의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6 최인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에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69-206, 2013

      7 김경순, "청소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8 정옥분,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35-60, 2006

      9 송준미, "창의성과 책임지향성이 성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10 송윤숙,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2 (2): 73-88, 2012

      11 박지현,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107-126, 2010

      12 김영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31-46, 2014

      13 김원,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치료학회 8 (8): 123-142, 2016

      14 김종환, "중학생의 자기결정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 및 체육수업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 50 (50): 173-183, 2011

      15 차유미, "전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소 9 (9): 83-105, 2015

      16 최임숙,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소진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연구" 교육연구소 35 (35): 23-50, 2014

      17 임병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827-853, 2011

      18 김근곤, "자기주도학습으로대학생활 주인공되기" 현문사 2015

      19 배종찬,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0 박주연, "자기주도학습, 창의성,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3

      21 백경숙, "자기주도 학습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32 (32): 77-95, 2011

      22 김애경,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인문과학연구소 55 (55): 79-106, 2016

      23 김애경,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자아개념및 창의성과의 관계" 21 (21): 5-23, 2001

      24 이석재, "생애능력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한국교육개발원 2003

      25 김호, "방과후 학교 참여가 아동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성의 매개효과" 인문학연구소 31 (31): 172-199, 2012

      26 김수미,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1 (11): 201-210, 2013

      27 문승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85-204, 2013

      28 이경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33-57, 2014

      29 이경화, "대학생의 학년 및 전공별 학습역량 차이 분석"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27-36, 2014

      30 이정규, "대학생의 창의성과 작업선호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413-432, 2005

      31 배성아, "대학생의 성격강점,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09-827, 2016

      32 윤정선,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119-141, 2014

      33 이경화, "대학생용 학습역량 검사(LCT-CMB)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791-809, 2011

      34 강승희, "공과 대학생의 창의성 과목 수강 경험과 학년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한국기계가공학회 15 (15): 16-23, 2016

      35 김복권, "고등학생의 수학성취 수준별 창의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27-450, 2017

      36 심미정,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28-337, 2012

      37 박현숙,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49-557, 2013

      38 DiBenedetto, M. K., "Within the pipeline: Self-regulated learning, self-efficacy, and socializ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science courses" 23 : 218-224, 2013

      39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45 : 357-376, 1983

      40 Sadi, 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 A path model" 12 : 21-33, 2013

      41 Cox, B. F.,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adult community college students" University of Tennessee 2002

      42 Baron, R.,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43 Mulyadi, S., "Student's tutorial system percep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reativity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217 : 598-602, 2016

      44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45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An overview" 25 (25): 3-17, 1990

      46 Montalvo, F., "Self-regulated learning :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2 (2): 1-34, 2008

      47 Zimmerman, B. J.,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29 : 663-676, 1992

      48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 207-232, 1991

      49 Long, H. B., "Self-directed learning research in the community/junior college : Descriptio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17 (17): 153-166, 1993

      50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 Association Press 1975

      51 Wilson, K.,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task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use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36 (36): 236-253, 2016

      52 Madonna, S. Jr.,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s and student satisfaction in predicting self-efficacy in college seniors" 14 : 163-168, 2013

      53 Wolters, C., "Investigating d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10 : 293-311, 2015

      54 Khalid, 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creativity among employees of adversing agencies" 29 (29): 203-221, 2014

      55 Hirose, E. L., "Effects of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41 (41): 163-172, 1999

      56 Guglielmino, L, M.,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57 Oddi, L. 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36 : 97-107, 1986

      58 Sternberg, R. J.,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34 : 1-31, 1991

      59 Patterson, C., "A new perspective on competenc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41 (41): 25-31,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논문집 청소년시설환경 -> 청소년시설환경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8 1.094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